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남녀 뇌졸중 환자의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 Y. A. Kim ),김효중 ( H. J.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뇌졸중 환자들에게 장기간의 복합운동을 실시한 후 성별에 따른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지표 변화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고,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지표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남성 편마비 환자 27명과 여성 편마비 환자 23명으로 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 강도는 70%HRmax, 13~14RPE의 강도에서 고정식 자전거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력 운동은 8개의 대근육군을 중심으로 한 종목당 10~15RM으로 1RM의 65~75% 강도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24주간 주3회,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80분, 정리운동 5분으로 총 90분간 실시하였다. 24주간 복합 운동 후 뇌졸중 환자들의 체중(p<.05), WHR(p<.001) 및 총콜레스테롤(p<.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또한 ox-LDL, ox-LDL/LDL (p<.001)과 ferritin 수준(p=.053)이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변화량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ox-LDL은 총콜레스테롤(r=.575, p<.001) 및 중성지방(r=.338, p<.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ox-LDL/LDL은 중성지방(r=.47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Ferritin은 체중(r=.409, p<.01), 체질량지수(r=.316, p<.05), 및 공복시 혈당수준(r=.458, p<.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CRP는 체중(r=.292, p<.05), 체질량지수(r=.359, p<.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화스트레스의 지표들은 ferritin과 CRP 수준(r=.298, p<.05)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 뇌졸중 환자들이 더 높은 관련성을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장기간의 복합운동은 뇌졸중 환자들의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을 감소시키고, 뇌졸중 재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24weeks aerobic and resistance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xidative stress in stroke patient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markers of oxidative stress. Fifty stroke patients(male: 27, female: 23) volunteered for this study.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training program for 24 weeks(3days a week, warm-up 5minutes, exercise 80minutes, and colo-down 5minutes)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75% HRmax, 13~14RPE) and resistance exercise(65~75% RM, 10~15RM). After exercise training, body weight(p<.05), WHR(p<.001), and total cholesterol(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ercise groups.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p<.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number(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training. Ox-LDL, ox-LDL/LDL(p<.001) and ferritin concentrations(p=.053) were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training.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roke patients. Tot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x-LDL, total cholesterol(r=.575, p<.001) and triglyceride(r=.338, p<.05) was observed. The ox-LDL/LDL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r=.476, p<.001). Ferritin concentration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r=.409, p<.01), body mass index(r=.316, p<.05), and fasting glucose levels(r=.458, p<.005) and CRP levels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r=.292, p<.05) and body mass index(r=.359, p<.01). Moreover, ferritin concentration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P levels(r=.298, p<.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arkers of oxidative stress affect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specially in male stroke patients. Taken together, the aerobic and resistance combined exercise programs were effect on the reduc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xidative stress and the prevent of recurrent stroke.

      • KCI등재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신윤아 ( Y. A. Shin ),김민정 ( M. J. Kim ),안재흥 ( J. H. Ah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신윤아, 김민정, 안재흥.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249-260, 2011.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정 시 자세변화와 운동 시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8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들(20.25±0.43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안정 시 누운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심박수 변이도를 10분씩 측정하고 유산소와 저항운동 30분 동안 심박수 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라 심박수(p<.001), 이완기혈압(p<.05), mean R-R(p<.01) 및 LF/HF(p<.01)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누운자세에 비하여 앉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1). 유산소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5), VLFP(p<.01), LFP(p<.05), LF/HF(p<.01)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저항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1), VLFP(p<.01), HFP(p<.05)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1), VLFP(p<.05), HFP(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혈압은 수축기 혈압만이 유산소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저항운동은 미주신경과 말초교감신경의 활성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blood pressure (BP) according to the posture and exercise type.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20.25±0.43 y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HRV was assessed for 10 minutes at rest and 30 minutes during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separatedly.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DBP (p<.05), mean R-R (p<.01), and LF/HF (p<.01) according to the difference posture. Heart rate, DBP, mean R-R, and LF/HF were shown higher in sitting and standing posture than supine posture (p<.01).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5), VLFP (p<.01), LFP (p<.05), and LF/HF (p<.01) during aerobic exercise and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1), VLFP (p<.01), and HFP (p<.05) during resistance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type,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1), VLFP (p<.05), and HFP (p<.01). SB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erobic exercise. Therefore, HRV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posture and exercise type. The cardiovascular response to exercise was controlled through cardiac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peripheral sympathetic nerve activity by resistance exercise.

      • 토양 수분함량이 토마토 묘의 생육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김동억,강정균,신윤아,홍순중,이운용,우영회,Kim, D.E.,Kang, J.K.,Shin, Y.A.,Hong, S.J.,Lee, W.Y.,Woo, Y.H.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19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1 No.2

        본 연구는 토마토 육묘 시 생육과 묘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에서 수분함량이 모종의 생육과 항산화효소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엽온의 변화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토마토 모종을 관수한 상태의 무게가 50g, 40g, 30g가 되도록 관수를 하였고 각 묘 및 트레이의 무게를 시간마다 측정하였으며,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엽온을 측정하였고, 실험 후 각 묘의 항산화효소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상토 무게의 변화는 주간 감소량 보다 야간의 감소량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묘의 무게별 감소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토 무게에 따른 생육 변화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효소는 상토 무게 50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근권부에 과습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장시간 생육 변화, 실시간 환경 변화 조사 및 상토 종류에 따른 증발산량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토마토 육묘 시 변온이 생육과 저온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동억,이운용,배광수,신윤아,강정균,우영회,강동현,Kim, D.E.,Lee, W.Y.,Bae, K.S.,Shin, Y.A.,Kang, J.K.,Woo, Y.H.,Kang, D.H.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18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0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lternating temperature control during night time in a nursery seedling production. Three groups of samples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6 days from 18:00 to 09:00; one was constantly 15 ℃, another was alternating between 15 ℃ for 2 hours and 11 ℃ for 2 hours, and the other was alternating between 15 ℃ for 2 hours and 11 ℃ for 4 hours. Leaf temperature and stem temperature was measured in real time. The influence of cold stress was analyzed by flavonoid content and growth of tomato seedling. The temperature of leaves and stem became equal to the ambient temperature over time,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heating costs can be saved considerably, as the alternating temperature has fewer effects on cold stress reaction by tomato seedling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