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he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Significant Clustering Method for Economic Clusters in an Urban Region

        신정엽(Jungyeop Shin)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2

        경제 클러스터와 도시 고용중심지에 대한 연구는 최근 지리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경제 클러스터 탐색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탐색방법의 내재적 한계, 선형 클러스터 탐색의 비효율성, 경제적 유의성 검증의 부족등의 문제를 내포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 클러스터 탐색방법으로서 통계적, 경제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VCEC(Variable Clumping method for Economic Clusters)를 제안하는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 뉴욕주 이리 카운티(Erie County)의 경제 중심지 탐색을 위한 실증적 경험 사례분석을 하는것이다. 다양한 탐색 반경과 총 고용인구 한계치의 적용을 통해 통계적, 경제적인 유의성을 가진 경제중심지 탐색이 가능하였다. With the trend of urban polynucleation, the issue of detecting economic clusters or urban employment centers has been considered as crucial. However, the prior researches had some limitations in detecting economic clusters in the empirical analysis: i.e. inherent inefficiency of density-based clustering methods, difficulty in detecting linear types of spatial clusters and lacks of consideration of economic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clustering method with the procedure of testing statistical and economic significance named as VCEC (Variable Clumping method for Economic Clusters) and to apply it to a case analysis of Erie County, New York, in order to test its validity. By applying a search radius and a total employment as an economic threshold, “the both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significant clusters” were detected in the Erie County, and proved to be efficient.

      • KCI등재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아동친화도시(child-friendly city)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국제기구와 정부차원에서 주도된 아동친화도시는 최근 활성화되면서 우리 도시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아동친화 도시는 아동이 주체로서 인정받으면서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받으며 사는 이상적인 도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대중화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의는 주로 제도, 정책, 홍보 차원에서 머물고 있으며, 따라서 아동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동친화도시와 관련하여 도시지리학 관점에서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이론적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재고찰을 통해 아동친화도시는 도시연구, 도시공간구조, 장소감과 장소애착, 아동의 지리학(children’s geographies)의 주제와 연계되어 보다 심층적이고 실질적인 논의 발전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As an emerging concept back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al bodies, child-friendly city (CFC) is currently changing our urban characters. CFC is designed to be an ideal city for children by recognizing them as independent agents and providing them with required resources and supports for their development. Despite the concept’s increasing popularity and importance, current discussions are largely limited to institutional, policy, and promotional affairs, lacking substantive research on CFC.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reviews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related to CFC from an urban geographer’s perspective, and develops an argument that CFC should become a association is made to insights from urban studies, urban spatial structure, sense of place and place attachment, and children’s geographies and geography education.

      • 도시 공간 구조 관점에서 Hoyt의 섹터 모델(Sector model)에 대한 재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5 地理敎育論集 Vol.59 No.-

        호이트(Hoyt)의 섹터 모델(sector model)은 도시 내부 구조의 대표적인 고전 모델로서, 도시 주거 공간 구조설명에 매우 유용하다. 호이트는 섹터 모델뿐만 아니라, 경제 기반 이론, 쇼핑센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리학 연구 발전을 수행하였다. 1939년 발표된 섹터 모델은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섹터들로 구성된 주거 공간 패턴을 나타내며, 상류층, 중산층, 저소득층 섹터 별로 입지와 특성이 다양하며, 경제적 계층 섹터별로 거주지 분리가 나타난다. 또한 도시 성장에 따라 섹터 형태의 도시 공간 구조는 도심에서 외부로 확대되며, 필터링 프로세스(filtering process)를 통해 주거 이동성과 교외화가 활발해진다. 섹터 모델은 이후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모델의 적합성, 설명력이 검증되어 왔으며, 이후 교외화, 주거지 분리, 필터링 프로세스 등의 주요 원리를 중심으로 현대 도시 공간구조를 설명하는데 여전히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Hoyt`s Sector model is one of the major classic models of urban internal structure, and is very useful to explain the urban residential structure. Homer Hoyt contributed tremendously on geography research field not only by proposing the sector model, but also by implementing various kinds of researches such as economic base theory, analysis of shopping center. Published in 1939, the Sector model represented residential spatial patterns with various kinds of sectors from higher to lower levels in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impli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mong different kinds of economic sectors. In addition, with urban growth, the urban sectors expanded outward from CBD, and residential movement and suburbanization occurred. The Sector model has been testified with the subsequent researches on the relevance and power of explanation, and we found that the Sector model is still very effective to explain the current urban spatial structure with the major principles such as suburbanization, residential segregation, filtering process.

      • 도시기원 관점에서의 문명, 농업, 국가 기원의 이론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6 地理敎育論集 Vol.60 No.-

        본 연구는 도시기원과 고대도시 발달의 관점에서 문명의 기원, 농업의 기원, 국가의 기원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발달은 인류문명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또한 농업의 기원과 발달은 도시기원과 경제 기반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대문명에서 도시와 국가는 크게 기능, 형태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국가기원 논의가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단계별로 발전하면서 도시와 국가가 기원하였다. 농업기원에 대한 논의도 오아시스이론, 다핵지역이론, 주변부지역이론, 광역스펙트럼혁명이론, 공동진화이론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가기원의 논의도 생태적 접근, 수문농업 접근, 인구압력 접근, 제약이론 접근, 복합접근을 검토함으로써 도시기원과 고대도시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retically review the discussions on origins of civilization, agriculture, and states in the perspective of urban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Urban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were review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played the key role on the origin of city and its organization of economic basement. In addition, in ancient ti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ities and states in terms of functions and forms, and the discussions on the origins of states contribu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c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cient societies evolved through a series of stages, which led to the origins of cities and states. In terms of origin of agriculture, five theories were reviewed; oasis theory, nuclear zone theory, marginal zone theory, broad spectrum theory, and coevolution theory. Further, the discussions on origin of states included ecological approach, hydrological agricultural approach, population pressure approach, circumscription approach, and complex approach, which were useful to understand the urban origins.

      • 시카고 학파의 형성과 도시공간 연구: Park, Burgess, McKenzie, Wirth를 중심으로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7 地理敎育論集 Vol.61 No.-

        본 연구는 고전적 도시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한 시카고 학파의 형성과 연구 경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세기 초반 형성된 시카고 학파는 도시연구와 관련한 생태적 접근을 정립, 발전시켰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주제의 도시연구를 수행하였다. Park, Burgess, McKenzie 등을 중심으로 한 시카고 학파는 기존의 파편적, 비과학적인 도시연구 방법론을 대체하였으며, 도시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도시이론의 정립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특히 현대 도시구조를 설명하는데 여전히 중요한 개념, 원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establishments of Chicago school, and its research trends which proposed classical research methodologies for urban studies. The Chicago school established in the earlier 20<sup>th</sup> century, launched and developed the ecological approach for urban researches, and based on it, implemented researches on a variety of urban issues. The researchers in the Chicago school such as Park, Burgess, and Mckenzie replaced the existing fragmented, unscientific research methods by the more scientific, systematic ways, which pursued the generalization from the empirical results of research. In this regard, the Chicago school highly contributed to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geography, and is most valuable in that it provided the most important concepts and principles for contemporary urban structures.

      •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특성과 도시화의 비판적 논의 검토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22 地理敎育論集 Vol.66 No.0

        동남아시아 도시는 서구 도시와는 다른 지리적, 역사적 상황에서 발전하여 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의 도시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동남아시아 도시화에 대한 역사적 변천을 고찰하였다. 동남아시아 도시화는 3시기, 즉 유럽 식민통치 시기 이전, 유럽 식민통치 시기, 독립 이후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도시화 연구를 인구, 경제, 사회 측면에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동남아시아 도시화는 서구 도시화와는 차별화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outheast Asian cities have been developed in different geographical and historical ways from Western citie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theoretical review of the urbanization of Southeast Asia at the deeper level. For this, this paper reviewe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 and based on it, reviewed historical changes of its urbanization. The urbanization of Southeast Asia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1) the period before the European colonization, (2) the period of European colonization, and (3) the period of the post-independence of the Southeast Asia. Furthermore, the prior research on urbanization of Southeast Asia was reviewed in terms of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al aspects, and based on the review, it is known that the urbanization of Southeast Asia ha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the Western cities.

      • Paul Wheatley의 고대도시와 아시아 지역의 지리적 사고에 대한 재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오동훈 ( Dong-hoon Oh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9 地理敎育論集 Vol.63 No.-

        도시기원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논의가 있으며, 이중 상당한 논의는 유럽의 관점을 견지해 온 경향이 있다. 아시아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한 고대도시 논의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Wheatley의 아시아 지역 연구에 대한 주요 연구성과와 특히 의례, 종교를 중심으로 한 고대도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Wheatley는 말레이 반도, 중국, 인도차이나 반도, 일본, 이슬람 지역과 같은 아시아의 고대도시와 문명을 다루었다. 이러한 아시아의 고대도시 연구에 있어서, Wheatley는 의례, 종교기능이 도시기원과 고대도시 발전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의례, 종교기능은 다른 도시기능의 기반이 되었으며 또한 다른 도시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도시발전에 기여하였다. There have been several discussions on urban origins, and most of them tended to take the European perspective. Notwithstanding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of diversity in Asian regions, there has little research on it. Regarding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ajor research outputs on Asian regions and the discussions, especially based on the approach of the ritual and religions, of ancient cities in Asia by Paul Wheatley. Wheatley argued that the ritual and religious functions played the key roles on the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and civilization in Asian regions such as the Malay peninsula, China, Indochina peninsula, Japan, and Islam regions. These ritual and religious functions were imbedded into the several urban functions, and thus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in Asia.

      • 도시 스프롤의 개념과 측정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논의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21 地理敎育論集 Vol.65 No.0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도시 스프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시 스프롤의 개념, 특징, 문제점과 주요 대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도시 스프롤의 주요 특징은 5가지, (1) 분산적/비지적 개발, (2) 저밀도 개발, (3) 단일 토지이용 개발, (4) 상업기능의 선형 개발, (5) 접근성의 비효율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며, 도시 스프롤에 대한 대안인 뉴어바니즘, 콤팩트 시티, 스마트 성장을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도시 스프롤에 대한 측정 방법론을 5가지, 즉 성장률, 밀도, 공간기하, 종합지수, 기타 측면으로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 스프롤 연구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이는 다핵도시구조와의 관계, 과소/과대경계도시 측면에서의 도시 스프롤,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도시 스프롤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reviewing theoretically the urban sprawl, usuall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regions. For this, this paper review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sprawl, its problems and then the alternatives against urban sprawl at the deeper level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rawl can be summarized into the five; scattered / leap-frog development, low-density development, single-use development, strip development of commercial functions, and inefficiency of accessibility. And based on the review of the debates on urban sprawl, and three alternatives against urban sprawl were reviewed: new urbanism, compact city, and smart growth. Then, analytical methodologies for measuring urban sprawl were also reviewed with five categories: growth rate, density, spatial geometry, comprehensive index, and others. Last, three implications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were extracted with the issues of relationship with multinucleated urban structure, under/overbounded city, and urban planning.

      • 교외화에 의한 도시공간 변화와 교외지역 쇠퇴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홍유진 ( You Jin Ho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8 地理敎育論集 Vol.62 No.-

        20세기 대표적인 도시 현상인 교외화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지만, 그동안 이 현상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리의 관점에서 교외화의 특성과 교외지역 변화 및 쇠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교외화의 정의와 특성을 도시공간구조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교외화의 유형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교외화에는 기술, 사회문화, 경제, 인구 측면에서 여러 요인이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대도시 공간을 형성하는 중심도시와 교외지역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외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교외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생태적 접근, 층화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교외지역의 변화와 관련하여 교외지역의 다양성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교외지역의 쇠퇴를 빈곤, 인구, 공간 취약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의 교외화 현상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역동적인 변화를 수반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이론적, 심층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Suburbaniza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urban phenomenon in the 20th century, but we have little research on it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Regarding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ri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suburbanization and changes and decline of suburbs in the urban geography. First,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uburbanization, and then types and factors of suburbanization were reviewed. Suburbanization wa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 the technic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demographic domain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central city and suburban regions in the urban structure led to suburbanization. Then, changes in, especially diversity of, the suburban regions were reviewed, and decline of the suburbs was reviewed in the point of poverty, population, and spatial vulnerability. The recent suburbanization was going in the more complex and diverse ways with dynamic changes, and future research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 more theoretical and in-depth ways.

      • 현대 도시공간 관점에서 시카고 학파의 연구 재조명: 생태적 접근과 동심원 모델을 중심으로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20 地理敎育論集 Vol.64 No.-

        본 연구는 현대 도시공간의 관점에서 시카고 학파의 도시연구를 재조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세기 초반 시카고 학파는 생태적 접근을 기반으로 도시연구를 발전시켰다. 시카고 학파는 경쟁, 침입, 천이 등의 생태적 개념 외에도 자연지역의 개념을 중심으로 도시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동심원 모델 등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일반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시카고 학파의 도시연구는 이후의 연구자를 통해 검증, 적용되었으며, 또한 현대 도시의 관점에서 논쟁과 비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카고 학파의 도시연구는 현대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한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urban research by the Chicago school in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urban spac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icago school developed the urban research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The Chicago school researched the urban issues with the ecological concepts such as competition, invasion, succession, and natural areas, and pursued the generaliz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s with the concentric zone model. These urban researches by the Chicago school were evaluated and applied by the following researchers, and there were debates and criticism in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urban space. However, we need to develop the fruitful outcomes of the researches in that the urban research by the Chicago school is still and most significant and valuable for the contemporary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