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족저부에 발생한 석회화된 혈관 평활근종: 증례 보고

        신충식,최병열,Shin, Chung Shik,Choi, Byeong Yeo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8 No.1

        Angioleiomyomas are relatively uncommon benign tumors originating from smooth cells of a blood vessel. Although curative by surgical excision, they are rarely diagnosed definitely before surgery. We report on a case of calcified angioleiomyoma occurring on the sole, which was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without recurrence and a review of literature is presented.

      • KCI등재

        슈미트와 하이데거

        신충식(Chung-Shig Shin)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8 No.-

        대부분의 학자는 20세기 전반의 유럽 상황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두 지식인으로 카를 슈미트와 마르틴 하이데거를 지목하는 데 이의가 없을 듯하다. 공교롭게도 이들은 1933년 5월 나치당에 가입하게 된다. 이들은 자신의 학문인 생 초창기부터 모든 정파로부터 두루 진지한 관심을 받아왔다. 무엇이 이들의 학문적 업적에 주목하게 했는가? 이들에게는 새로운 ‘시대적 시간성’에 대한 깊은 통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신칸트주의의 학문패러다임이 지배했던 20세기 초반에 슈미트는 한스 켈젠 방식의 법실증주의, 즉 법이 가지고 있는 추상성, 순수성, 실증성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또한 슈미트와 하이데거 공히 결단의 실존성과 긴박성을 자신의 사고영역으로 끌어왔다. 이른바 그들은 ‘정치존재론’의 가능성에 주목했던 것이다.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1927)에서 현존재의 존재의미를 세계, 시간성, 마음씀의 차원에서 분석했던 것처럼, 슈미트는 ‘동지’와 ‘적’의 구분을 통해 끊임없이 ‘정치적인 것’의 구체적 의미를 천착하고자 했다. 사실 이들은 ‘존재’와 ‘정치적인 것’이 객관적으로 분석될 수 없다는 입장과 금세기 어떤 탈정치화 시도도 ‘정치적인 것’을 배제하는 데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정치존재론과 맞물려 있는 이른바 ‘정치현상학’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여기서 정치존재론은 존재적으로 상황 지어진 영역은 물론이고 존재 그 자체의 범주와 깊이를 뛰어넘는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 기반을 둔 슈미트의 정치철학이 실존을 중심으로 한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실제적 삶을 그 출발점으로 삼는 슈미트의 정치존재론은 실존적이며 ‘정치현상학’의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요컨대, 정치현상학이란 전통적으로 존재론이라 하는 것과 정치철학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으려는 시도이다. No one denies that people recognize both a political philosopher, Carl Schmitt (1888-1985) and a philosopher Martin Heidegger (1889-1976) as two most influential intellectual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Europe. Coincidentally they joined the Nazi Party in May 1933. From the beginning of their careers, they were taken most seriously on all parts of the political spectrum. As Heidegger analyzed the meaning of being in his magnum opus, Being and Time (1927), Schmitt had constantly attempted to elaborate the concrete meanings of the political in regard the distinction of friend and enemy in his own early works. As a matter of fact, both thinkers challenge the assumptions that one treats Being and the political objectively, that de-politicization does away with the political. In this paper, I will try to formulate the possibility of so-called ‘political phenomenology’ entwined with political ontology within the realm of Schmitt’s political theory and Heidegger’s ontology that goes beyond an ontically situated realm as well as the scope and depth of being itself. Eventually I demonstrate that Schmitt’s political philosophy based on rigorous analyses of ‘the political’ echoes Heidegger’s concept of Dasein whose essence is existence. As a consequence, we might safely say that Schmitt’s political ontology be essentially existential an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political phenomenology.’ Ultimately Schmitt’s political phenomenology is to work out the missing link between what has traditionally been called ont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체육교사 학습방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충식(Shin Chung-Sick),김채희(Kim Chae-Hee)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4

        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50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middle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the sampling method used for the study is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conclus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with regar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s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student gender, democratic type, positive reward type, instruction and order type, and social support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n terms of teaching types according to academic year, positive reward type, instruction and order type, and social support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in terms of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 gender,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student year,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satisfaction with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score, and satisfaction with exercis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eaching types and students's class satisfaction found to have correl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for the effect of teacher's democratic teaching on class satisfaction affected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satisfaction with learn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score, while the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for the effect of teacher's positive reward on class satisfaction affected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environment. Also,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for the effect of teacher's instruction and order on class satisfaction affected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activity, while the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for the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on class satisfaction affected satisfaction with teach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벌거벗은’ 생명을 태우다: 이창동 〈버닝〉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신충식(Chung-Shig Shin),박혜정(Park Hye-Jeong)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6 No.-

        이 논문은 〈버닝〉이 궁극적으로 이른바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문제의식을 20세기 세 주요 현상학자의 분석틀, 즉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예술론’을 통해서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청년층인 종수와 해미는 스펙도 변변치 못해 몸을 쓰는 일을 하며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프리터족으로 살아간다. 이들은 자신의 젊음을 의미 없이 ‘버닝’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이창동은 영화 내내 우리 사회가 구조적 폭력에 짓눌리고 배제와 포용의 경계가 불분명한 시대에 봉착했음을 통렬히 보여준다. 급기야 정치적 행위로의 전환을 통해서 종수가 한국형 개츠비의 전형인 벤에 맞서는 장면을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롱테이크로 잡아낸다. 영화는 종수가 벤을 ‘버닝’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마침내 소설을 쓸 수 있게 되는 사건을 더 중시한다. 종수가 소설을 쓰게 되는 변화의 순간은 한나 아렌트가 말한 ‘탄생성’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창동의 사회 인식이 ‘진지’와 ‘재미’라는 다분히 이원론적 평행구도를 고집함으로써 관객에게 그 어떤 실천의 가능성도 열어놓지 않았다는 점은 안타깝다. 이 연구에서 되물어야 할 질문은 영화에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현실에서 모든 재미가 감각적 쾌락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가에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재미를 통한 의미의 세계가 충분히 가능하고, 이에 따른 심미적 범주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음에도 한국형 개츠비의 방만한 삶을 고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는 점을 비판했다. This essa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movie, Burning directed by Lee Chang-Dong in which we all are ‘naked lives.’ Based upon three major phenomenologists’ analytic framework, i.e., Giorgio Agamben’s ‘homo sacer,’ Hannah Arendt’s ‘natality,’ and Hans-Georg Gadamer’s ‘theory of arts,’ I approached Lee Chang-dong’s Burning as an exemplar case of psychological unease. Burning mostly takes place in Seoul and Paju. An aspiring young novelist, Lee Jong-su, does odd jobs in his hometown of Paju, one of many small-town regions in South Korea. Jong-su is a silent, masculine type whose life is a sum of losses. Throughout the film, Jong-su kept busy himself between Paju where he took care of his father’s a cattle farm and Seoul, hoping to contact with Shin Hae-mi, a childhood neighbor and monitor the ever mysterious Ben. With its striking juxtapositions between the rural and urban, the poor and rich, the sincere and pleasure-seeking embodied by Jong-su and Ben, the movie definitely rejects the glamorization of Asian-style Gatsby and shows the unspoken but strongly conveyed sense of jealousy and frustration against Ben by Jong-su. When Hae-mi vanishes without a trace in the latter part of the movie, Jong-su suspects the new boyfriend is to blame. Jong-su cannot remain indifferent to the world around him. Especially the movie follows Jong-su as he crisscrosses South Korea in search of Ben and Hae-mi. In our study, we just focused on Jong-su’s move from mere worker to political actor eventually by showing eventually to write his own novel.

      • 프로야구 팬의 관여도와 팀동일시, 재관람의도 및 라이센싱제품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

        신충식(Shin Chung-Sick),이승철(Lee Seung-Chul)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6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 팬의 관여도와 팀동일시, 재관람의도 및 라이센싱제품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개별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삼성증권배 프로야구 관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 500명을 표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 472명의 유효표본을 가지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상황적 관여도는 팀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지속적인 관여도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동일시는 재관람의도와 라이센싱제품 구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프로야구 팬의 상황적 관여도를 높일 수 있는 특별한 홍보전략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여도가 팀동일시에 전이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관여도를 높이고 팀통일시를 높임으로써 프로야구팀의 성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The professional sport fan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most professional team primarily through financial support(eg., ticket sales, licensed products sales).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professional fan behaviors as consumer behaviors. However, most of researcher has been focused on genre attendance or game attendance intention as fan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n involvement, team identification and genre attendance intention, purchase intention of licensed products at professional baseball fans. Subjects(n=472) were collected at a professional baseball home genre on four games. we estimated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using Amos4.0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tuational involvement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eam identification but, enduring involvement was positive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eam identification, also team identification was positive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enre attendance intention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licensed products.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w that professional baseball team manager enhance relationships by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the fans' involvement and create genre attendance, purchase intention of licensed products.

      • KCI등재

        라이너 슈어만과 궁극의 현상학

        신충식(Chung-Shig Shin) 한국현상학회 201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2 No.-

        정치철학은 다분히 통치관계에서 발생하는 고통을 다루는 비극적 사고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몸의 중심이 뇌나 심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아픈 곳’에 있는 것처럼, 정치철학의 핵심 역시 한 시대가 짊어져야 할 비극의 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극은 한낱 개념으로 포착될 수 없는 궁극과 궁극의 대립적 충돌에서 발생한다. 비극적 상황에서 빚어지는 드라마틱한 감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그 어떤 합리적 지성도 정치철학의 소재로 전환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일찍이 그리스 비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비극적 진리라 할 수 있는 “고통을 통한 이해”(pathei mathos)를 강조했다. 이는 태초에 행위가 있었고, 무릇 인간은 행위를 저지르고 나서야 그 결과로 고통을 겪으며 배움에 이르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는 가장 단단한 규범들의 구성물 가운데에 비극성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현상학자 라이너 슈어만이 제창한 이른바 “궁극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슈어만의 궁극의 현상학을 그리스 비극작품, 특히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과 소포클레스의 또 다른 의미의 3부작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 적용해 정치 분야에서 비극적 진리가 항상 ‘이중구속’의 결과로 발생함을 밝힐 것이다. 미제로 남아 있는 대립국면을 몸소 체험하도록 하는 비극이야말로 “민주적 제도”이자 “그 자체로 완결된 민주교육”(a democratic paideia)이라 할 수 있다. In some sense, political philosophy is a product of tragic thought. As the center of our body is not located in the brain or heart, but in the topos of the suffered, the core of political thoughts might be found in the locus of the tragedy that the people of an epoch had to bear. In general, tragedy occurs in the pathetic differend between ultimates that could not be grasped merely by a concept. Without a dramatic pathos originating from the tragic situation, no rational intelligence would turn to the motive of political philosophy. A long time ago the Greek tragedian Aeschylus already found “the understanding through suffering” (pathei mathos). It means that humans will have a bitter lesson only after they did something quite wrong by accident since in the beginning, there was a deed. In this context, I will ask how the tragic moment occurs among the hardest normative constructions by way of so-called ‘phenomenology of ultimates’ that Reiner Schürmann developed in his opus magnum, Broken Hegemonies (2003). Further, I will attempt to apply Schürmann’s own phenomenology to the Greek tragedies, especially Aeschylus’ and Sophocles’ and show that the tragic truth is always learned through the result of the double bind by ultimates. Here we realize that the tragedy through which one can experience the opposites remained to be unsolved can serve as a democratic institution as well as a democratic paideia.

      • KCI등재

        가다머와 아렌트 :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신충식 ( Chung-shig Shi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논문에서는 첫째, 가다머가 철학적 해석학하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을 어떻게 수용하는지 검토할 것이다. 한편 아렌트는 가다머와 조금 달리 정치적 전회 이전에 받아들였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을 1933년 정치적 전회 이후 정치이론가의 시각에서 세계 개념을 중심으로 재해석한다. 둘째, 이러한 맥락에서 세계 내 정치현상의 열렬한 관찰자인 아렌트가 ‘프로네시스’를 자신의 정치적 판단론으로 어떻게 발전시키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셋째, 가다머와 아렌트가 이해하고 있는 ‘프로네시스’는 20세기 현상학이 발견한 생활세계인 공동 세계의 지식으로 수렴된다는 점을 검토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다머가 개척한 ‘세계’ 개념과 아렌트가 준용하는 ‘세계’, 특히 ‘공동 세계’ 개념이 우리 시대의 긴급한 현안을 이해하는 것에 어떻게 원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first examine how Gadamer accepts Aristotle’s concept of phronēsis under philosophical hermeneutics. Second, I will elaborate on how Arendt appropriates Aristotle’s concept of phronēsis to her own theory of political judgment. In this political sense, phronēsis is a kind of insight and understanding of human affairs that are good or bad for men. Third, I will argue that Gadamer and Arendt develop Aristotle’s concept of phronēsis into their own life-worldly knowledge, that is, doxic excellence. For them, the world, especially the common world, functions as an indispensable medium for praxis.

      • KCI등재

        아렌트의 초기 시간분석과 이웃사랑의 가능성

        신충식(Chung-Shig Shin)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3 No.-

        일찍이 아렌트는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 개념」(1928)에서 “탄생을 통한 세계로의 진입”을 강조함으로써 스승 하이데거의 행위의 근원으로서 “필멸성” 개념에 도전했다. 그녀는 “탄생성” 개념을 통해서 인간행위의 모형으로서 하이데거의 “필멸성” 개념을 대체하고자 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다음과 같은 야심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신과 더불어 살아가며 세속적인 모든 것과 고립된 한 인간이 자기 이웃에 대한 어떠한 관심을 계속해서 가질 수 있는가?” 이 논문에서는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과 사랑 개념에 대한 아렌트의 분석을 1920년대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시간분석에 위치지우고자 한다. 특히 이들의 시간분석은 각각 다른 차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적 시간관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신적 시간관을 종합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아렌트 자신의 초기 시간분석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아렌트의 시간과 사랑을 욕망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회귀의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이 양자의 사랑개념이 이웃사랑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 후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아렌트의 “사회적 자애”의 개념을 통해 이웃사랑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원과 시간 사이에서 내적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는 인간의 영혼이 본래적으로 어떻게 사회적일 수 있는지를 밝히는 과업은 모든 정치철학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Hannah Arendt challenged very early on her mentor, Martin Heidegger’s notion of “mortality” as the spring of action by emphasizing “entering the world through birth,” i.e., “natality” as the model of human action. This idea had been already in her 1928 dissertation, Der Liebesbegriff bei Augustin : Part I concerns the ever-present prospect of death; Part II concerns the question of birth. In her brief Part III, she approaches the possibility of “love of neighbor”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Augustine’s work. Accordingly Arendt’s leading question in her dissertation is the following: “How can a person who, living in the presence of God, is isolated from anything worldly, still have any interest in his neighbor?”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love of neighbor’ developed in Hannah Arendt’s early analysis of temporality in her Der Liebesbegriff bei Augustin . For that, first, I will locate Hannah Arendt’s analyses of Augustine’s notions of time and love within the context of Husserl’s and Heidegger’s phenomenology of temporality. Especially their temporal analyses seem to be significant for her early analyses of temporality in attempting to synthesize Aristotle’s natural notion of time and Augustine’s mental one. Second, I examine that Arendt understands Augustine’s notions of time and love as both desire and as a contingent creature’s nostalgia respectively. Third, after pointing out some limitations of them, I introduce some possible solution to the problems she raised in the previous section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love as “caritas socialis .” The task to reveal how an internally conflicting animus between the eternity and time to be originally ‘social’ must be a starting point of any political philosophy.

      • 세계금융자본의 위기와 정부의 역할

        신충식 ( Chung Shig Shi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5 정치와 평론 Vol.16 No.-

        If the role of government in the economy diminishes, will we see a boost in the economy? What roles should our government, based upon liberal democracy, have in the world crisis of finance capitalism? There is no doubt that the current capitalist system is the most efficient system that has been invented in our human civiliz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due to this very fact, industrial capitalism is extremely violent. Its violence has been bred badly because political power is exercised thoroughl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find the key role of our government in ensuring a set of the game rules of the capitalist system, as well as protecting people from the violence originating from that system. First, I briefly review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s the backbone of world finance capitalism. Second, I analyze the techniques of government in this neoliberal democratic system, which Michel Foucault called ``governmentality`` in his important lectures of College de France such as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1977-1978). The Birth of Biopolitics (1978-1979). Third, I suggest what the government can do when faced with a serious world finance crisis. Of course, I will not suggest that the government directly involve itself in the institution of capitalism, but that it indirectly guarantees maximization of the capabilities of self-governing that various governance systems keep. Last, I analyze the problem of publicity in regard to the Lee Myung-bak government, since it makes many competing teams of capitalism play fairly by a set of rules for competition monitored by appointed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