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Geography Concepts

        Eui-kyung Shin(신의경),Mary Beth Henni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4

        이 연구는 일리노이지역 초등학생들이 지리교육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가르치는 지형과 지역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3학년부터 5학년 사이의 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학습과정을 통해서 지리개념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켜 나가지만, 그 과정에서 개념적인 이해를 추구하기 보다는 단편적인 사실적 지식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지리개념에 대한 정확한 정의보다는 예를 제시하는데 더 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지리개념을 가르칠 때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의 특성과 정의보다는 예시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at Illinois children know about two of the most commonly taught geographic concepts in grades three through five: landform and region. Thirty-three children from diverse 3- 5th grade classes were interviewed to learn what the children knew about these concep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children seemed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concepts as they progress in their learning; however, they seemed to focus on small pieces of knowledge, rather than developing a big picture of geography concept. Also,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provide an accurate example of a concept than an accurate definition. Therefore, teachers need to use examples to illustrate concepts and guide children to formal understanding of attributes and definitions of concepts.

      • KCI등재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y

        Eui-kyung Shin(신의경)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고 난 후 그들이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연구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사용을 돕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훈련과정이 제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분석 방법과 감상문을 기초로 한 질적 분석이 함께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은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쉽게 지리정보시스템을 배웠으며, 지리정보시스템의 사용이 초등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들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는 이점을 인정하였다. 반면, 이 연구에 참가한 초등예비 교사들중 9%의 응답자가 미래에 지리과목을 가르칠 생각이 없다고 했으며, 8%는 지리정보시스템이 초등학생들의 학습에 공헌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점에도 불구하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재 초등지리교육의 위치와 제반 문제점에 근거한 것으로, 그것들이 전반적인 지리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쟁점들을 논하고 있다. Using both quantitative (survey) and qualitative (reflection papers) approaches, this study report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d using GIS technology after completing GIS training. The GIS training provided in this study was helpful and user-friendly,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cknowledged the benefit of GIS in elementary classrooms.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raised the issues that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ts impact on geography education in all levels.

      • KCI등재

        저널리즘의 환경 변화와 전문직주의 현실: 반성적 시론

        김경모 ( Kyung Mo Kim ),신의경 ( Eui Kyung Shi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2

        새로운 환경 변화에 직면한 한국 언론의 위기를 분석한 다양한 논의가 있지만 언론 전문직주의를 다룬 논의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이 글은 전문직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 저널리즘의 전문직주의 문제를 시론 수준에서 살펴본다. 한국의 언론은 식민지배, 분단고착, 군부독재, 민주화라는 특수한 역사와 문화를 경험하는 동안 치열한 시장 경쟁에 내몰리면서 전문직주의의 핵심 가치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지 못한 채 영미권 언론으로부터 수입한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형식적 관행만을 피상적으로 실천해왔다. 이에 따라 지사형-상업주의 체질이 팽배해 상대적으로 언론 전문직주의의 가치와 실천이 저발전의 상태에 머물렀다. 더욱이 온라인 언론 환경이라는 구조적 변화가 전문직주의를 새롭게 조명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글은 전문직주의를 고찰하는 프라이드슨의 관점을 원용해 한국 언론의 전문직주의가 직면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새로운 전망을 모색하는 논의를 촉구한다. While there are many studies analyzing crisis of Korean journalism in changing media environment, relatively few of them are found on the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with a sociological approach on the problems of Korea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Experiencing dynamic historical events such as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vision into North and South,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an abrupt democratization, Korean journalism has not had enough time maturing its own value; it mechanically imported and implemented Anglo-American objective journalistic practices, missing its core value. Then, patriotism and commercialism has hindered Korea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developing its own value and practices. However, recent change into the online journalism environment strongly demands us to take a new look at the professionalism. The paper applies Freidson`s view of professionalism to assess problems of Korea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and calls for a need to consider new prospects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