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적정 주택에 나타난 통합성 연구

        신은기 ( Eungee Cin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간계층을 위한 합리적인 규모의 주택, 즉 적정주택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건축가의 역할에 대한 사례로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과 유소니아 전시주택을 대상으로 한다.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은 20세기 초 우편주문주택이라는 주택 공급과 시장 체계에 대한 대응이었다면, 유소니아 전시주택은 유럽 모더니즘 영향에 따른 주택의 대량생산과 전후 대량주택공급업자들의 시대에 대한 대응이었다. 이 두 시대를 동시에 살펴보는 것은 서로 다른 사회적 조건에 대해 건축가가 적정 주택에 접근한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건축가가가 적정 주택에서 자신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적용한 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두 시대의 대표적인 주택공급업자들의 주택인 우편주문주택과 대량공급주택의 생산방식, 평면계획방식, 주택정보전달 방식을 조사하고, 이를 라이트의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과 유소니아 전시 주택과 각각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시대의 대표적인 주택공급업자들에 대응하는 라이트의 적정주택 접근 방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은 목구조 프레임이나 장방형 평면 등과 같이 당시 우편주문주택의 형식들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였다. 다만 풍부한 디테일이나 식당과 거실의 통합, 내부 공간을 함께 보여주는 드로잉 방식은 라이트가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보여주었던 그의 고유한 건축적 아이디어가 반영된 결과이다. 유소니아 주택에서는 독자적인 유닛 시스템 적용,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주장했던 수평적 확장에 기반한 평면을 적용하였지만, 가족 단란의 중심으로서 부엌과 같은 요소는 대량공급주택에서 가져오기도 하였다. 즉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이 우편주문주택이라는 틀 안을 유지하면서도 라이트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담았다면, 유소니아 전시주택은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이어지는 라이트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되, 당시 주택공급업자들의 건축적 요소나 유럽 모더니즘의 영향들을 수용하는 방식을 보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소니아 주택은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보다 적극적으로 통합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라이트가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제거의 방식은 재료와 구조, 공간과 형태를 모두 통합하며 라이트가 추구했던 건축적 표현을 만들어내었다. (결론) 라이트는 적정주택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건축가가 추구했던 건축적 목표와 함께 고려하며, 이 과정에서 통합성이라는 건축가의 건축적 전략을 점차 강화시켰다. 적정주택에 있어서 경제성이 제약이 아니라 건축가의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architect’s strategies in designing affordable houses for the middle class through Frank Lloyd Wright’s American System Built-Home and Usonian Exhibition Houses.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was a response to the Mail Order Houses, a popular housing supply and market system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reas the Usonian Exhibition House was a response to the Mass Builders’ Houses and European Modernism in the post-war era of the mid-20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se two affordable houses at the same time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trategies that the architect can implement when applying architectural ideas to design affordable houses that account for different social conditions. (Method)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in both the Mail Order House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Mass Builders of the mid-20th century: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structures and materials; planning strategies; and the drawings presented to the public. These properties were compared to those of each of Wright’s affordable houses in the same era according to the categories. The analysis sought to determine Wright’s approaches to affordable house design in responding to popular housing suppliers. (Results)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displayed strong similarities with Mail Order Houses in terms of the wooden framing i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limited rectangular floor plan. However, Wright’s unique architectural ideas inherent in his prairie houses could be found in the rich construction details, integration of dining rooms with living rooms, and interior spaces displayed in the axonometric drawings of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The Usonian House showed more differences from most mass builders’ houses by developing their own unit system. The L-shaped plan was also earlier than other mass builders’ houses, although it became a popular element later. However, the centered location of the kitchen appeared in Usonian House, representing that family togetherness may have been one of the factors influenced by the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s adopted Wright’s architectural ideas and principles, maintaining the conventional frames of the Mail Order Houses; meanwhile, Usonian Exhibition House added mass builders’ elements or influences of European Modernism to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For the Usonian House, the concept of “integrity” was more aggressively applied, thereby manifesting Wright’s envisioned architectural style of combining materials, structures, spaces, and forms in considering the process of ensuring the economic scale for an affordable house. (Conclusions) Wright developed the concept of integrity as his architectural strategy to pursue both his principles and value for money. It is an example that the economic aspect of an affordable house could be an architect’s strategy, instead of a constraint, in the design process.

      • KCI등재

        여의도 시범아파트 단지의 도시적 경계공간 연구

        신은기 ( Cinn Eungee ),정윤천 ( Jung Yoon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여의도 시범아파트 단지계획을 통해 초창기 아파트 단지계획에서 이상적인 근린을 조성하기 위한 시도들을 살펴본다. 여의도는 서울의 근대화 과정에서 조성된 이상적인 계획도시였으며,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여의도의 초기건축물 중 하나로 우리나라 최초의 고층 아파트 단지이다.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주거 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서구의 단지계획 원리인 근린주구 이론이 여의도 시범아파트에 적용된 방식을 도출하고 여의도 시범아파트의 건축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전쟁 이후 초기 국내에 근린주구 이론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여 근린주구 이론에 대한 접근방식을 도출한다. 여의도 시범아파트의 배치계획을 당시 도면과 항공사진, 현장 방문을 통해 분석하며, 이전 단계의 계획안들과 비교하여 차별화되는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결과) 여의도 계획에서 계획했던 입체적 보차분리 대신 쿨데삭을 도입하여 슈퍼블록 내에서 수평적 보차분리를 적용했다. 이로 인하여 단지 내부에 공용시설들이 밀집한 보행자 전용공간들이 형성되었으며, 고층의 건축물들과 녹지, 차량 공간들로 구성된 켜가 이 전용공간을 단지 외부와 분리시켜 단지의 근린 분위기를 유지하였으며, 동시에 도시에 대응하는 경관을 만들어내었다. 노선상가 앞부분에는 전면광장을 조성하여 노선상가와 도시 사이의 버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당시 다른 아파트들이 갖고 있던 노선상가의 이중적 성격, 즉 커뮤니티 공용시설로서 단지 내근린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지역 상업시설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면광장에 도입된 건축적 요소들, 고층 입면과 아케이드, 수공간과 상징탑 등은 단지가 도시에 대응하는 전면성과 기념비성을 만들었다. (결론) 여의도 시범아파트 이후에는 단지 중심에 커뮤니티 공용시설들이 밀집된 배치가 등장하여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며 단지 내부의 폐쇄성이 더욱 강화되었다.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이 과도기 단계에서 당시 아파트 단지 계획이 당면하고 있던 문제들에 대하여 기능적인 접근 뿐만 아니라 건축적 경험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안을 제시했다. 오늘날 아파트 단지와 도시와의 경계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는 상황에서 여의도 시범아파트의 접근은 오늘날에도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Yeouido Sibum Apartments complex, constructed in 1971, to reveal the attempts to create an ideal neighborhood for the early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Yeouido was an newly developed ideal town in 1960s and this apartment complex has been one of the first erected structures in this area and also the first high rise apartment complex in Korea. We focused on the strategies how the neighborhood unit principle were introduced and modified to create an ideal residential community for this apartment, and to handle the insufficient urban infrastructure. (Method) We research the articles of the neighborhood unit principle, published in 1950-60s to find the major points for the early planners to consider for the apartment complexes. Based on these researches, we analyze the layout plans of Yeouido Sibum Apartment through drawings,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stinguished features compared to the previous plans. (Results) Although the elevated pedestrian ways were canceled in Yeouido masterplan, the ideas separating the pedestrians from the car traffics were maintained by introducing the cul-de-san into the superblock. This system enabled to the large central outdoor space with communal facilities for pedestrians only, surrounded by the layer composed with the high rise buildings, vehicle spaces and green areas. The layer makes this communal spaces exclusive inside and forms the landscape confronted the outside to the urban context. Also another distinguished feature of this apartment from other apartment complex at the time, is the plaza in front of the shopping arcade, which should be a community spaces and at the same time, a regional commercial center due to the lack of the urban infrastructures. The private atmosphere of community could be preserved to some extent through this buffer while the shopping arcade has performed the contradictory roles. Moreover, the architectural elements, including the high rise elevations, the geometrical structures for the arcade, the reflecting pool and the symbolic sculptures create the monumental facade to the urban context. (Conclusion) The apartment complex, formed following Perry;s original neighborhood unit principles more literally, appeared in Jamsil Apartment, 1975 after the Yeouido Sibum Apartment. The communal facilities were clustered at the center of the block, separated from the urban context in Jamsil Apartment complex, and the layout created more private and exclusive spaces against the city. The Yeouido Sibum Apartments presented attempts in terms of architectural experience as well as a functional approach to the problems the early apartment complex experienced in that transitional stage at the time. Today, those attempts should be revaluated considering that we still have situations regarding the boundary between apartment complexes and cities.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에서 거실의 위상과 역할 연구

        신은기 ( Cinn Eungee ),박유정 ( Park You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을 통해 공급된 표준화된 주택 평면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거 근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표준화된 주택 평면은 당시 사회의 다양한 논의와 필요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당시 다른 주거 공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택은 가족의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주거의 서구화, 근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미국의 소규모 주택 평면들과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주택의 대량공급이 시작되던 시점에서 표준화된 주거 평면이 발전해가는 과정을 통해 현재 주거공간의 원형을 드러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중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주택에서 표준화된 평면의 특징을 미국 FHA의 기본 평면의 구성과 규모에 따른 확장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에서 공급한 주거들의 평면들을 대상으로, 거실과 부엌, 침실을 포함하는 주요 실들의 구성과 관계들을 분석하고, 특히 규모에 따라 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하였으며, 이를 미국 FHA 평면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과)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미국 FHA의 평면과 대한주택영단의 9평 평면은 2x2 구성에 기반한 장방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내부 실의 배열에 있어서 부엌-거실-침실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미국 FHA 평면의 경우 처음부터 거실과 부엌이 가족의 공용 영역을 형성했다면,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동선으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확장 과정을 살펴보면, 미국 FHA 평면의 경우 가족의 공용 영역을 유지한 채 침실 영역을 확장해 갔다면, 대한주택영단의 평면은 기존 구성의 거실 옆으로 침실들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거실은 주거 공간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거실은 공간적으로는 중앙에 있었지만, 규모가 작아질 경우 가장 먼저 사라지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15평 이상의 규모가 될 경우에는 동선공간과 분리하여 거실 공간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미국 FHA 평면과 기본 구성과 확장 과정에서 유사성을 보였지만, 전통적인 부엌 공간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거실의 역할에 대한 의문으로 기본 평면의 실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거실 공간의 역할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 평면의 확장 과정은 거실이 침실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만들었으며, 이는 이후 부엌이 거실과 연결되고 가족 공용공간이라는 개념이 확립된 이후에도 지속돈다. 이는 현재 평면에도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 근대 표준 평면의 한 특징이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lans of house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KNHC) in the 1950s to reveal how residential spaces have changed and have been modernized since the Korean War. These plans are valuable because they are one of the initial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and were developed by the public agency for mass production to overcome the severe housing shortage problems. In particular, Korean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different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common and individual spaces from small hous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modern Korean housing. We expect that the KNHC will display the development process to form the unique properties of Korean residential spaces. (Method) First, we examined the layout of plans in the Technical Bulletin for the Small Houses provided by Federal Housing Association(FHA) in the mid century of US focused on how the basic plans were set up and then expanded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living room, kitchen and bedrooms. Next, we analyzed the layout of plans in KNHC in same ways and then compared them to plans of FHA. (Results) The basic plan of FHA and 9-Pyeong plans have common features in the simple rectangular form with 2x2 configuration, but differentiated in relationship between kitchen-living room-bedrooms. While the livingroom and kitchen face each other and form the common area in the basic plans of FHA, the livingroom and kitchen are separated each other and not connected by interior corridors in the initial KNHC plans. The both plans increase by adding the bedrooms to the existing basic compositions, but it differs in where the additional bedrooms are added. The plans of FHA could main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ivate areas with individual bedrooms and the common area by adding the additional bedrooms adjacent to the existing bedrooms. However, in the plans of KNHC, the bedrooms are added next to the livingroom and then the livingroom is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surrounded by the bedrooms. Moreover, the livingroom was often considered as unnecessary space at that time, so often disappeared under 9-pyeng houses.(Conclusion) The KNHC plans in the 1950s show similarities to the plans of the FHA in the basic 2 × 2 configuration and the process of expansion, but differ in dealing with family common spaces. It comes not only from the physical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itchen spaces, but also from questions about the roles of living room. These have created distinctive locations for the living room and have remained the most recent residential plans in Korea since the concept of family common spaces wa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 KCI등재

        PR 공간이 결합된 복합사옥 설계에 관한 연구 - 스포츠브랜드 사옥을 중심으로 -

        엄지은 ( Eom Jieun ),신은기 ( Cinn Eung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대중이 브랜드와 소통하고 경험하는 공간은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공간에서 멀티 문화 공간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 컨셉과 체험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직원과 소비자 소통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되어 왔으며 다양한 계획안이 제안되었지만, 상품의 전시, 판매나 소비자로의 전달성에 집중되어 있을 뿐 직원과 소비자의 접점의 공간은 구체적인 전략이 구성되어있지 않았다. 또한 선행사례의 경우 직원공간과 소비자의 공간이 철저히 분리되어 있거나 소극적인 소통을 제안하였고, 적극적인 연계는 예약을 통한 방문으로 제한적인 것이 특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경험 공간을 확대하고 직원과 소통하면서 직원공간의 보안,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PR공간에 대한 변화와 유형을 알아보고 구체적인 공간 전략을 도출했다. 또한 기업 사옥과 PR 공간이 복합화된 최근 10년 사이 건축된 사례를 도심, 교외형으로 분리해 분석하여 공간의 운영방식, 프로그램의 조닝 및 동선, 인지성을 알아보고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인 직원과 대중을 위한 복합화 전략을 도출했다. 대중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수직 조닝에 기반한 도심형 사례의 전략을 토대로 동선 및 프로그램 배치 계획이 이루어졌다. (결과) 대중의 경험 기반 소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체험 마케팅의 범위가 다양한 스포츠 용품 브랜드의 사옥을 대상으로 하여 PR공간이 복합화된 사옥 건축을 제안하였다. PR 공간이 복합화된 6개의 사옥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선정했으며 직원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직원 복지 공간을 복합화했다. 이를 목적성과 개방성에 따라 재배치하고 용도의 복합화와 아트리움을 통해 수직, 수평적으로 공유하도록 제안했다. 가장 개방적인 외부 진입광장부터 폐쇄적인 업무공간까지 직원과 소비자의 공간의 적절한 분리와 연계를 제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직원 공간의 보안성과 업무공간의 공간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직원과 잠재적 소비자인 대중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직간접적인 브랜드 경험을 할 수 있는 체험 공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점차 복합화되어 가는 사옥 건축의 방향을 제안하는데도 의의가 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조닝 계획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세부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pace where the public communicates and experiences with brands is expanding from a space where products are displayed and sold to a multicultural space, and recently, it is expanding to a variety of design concepts and experience space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and consumers has continued to be emphasized, and various plans have been proposed, but the space of contact between employees and consumers is not composed of specific strateg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ecedents, the employee space and the consumer space were thoroughly separated or passive communication was proposed, and active linkage was characterized by limited visits through reserv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mplex strategy that can expand the consumer experience space and maintain the security and efficiency of the employee spac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employees.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and types of PR spac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derived specific spatial strategies. In addition, by analyzing cases built over the past 10 years in which corporate offices and PR spaces have been combin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pace, zoning and circulation of programs, and cognitive strategies were derived for employees and the public, which are different user groups. Plans for the placement of routes and programs were made based on the strategy of urban cases based on excellent public accessibility and vertical zoning. (Results) This study targets the office buildings of sports goods brands with a wide range of experience marketing, with the public's experience-based consumption accounting for a large proportion. The program was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6 office buildings that combine PR spaces, and the employee welfare space was combined for active communication with employees and space efficiency. It was proposed to relocate this according to purpose and openness, and to share 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complexity of use and atrium. From the most open external entry plaza to the closed office, we proposed proper separation and linkage of the spaces of employees and consumers.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n experience space where employees and the public, who are potential consumers, can freely communicate and experience direct and indirect brand experiences while maintaining the security of employee space and space efficiency of the office. Research on the complex space of consumers and employees needs to be conducted in planning PR spaces combined with offices while proposing various space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zoning plan, the detailed design for each program needs to be sup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