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의 장소자산화를 통한 도시브랜딩 전략

        신재령 ( Shin Jaeryung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급속한 세계화 속에서 도시의 경제적 경쟁은 관광산업의 확대로 이어져‘장소’를 소비의 중심지로 만들었고 도시의 경쟁력 측면에서 매력적인 ‘장소’는 흡인력 있는 도시브랜드의 자산요소로 여겨지게 되었다. 특히, 이전 시대에 사용했던 유휴산업시설은 환경악화와 기후변화의 시대에 도시문제로 대두되면서 경쟁력 있는 장소자산으로 탈바꿈이 요구되고 있다. 장소자산 으로서 의미 있는 도시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도시를 살아가고 경험하는 도시고객의 가치 이해를 바탕으로 구축되며 지속적 매니지먼트로 브랜딩 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휴산업시설의 장소자산화를 위한 가치요인을 추출하여 장소자산화를 통한 도시고객중심의 전략적 도시브랜딩 방향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 장소자산화의 가치요인들을 추출하였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고객중심의 전략적 도시브랜딩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분석모형(안)을 제시하고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전문가평가를 통해 연구자의 분석을 검증하여 연구의 분석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세계도시경쟁력 평가 최상위국가인 런던, 뉴욕 및 파리, 중위권인 코펜하겐과 국내 대도시 서울, 부산을 대상으로 지난 20년 내 재생된 대표 장소 중 유휴산업시설의 유형별로 6곳을 분석하였다. (결과) 유휴 산업시설 장소자산화의 주요한 가치요인은 구축적 관점에서 맥락성·긍정성 및 관리적 관점에서 새로움·화제성이었으며, 도시 고객의 니즈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 도시브랜딩 특성은 거주자애착가치 형성, 관광객 경험가치 관리, 사업가 투자가치 제고의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휴산업시설 장소자산화의 구축적·관리적 가치요인 반영정도가 도시브랜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유휴산업시설은 고유한 맥락과 인간의 활동이 축적된 도시브랜드로서 잠재력을 가지며 장소 자산화를 통해 도시경쟁력의 충분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휴산업시설의 장소자산화가 독점적인 도시브랜드 구축 및 도시고객의 자긍심과 충성심을 이끌어내는 수단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장소자산화가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되어 향후 도시브랜딩 계획의 활발한 시도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mid contemporary rapid globalization, the city’s economic competition has led to an expansion of the tourism industry, making the “place” a center of consumption, and in terms of the city’s competitiveness, it has become an asset component of the attractive urban brand. In particular, idle industrial facilities used in the previous era have emerged as urban problems in the era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which have been required to be transformed into competitive place assets. To become a meaningful urban brand, as a place asset, it must be built on the basis of the value understanding of urban customers living and experiencing the city and be branded as a continuous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trategic urban branding study centered on urban customers through place assetization by extracting value factors for plac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extracted the value factors of plac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prior studies, and derived the strategic urban branding directions of urban customer-centerednes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this, the analysis model (proposal) was present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urther,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nalysis. Six of the representative sites that have been regenerated within past 20 years were analyzed for each typ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cluding in London, New York, and Paris, which are the top countries in the global urban competitiveness rankings, Copenhagen, which is ranked in the middle, and Seoul and Busan, the nation’s largest cities. (Results) The main value factors of th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contextuality, positivity, novelty, and topics from a constructive perspective, and the strategic urban branding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needs of urban customers were analyzed in three aspects: formation of residential affection value, management of tourist experience value, and enhancement of business investment value.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constructive and managerial value factors of the plac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ffects urban branding. (Conclusions)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potential as urban brands with unique context and accumulated human activities, and through place assetization, can be converted into sufficient resources for urban competitiveness. The study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lac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ould be a means to establish an exclusive brand and induce pride and loyalty from urban customer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location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ll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strategy to improve urban competitiveness and serve as basic data for the active attempt of urban branding plan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유휴공간재생관련 연구 비교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200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신재령 ( Shin Jaeryung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들은 급변하는 산업구조로 인해 유휴공간문제에 당면했고, 이를 컬처노믹스의 개념(문화와 산업을 창조적으로 융합)을 적용한 문화적 재생으로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은 시민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을 활성화하는 차별화된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일부 사례는 방문객의 재방문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재생관련 국내 논문의 주제, 시기, 분야, 내용 그리고 연구유형별 특성 등을 양적·질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유휴공간재생을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한 재생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휴공간재생의 개념 및 흐름을 파악하고, 양적·질적 비교분석을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각종 학술지논문을 검색한다. 이 중 이론적 고찰을 통해 추출된‘유휴(비활성화 의미)’와 ‘재생(전환가치 의미)’을 키워드로 하는 169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연구정보공유서비스 RISS및 누리미디어 DBpia, 한국학술정보 KISS 등 검색서비스 활용) 주제어별, 분야별, 시기별 특성들을 추출하는 양적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앞의 양적분석에서 특정분야의 특징적 변화를 보이는 2014년 이후의 학위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과 유형별 세부내용 및 특성을 도출하는 질적 분석을 실시한다. 셋째, 이러한 양적·질적 비교분석을 통해 시대변화에 따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유형별 핵심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유휴공간재생의 방향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지난 20년간 유휴공간재생과 관련해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는 건축, 디자인 분야가 70%이상을 차지하며 2014년 이후 디자인분야와 건축분야의 연구량이 역전되었고, 빈도가 가장 높은 주제어는 문화와 산업시설이었다. 둘째, 연구의 유형은‘운영 및 프로그램 연구’, ‘공간조성 연구’, ‘평가지표 연구’, ‘비즈니스 연구’의 4가지이며 각각의 세부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문헌연구와 사례자료 분석 등의 개념연구로부터 탈피하여 방문객 및 운영자 현장조사와 통계를 통한 실증적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결론) 현재 유휴공간재생의 화두는 다시 환원되지 않도록 하는 지속가능성의 확보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컬처노믹스 공간으로서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 활성화를 이끄는 유휴공간재생에 있어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해 연구유형별 세부특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시대변화에 따라 다양해지는 재생 공간 사용자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밝히고 향후 실증적인 유휴공간재생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have created the problem of idle space in cities, which has been addressed by cultural regeneration, applying the concept of culturenomics (creative convergence of culture and industry). These plans aim to create differentiated value-addition, which not on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but also revitalizes the region; however, some cases have failed to attract visitors, raising the issue of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regeneration, which is necessary for idle space regeneration, b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ing the subject, timing, fiel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apers on idle space regeneration. (method) First, we identify the concept and flow of idle space regenerati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use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various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9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keywords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Idle' (meaning deactivation) and 'Regeneration' (meaning of conversion value). Using this, it selects Flight 169 as the subject of research (using search services such as RISS and Nuri Media DBpia, Korean Academic Information KISS) and conducts quantitative analysis to extract characteristics by topic, field, and time. Second, in the previous quantitative analysis, 57 post-2014, degree papers that show characteristic changes in a particular field are qualitative analyses, which derive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tudy. Third, through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es, we identify trends in research as the times change and derive key elements for each type of research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future idle space regeneration.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on idle space regeneration over the past 20 years has accounted for more than 70% of the architecture and design sectors, with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design and architecture sectors reversed since 2014, with the most frequent topics being culture and industrial facilities. Second, four types of research, “Operation and Program Studies,” “Spatial Composition Studies,” “Assessment Indicators Studies,” and “Business Studies,” which derive their respective detailed characteristics. Third, empirical research through on-site surveys and statistics of visitors and operators is increasing, breaking away from conceptual research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data analysis. (Conclusions) Currently, the focus of idle space regeneration is on securing sustainability to prevent it from reversion.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need for a strategic approach based on the user value of renewable space that varies with the times and uses it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mpirical idle space regeneration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해안지역 경관시설물 부식방지도장 시공 후 성능평가 연구 -오이도 오션프런트 공공시설물 및 조경시설물을 중심으로-

        김정철 ( Kim Jungchul ),신재령 ( Shin Jaer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공공디자인의 활성화로, 경관시설물은 표준화된 형태와 색채를 구현하고자 철재 위 도장 방식으로의 제작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관시설물의 제작과정에 녹 방지 도장을 선행함에도 불구하고 시공 후 현장에서는 시설물의 부식이 진행되거나 도장이 완전히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는 특히 해안지역의 시설물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식방지 도장의 시공방식 적절성에 대한 점검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 설치된 경관시설물의 부식방지 도장에 대한 시공 후 성능평가요소 및 측정기준을 도출하여 실증적인 평가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해안지역 공공시설물 부식방지 도장의 기준 및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설치 후 5년 이상 경과한 경관시설물에 대한 시공 후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부식방지도장 기법과 시공 후 녹 발생 정도를 가시평가하고 계량화하여 부식방지도장 공법에 따른 녹 발생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설물별 가시평가 결과는 가로등 주와 가로등 분전함이 가장 높았고, 안전난간 5가 가장 낮았다. 도장 공법에 따른 부식방지 성능은 조합페인트(평균27.0)< 우레탄도장(평균52.9)< 분체 도장(평균 75.3) 순으로 높았다. 녹 방지 처리 공법별 부식방지 성능은 광명단 도장(평균22.3)< 갈바늄 도금(평균47.1)< 용융아연도금(평균68.6)< 녹 방지 무 처리(평균69.7)< 스테인리스 재질(평균88.2) 순으로 높았고, 들뜸 방지처리 공법별 부식방지 성능은 프라이머 미처리(평균 50.8)< 프라이머 전처리(평균 92.1)로 높아, 들뜸 방지처리에 따라 도막의 탈락이나 갈라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부식방지 성능이 가장 우수한 공법은 모재위에 용융아연도금 부식방지 처리 후 프라이머 처리와 분체 도장을 적용한 공법이었다. 특히, 용융아연도금 등 적극적인 녹막이 공법 위에 프라이머를 적용한 것은 우수한 부식방지 성능을 보였다. (결론) 해안지역의 경관시설물은 환경여건으로 인해 도막이 탈락되고 부식되기 쉬워, 녹막이 처리공법과 프라이머 전처리가 충실히 시공된 시설물의 부식방지 성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공자의 기술 숙련도에 따른 부식방지 성능차이가 있을 수 있어 각 공법별 성능 및 문제점의 비교에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는 해안지역 등 특수한 환경여건에 부합하는 부식방지 도장 공법을 파악하여 제시함으로써 공공디자인 및 조경 등의 사업 추진 시에 경관시설물의 설계 및 시공단계의 기초자료로 쉽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evitalization of urban public design,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landscape facilities with various coating methods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after the rust prevention coating, problems emerged at the site, such as corrosion or complete falling-offs of the coating in the landscape facilities, especially in coastal area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rrosion resistant coating methods. This study aims at empirical evaluation and analysis by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elements and measurement criteria for corrosion resistant coatings of landscape facilities installed in coastal areas. (Method) In this study an analysis model was presented by deriving the standards and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resistant coatings for public facilities in coastal areas. For landscape facilities that have passed more than 5 years after installation, the corrosion resistant coating methods and the degree of rust generation after the coating work were visually evaluated and quantif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us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ating metho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rrosion protection, both 'street lighting poles' and 'street lighting distribution box' were the highest score with 94.1 points, and 'fence 5' was the lowest with 11.7 points. The performance of corrosion protection by coating method was in the order of ready mixed paint coating (27.0) <urethane coating (52.9) <powder coating (75.3). The performance of corrosion protection by anti-rust treatment method was in the order of red lead coating (22.3) <galbanum plating (47.1) <hot-dip galvanization (68.6) <non-treated (69.7) <a stainless steel material (88.2). The performance of corrosion protection by blister-prevention treatment method was in the order of non-primer treatment (50.8) <primer pretreatment (92.1), and the difference in falling-offs and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was large depending on the blister-prevention treatment. The most excellent corrosion resistant method was a primer-treated coating method over an active anti-rust method such as hot dip galvanization. (Conclusions) As described above, the landscape facilities in coastal areas required a different corrosion resistant treatment than other areas because the coating film easily fell off and was corroded due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s this study is not an experimental study which is conducted under the same tim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quality condition, there was a limit of ambiguity in comparing the performance and determining problems for each method due to the difference in corrosion prote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kill of a painting worker.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easily used as basic data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of landscape facilities when promoting projects such as public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as it identified and presented a corrosion resistant coating method suitable for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oast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