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효랑전>의 인물 형상과 서사적 지향

        신효경 ( Shin Hyo-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1

        <박효랑전>은 조선후기 성행하던 묘지 송사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이 글에서는 송사 내용과 인물의 관계를 살피고 실사를 소설화하면서 지향했던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박효랑전>이 갖는 송사소설적 가치에 관해 살펴보았다.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사의 내용과 인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박효랑전>의 송사의 내용은 크게 ‘송사 원고인물의 소개, 송사 원고인물의 사망, 원고 유가족의 대응과 위기, 원고 유가족의 상경과 격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조선후기 일상에서 일어났던 송사 사건을 소재로 하였기에 권력을 가진자, 피해를 보는 자, 사건을 바라보는 대중으로 구분하여 인물 양상을 강자형 피고인물, 약자형 원고인물, 조력자형 참고인물로 나누었다. 둘째, 인물 형상화를 통해 본 지향의식을 고찰하였다. <박효랑전>은 원고와 피고인물의 대비를 통해 권력형 비리를 폭로하여 당시 사회문제를 비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하층형 참고인물이 계 낭자의 성심에 동정하면서 권력형 비리에 대응하는 민중의식을 담아냈다. 마지막으로 상층형 참고인물을 통해 어지러워진 사회 질서를 바로잡고 강상의 윤리를 제고하였다. 셋째, <박효랑전>의 송사소설적 가치를 조망하였다. <박효랑전>은 당시 빈번하게 발생했던 산송 사건을 두고 사회적 분위기와 인물의 정서를 개연성있게 구성하여 리얼리티를 강화했다. 또한 대를 이어 송사를 펼치는 과정을 통해 읽는 사람에게 흥미를 더했으며, 다양한 계층의 민중을 가담시켜 당시 정치 권력의 편파적 송사처결과 부도덕성을 비판하는 민중의식을 반영했다. < Park Hyo-rang Jeon > is a literary work based on litigations upon burial grounds, which were widespread during late Joseon dynasty, and it has been examined in this article that the trends in structure of narrative,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and narrative functions which the concept of filial piety serves. Summarizing the points discussed above is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structure of the story and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were examined. the structure of < Park Hyo-rang Jeon > can be broadly broken down into ’Death of father-death of Miss Baek-Miss Gye traveling to the capital-Miss Gye’s appeal-the return of miss Gye’, and type of characters can be classified as ‘corrupt characters, opposing characters, or assisting characters.’ Secondly, the narrative functions of ‘filial piety’ has been reviewed. < Park Hyo-rang Jeon > has the narrative function which criticizes predatory practices of the ruling class, which had been pervasive during the period,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filial piety and corrupt powers. the work tried to illustrate that the fundamental fabric of the country is the people, by attempting to purge the greed with filial piety, and demonstrating the people‘s sentiments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Finally, this work aimed to consolidate the confucius social order through resolute students of confucianism. In < Park Hyo-rang Jeon >, confucius scholars provide advices reflecting the people‘s aspirations to restore perplexing social order. Thirdly. the significance of < Park Hyo-rang Jeon > in the literary history has been analyzed. < Park Hyo-rang Jeon > challenged the ruling classes that employ marauding tactics on the common people and depicted their voices standing against them through focusing on a litigation case that had been frequent during the time. Moreover, < Park Hyo-rang Jeon > expan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filial piety, one of pillars of the confucianism ideology that governed Joseon, to the manifestation of humanitarianism, and extended the horizon of familial and social relationships, marking the work as tremendously significant in the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현실 대응의 양상과 지향의식

        신효경 ( Shin Hyo-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이 논문은 <변강쇠가>의 중심인물인 변강쇠와 옹녀의 삶을 중심으로 이들이 현실에 대응하는 양상과 그 결과를 살피고, 이 작품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지향의식이 무엇인지 산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 대응 양상과 대응의 결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약자였던 변강쇠는 농촌과 도시에서는 그 힘이 미약해 소극적인 대응을 하지만, 산촌에 가서는 기득권으로 대표되는 장승을 뽑아 땔감으로 써버리는 것으로 강한 대응을 한다. 옹녀의 경우 농촌과 도시에서 현실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만, 산촌에서는 변강쇠의 죽음으로 어떠한 해결책도 마련하지 못하고 삶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변강쇠나 옹녀의 농촌에서의 대응은 축출과 이탈이라는 미온적이고 낮은 단계의 대응이라 할 수 있으며, 도시에서는 자생을 위한 노력과 탈출이라는 점에서 자의적인 중간단계의 대응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변강쇠의 산촌에서의 대응은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제기하여 그만큼 운명적·개척적인 대응이라 할 수 있으며 치열한 높은 단계의 대응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실 대응의 문학적 지향을 살펴보았다. 변강쇠의 지향의식 속에는 백성들의 편안하고 안정된 삶이 보장되는 태평성대의 염원을 담고 있지만, 옹녀의 경우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공동체를 이탈하고 운명을 개척하는 것이 지향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현실 대응을 통해 본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변강쇠가 공동체로의 회귀를 생각한 것은 중세적인 이념을 여전히 소중하게 인식하던 당시의 관념을 대변하고 있지만, 산촌의 숲에서 나무를 통해 집단보다는 개인적인 역량을 소중하게 인식한 것은 근대성을 표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옹녀가 추구한 공동체의 이탈 의지를 통해서도 근대문학적인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근대적인 것을 소망했지만 여전히 중세적인 것에 지배당하고 있던 사회상을 수렴한 것이기에 문학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세와 근대문학사의 전환기의 특성을 담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lives of Byungangsoe and Ongnyeo who are the main characters in < ByungangsoeGa >, studies the aspect of them responding to reality and its result, and further studies what kind of oriented consciousness this tale pursues ultimately while focusing on the mountain village. Detaile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aspect of responding to reality and its result are studied. Byungangsoe socially belongs to the minority, and makes a passive response in the farming village and the city since his influence is weak. When he moves to the mountain village however, he makes a strong response by pulling Jangseung off the ground and by using it as firewood, which is represented as the privileged person. Ongnyeo makes an active response to reality in the farming village and the city on the other hand, but faces the limit in the mountain village without having any solution due to death of Byungangsoe. Response that Byungangsoe and Ongnyeo make in the farming village is seen to be the tepid and low-level response involving expulsion and breakaway. Next response in the city is seen to be the self-driven mid-level response showing an effort of survival and an act of escape. Response of Byungangsoe in the mountain village however raises an issue by taking the extreme method which is death. This is seen to be the fateful and pioneering response, which is intense and high-level. Second, the literal orientation on the response to reality is studied. Oriented consciousness of Byungangsoe holds his will of Taepyenogsungdae (time of peace and prosperity) which secures safety and stability of the common people. Ongnyeo however focuses on her orientation in breaking away from the community and leading her own fate, in order to be a pioneer for her own sake. Third, the literary historical statement through the response to reality is studied. Byungangsoe considering himself returning to the community represents the concept at the time of highly recognizing the mediev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a feature of the modern time is claimed when Byungangsoe recognizes the personal capability more than the group, through the tree in the forest of the mountain village. Modern literature property can be seen also through Ongnyeo, with the will to escape from the community. This tale therefore converges the social scene of desiring the modern concept but still being governed by the medieval concept at the time. Regarding the literary history, this can be interpreted to holding the transitional feature between the medieval and moder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사씨남정기>의 꿈속 人物과 서사적 機能

        신효경(Shin Hyo-kyu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이 논문은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꿈속 인물을 중심으로 인물의 유형과 서사적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꿈속 인물의 유형은 크게 지독지애형 인물, 질풍경초형 인물, 관음화행형 인물로 나눌 수 있다. 꿈속 인물들은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에게 현몽하 여 위기에 처한 상황과 미래에 대처해야 할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어 위기상황을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점에서 꿈속 인물들은 조력자적 역할뿐만 아니라 사건을 전개해 나가는 서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둘째, <사씨남정기>는 중국 고사 속 인물인 순임금의 두 왕비, 장강, 반첩여를 통해 사씨의 처지와 지고지순하면서도 강인한 성품을 우회적으로 표출시켰다. 또한 관음화행형 인물을 통해 어려움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의 인물로, 자식을 사랑하는 지독지애형 인물은 유교이념에 기반을 둔 여성상으로 의미를 부여해 꿈속 등장인물의 상징화를 이루어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사건과 인물을 통해 선의 추구와 사필귀정의 삶의 진리를 담았다. 셋째, 문학적으로도 꿈을 통해 주인공이 겪는 고난의 극복을 중세적인 안일한 방법으로 해결하기보다는 근대적인 합리성을 전제하여 사건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가 확립되어 가던 시기의 상황에서 소극적인 삶의 자세에서 벗어나 현실에 대응해 나가는 강인한 여성의식을 적절히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types of characters in dreams from < Sassinamjunggi > and the narrative functions.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s in dreams from < Sassinamjunggi >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haracter with parental love, character with determination, and merciful character. In a series of events revolving around Sassi and Yeon-soo Yoo in the multi-frame structure, the characters appear in dreams to help the main and supporting characters to overcome their crisis. In this regard, the characters in dreams not only play the role of helper, but also serve the narrative function of unfolding the story. Second, < Sassinamjunggi > implies the noble and pure but strong personality of Sassi through E Huang and Nu Ying who were two wives of the emperor of Shun Dynasty in Chinese mythology. Besides, this literature symbolizes, through the merciful character, the gracious figure helping the people in trouble and through the character with parental love, the image of woman based on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the character in her dream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 with parental love, the character with determination, and the merciful character have individual symbolic value, show the personality of Sassi indirectly, and embody the theme of this novel. Third,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e dreams adequately reflect the mindset of the woman, the main character, being assertive and taking the initiative in overcoming difficulties, rather than solving them with medieval complacency. Especially, it has great literary value in terms of solving cases based on modern rationality.

      • KCI등재

        〈백학선전〉에 수용된 백학의 상징성 고찰

        신효경(Shin Hyo-kyung)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이 논문은 〈백학선전〉에 수용된 백학의 상징적 의미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학의 문학적 활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학을 신성한 동물로 여겨왔다. 학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로는 신성함, 지조와 절개, 고결한 품성, 내면에 깃든 강인함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상징성은 고전문학 작품에 두루 수용되어 문학적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인물에 수용된 학의 상징적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백학이 지닌 백색은 우리 조상들이 신성시한 색으로 그 안에는 신성함, 지조와 절개, 순결함의 뜻을 담고 있다. 〈백학선전〉은 백학을 통해 태몽에서는 천상의 신성함을, 태어날 인물에는 고귀함을 상징화하였다. 또한 백학이 갖는 순결함을 사악함이 없는 올곧은 선비정신으로, 일편단심의 믿음은 고난을 극복하는 강인함으로 확대하여 인물의 성격에 수용하였다. 셋째, 백학의 상징적 의미로 본 문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백학선전〉은 부채에 그려진 백학의 상징적인 의미에 무게를 두어 백학이 갖는 상징성을 작품 전반에 두루 수용하여 표제로서의 의미를 강화했다. 또한 남녀의 애정을 통해 지조와 절개를 드러내는 가운데 여성 인물의 영웅적인 면모를 도술이라는 판타지적 요소를 활용하여 긴장감과 재미를 극대화하여 문학적 묘미를 강화했다. 요컨대 인물 중심의 전에서 벗어나 소재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작품 전반에 두루 수용해 다양한 주제의식을 표출시킨 작품이 바로 〈백학선전〉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of Baekhak drawn in the fan focusing on the Baekhakseon, the material of 〈Baekhakseonjeon〉.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ry application of Baekhak was examined. Cranes have been regarded as sacred animals symbolizing fidelity and integrity from ancient time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crane include sacredness, fidelity and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internalized strength, and this symbolism was variously accepted in the classics and applied literarily. Second, the narrative function of Baekhak was examined. If Baekhakseon was the subject that led the event,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behavior captured national sentiment with adopting the image and habits of Baekhak. Through the main character, Yu Baek-ro, it was expressed that the Seonbi Spirit, which was endowed with a firm attitude of noble and disinterested seonbi, and through Cho Eun-ha, a stout-hearted strength, which was undaunted by injustice, was show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eeting, separation, and meeting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embracing fidelity and integrity were captured by reflecting on the habit of a crane’s life long together once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ird, it was examined that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Baekhak as a symbolic meaning. 〈Baekhakseonjeon〉 tried to establish the order of Confucian society via the protagonists who combined the disinterested and the Seonbi Spirit, and the pride of the nation was inspired by capturing perseverance and true grit, which were undaunted by injustice. Allen stated that through 〈Baekhakseonjeon〉 he translated his works to correct false perceptions of Koreans and inform Korean lives and thoughts. In this sense, 〈Baekhakseonjeon〉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n that it informs foreigners of the customs and life of Korean society, and the value of the work is also excellent since it captures the spirit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in work.

      •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기녀의 양상과 서사적 기능

        신효경(Shin Hyo-kyung)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강릉매화타령〉․〈배비장전〉․〈무숙이타령〉의 기녀는 저마다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논문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기녀의 양상과 기능, 서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기녀는 유혹형 기녀와 열녀형 기녀로 나뉜다. 유혹형기녀인 〈강릉매화타령〉의 매화와 〈배비장전〉의 애랑은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에 대한 헌신보다는 관료사회의 부패와 양반사회의 이중성을 드러내어 문제적 인물을 망신시키는데 앞장선다. 열녀형 기녀인 〈춘향전〉의 춘향과 〈무숙이타령〉의 의양은 표면적으로는 기생의 신분을 벗고 신분상승을 목적으로 열녀를 자처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가정을 꾸려 안주하고자 하는 의지도 내포되어 있다. 둘째, 기녀의 공모와 대결에 대해 살펴보았다. 〈배비장전〉의 애랑과 〈강릉매화타령〉의 매화는 사또와 공모하여 주색에 빠져 자신의 본분에 충실하지 못한 배비장과 골생원을 웃음거리로 만들어 망신 주는 데 주동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 〈춘향전〉의 춘향은 강자와 약자의 대결을 통해 기녀의 절개를 강조하는 한편 관료의 그릇된 인식을 고발한다. 〈무숙이타령〉의 의양은 탕아인 남편과의 갈등과 대결을 통해 남편인 무숙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고 있다. 셋째, 기녀가 갖는 서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판소리계 소설 각 작품에 등장하는 기녀들은 하층민을 대표하면서 기득권층의 문제, 즉 탕자에 대한 문제, 남용되는 관권에 대한 문제, 사회의 부정적인 문제를 비판하며 시정을 촉구한다. 그런 점에서 이 기녀를 통해 민중의식을 읽어낼 수 있으며, 나아가 상하의 조화를 모색했던 의식도 짐작할 수 있다. Gisaengs in Pansori-based novels, 〈Chunhyang-jeon〉․〈Gangneungmaehwa-taryeong〉․〈Baebijang-jeon〉․〈Musugi-taryeong〉 play a key role in works with their own peculiar personalities. This paper examined aspects, functions and narrative meanings of Gisaengs appearing in Pansori-based novels.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isaengs in Pansori-based novels are divided into temptation-type ones and virtue-type ones. A seductive gisaeng, Mae-hwa in Gangneung -maehwa-taryeong(classical song), and Ae-rang in Baebijang-jeon(class ical literature) are characters reflecting corruption of bureaucratic society and duality of noble society rather than devotion to men who they love. A virtue-type gisaeng, Chunhyang in 〈Chunhyang-jeon〉 and Ui-yang in 〈Musugi-taryeong〉 consider themselves as virtuous women with the pur pose of a lift in their career. Second, This paper examined conspiracy and confrontation of gisaengs. Ae-rang in 〈Baebijang-jeon〉 and Mae-hwa in 〈Gangneung-maehwa-taryeong〉 take on a leader role in making a fool of Baebijang and Golsaengwon[the picture of narrow-minded persons] who get hooked on booze and women and are not loyal to their duty and putting them to shame in conspiracy with the district magistrate. Chunhyang in 〈Chunhyang-jeon〉 reports wrong awareness of bureaucrats, while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virtue of gisaengs through confrontation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Ui-yang in 〈Musugi-taryeong〉 lead her husband, Musugi to live a healthy lif through conflict and confrontation with her husband, debauchee. Third, This paper examined narrative meanings of gisaengs. Gisaengs appearing in each work of Pansori-based novels represent people of lower classes. They criticize problems of the Establishment such as problems of debauchees, problems of abused government power, and negative problems of society and urge correction of them. In this regard, we are able to read awareness of the masses through these gisaengs and further guess that they pursued harmony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