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심지은 ( Ji Eun Shim ),안하얀 ( Ha Yan An ),김지혜 ( Ji Hae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우울 및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 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취업 스트레스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계획 다시생각하기``와 ``긍정적 재평가`` 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수용`` 요인을 제외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요인 중 ``계획 다시생각하기`` 가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valuated the model in whic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link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N = 380) showed that job-seeking 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wo subscales of regulation strategies (i.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appraisal``), and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of the sub-scales of regulation strategies except for ``Acceptance``.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The link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Refocus on plann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 집단상담에서의 flow경험과 상담성과의 관계

        심지은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6 학생생활상담 Vol.24 No.-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의 몰입과 관련된 경험을 flow로 정의하고 flow경험이 가지는 중요성을 상담성과와의 관계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flow를 flow특성 척도후 집단상담에서 경험하는 flow를 flow상태 척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8개의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구성원 43명을 대상으로 flow경험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3차에 걸쳐 flow상태척도, 상담회기평가를 반복측정 하였다. 상담성과질문지는 집단상담 사전-사후에 2회 측정하였으며 flow특성척도는 집단상담 시작 전 1회 측정하였다. flow경험과 상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x²검증을 사용하였으며 flow특성차이에 따라 상당성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flow상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t검증을 사용하였고 회기별 flow상태와 상담회기평가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상담에서의 flow경험과 상담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flow경험의 6개 하위척도 중 5개 척도가 상담성과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flow특성차이에 따른 상담성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집단상담에서 경험하는 flow상태차이는 상담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총 3차에 걸쳐 반복 측정된 flow상태는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회기평가와 상관 분석한 결과 flow상태를 경험할수록 그 상담회기를 영향력 있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정서로써 flow현상을 탐색하고 그 경험이 지니는 중요성을 상담성과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통해 밝혀낸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