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과학에서 인지적, 정의적 학업성취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심완익 ( Wan Ik Shim ),김효남 ( Hy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과에서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학업성취와 학문 자아개념, 과학교과 자아개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의 향상을 위한 연구에 도움을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지역 초등학교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와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 학문 자아개념과 과학 학문 자아개념을 각각 측정하였다. 인지적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사용하고, 과학 정의적 학업성취도 평가는 김효남 등(1998)이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문 자아개념 검사는 1966년 개발된 정원식의 검사를 사용하고 과학 학문 자아개념 검사는 PISA 2006에서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 정의적 영역 관련 문항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와 통계 분석 후 원인 파악을 위해 추가로 GALT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의 하위 영역인 인식, 흥미, 태도 중에서는 흥미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와 과학 학문 자아개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과학 학문 자아개념은 성취 수준에 따라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원인 분석을 위한 면담 결과 중요한 타인의 평가와 조언이 자아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과학 학문 자아개념은 과학교과의 인지적 학업성취, 과학교과의 정의적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면담 결과 소속 학교에 대한 교사의 평가가 학생들의 학문 자아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study on improve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by understanding relations among science-related cognitive, affectiv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This study involved a research targeting 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o measure cognitive, affective achievement on science,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The data of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were collected by online Google Drive. 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was measured by 2011 National achievement written test. Science affective academic achievement test developed by Kim et al.(l998) was used. Jeong Won-Sik`s academic self concept test was used. And for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 modified form of PlSA 2006 affective area questions was used. After test and statistic analysis, GALT test and personal interview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cau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of 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among subcategories concept of scientific affective achievement, that is, awareness, interest and attitude, 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 on interest than female students. Second,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of the group whose science-related cognitive achievement was high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lower leveled group. Especially,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chievement levels. However, on academic self-concept, lower leveled group kept statistically higher score than higher leveled group. The results of persona1 interview revealed that perceived evaluation and advice of significant others also affected much on academic self-concept. Thir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nd science-related cognitiv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achievement. Academic self-concept in science and ac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