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N3 유전자형에 따른 저항훈련 후 최대근력, 근파워 및 근지구력의 변화 비교

        신윤아(YunAShin),김성진(SungJinKim)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운동수행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CTN3 유전자형에 따른 근력, 근파워 및 근지구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10주간 저항훈련을 실시하여 근육형성과 근력, 근지구력 및 근파워의 증가에 미치는 유전자형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62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24.50±1.84세)들을 대상으로 채혈을 통해 ACTN3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ACTN3 유전자형 빈도는 R577R 유전자형(18명, 31.1%), R577X 유전자형(34명, 55.7%), X577X 유전자형(10명, 13.2%)의 분포를 나타내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강도 저항운동 후 신체구성은 체지방률이 감소하고 근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전 최대근력에서는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근지구력과 근파워에서는 XX 대립형질 집단이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항운동 후 최대근력, 근지구력, 근파워의 수준의 변화는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uscle strength,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following resistance training according to ACTN3 genotype. Sixty two male university students(24.50±1.84 yrs)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otypic frequencies of ACTN3 R577R(n=18, 31.1%), R577X(n=34, 55.7%), and X577X(n=10, 13.2%), respectively. After 10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body percent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TN3 genotype didn't showed the difference of physical characteristic in pre and after resistance training. Prior to resistance training, muscle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ACTN3 genotype. However,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ACTN3 genotype and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in XX allele group was significant lower than R577R and R577X genotype. After resistance training, the changes of muscle strength,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didn't showed the difference. These findings showed that ACTN3 genotype is no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in response to resistance train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심폐체력과 염증반응 지표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관련성 비교

        신윤아(YunAShin),김광준(KwangJu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심폐체력과 염증반응 지표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68명으로 구성되었다. 심폐체력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중 체지방률, 수축기 혈압 및 총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아디포넥틴은 허리둘레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고밀도지단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렙틴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및 이완기혈압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RP는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체력과 염증반응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또한 심폐체력은 아디포넥틴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렙틴 및 IL-6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 다중회귀분석 결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대해 렙틴, 심폐체력 및 아디포넥틴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예측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폐체력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염증반응 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심폐체력의 상승은 염증반응 지표의 개선을 통하여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inflammation mark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68 middle-aged women.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ody fat, SBP and TC. Adiponect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C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WC and FBG. Leptin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I, %body fat, WC, SBP, DBP and TC. CR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C and TG. Moreover,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and IL-6. Th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lepti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adiponectin were the greatest independent-prediction factor for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ardiovascular disease and inflammatory marker. Furthermore, the increase of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may improve the inflammatory marker, which in turn prevent and modulat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

      • KCI등재

        12주간의 유산소 지상운동과 수중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호모시스테인 및 염증반응 지표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YunAShin),강서정(SeJungKa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12주간의 유산소 지상운동과 수중운동을 실시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호모시스테인 및 염증반응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29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유산소 지상 운동군과 수중 운동군으로 무선 배정하여 HRmax의 70%에서 하루 50분의 유산소 운동을 주3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주간의 유산소 지상운동과 수중운동 후 체중, BMI,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심폐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 CRP와 피브리노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슐린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2주간의 운동훈련 전·후 변화량은 피브리노겐이 총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호모시스테인은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인슐린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심폐능력의 변화량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산소 지상운동과 수중운동은 뇌졸중 환자들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뇌졸중 재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으로 사료되며, 특히 지상운동이 신체조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12weeks aerobic land and aquatic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homocysteine and inflammation markers in stroke patients. Twenty-nine stroke patients (mean±SD: age, 51.4±5.5 years) volunteer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each stroke patient were randomly divided into aerobic land exercise training group(ALEG) and aerobic water exercise training group(AWEG).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pervised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3days a week)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70% HRmax, 50minutes a day). After 12 weeks of exercise training, body weight, BMI, percent of body fat, cardiovascular fitn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SBP, TC, TG, HDL-C, CRP, and fibrinog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exercise groups, and insul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fibrinogen and TC was observed. The changes of homocystein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SBP, TC, FBG, and insulin levels an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fitnes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erobic land and aquatic exercise programs were effective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troke recurrence. Furthermore, land exercis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o improve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노인의 자세 대칭성과 낙상의 관련성 연구

        신윤아(YunAShin),김연수(YeonSooKim),이승주(SeungJooLee),김석희(SeokHeeKim),남현석(HyunSukNa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습관과 자세의 비대칭성이 낙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60~90세의 노인 193명이었으며, 이들은 낙상경험이 있는 군 (n=86), 낙상경험이 없는 군 (n=107)으로 구성되었다.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의 양하지 수직지면반력과 전후방 지면반력의 차는 낙상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지근지구력과 균형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세의 대칭성 변인 중 앉은 자세로부터 일어서기 (STS) 동작 시 소요되는 시간과 양하지 수직지면반력의 차, 전후방 지면반력의 차가 신체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습관에 따른 비교는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가진 노인이 자세의 대칭성과 균형력이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지면반력을 이용한 서있는 자세와 STS 동작 시의 정량적 연구결과는 낙상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postural asymmetry to falling experience in the elderly. The subjects, composed of 193 men and women aging from 60 to 90 year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falling experienced group (44.6%, n=86) and a non-falling experienced group (55.4%, n=107). The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VGRF) between the right and left leg,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 (GRF)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roups. Also,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the balance abilit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Significant correlation has been found between the postural asymmetry variables (STS duration, STS RL-VGRF-Diff, AP-GRF-Diff) and the fitness tests. Individuals with exercise habit had higher values of postural symmetry and balance control than non-exercised individuals.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cquired by performing STS movement using a force platform may be used as indicators of prediction of falling accidents.

      • KCI등재

        이식건 종류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근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현식(HyunSikChoi),신윤아(YunAShin)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건 종류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성인남자 18명을 대상으로 8주간의 재활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등척성 근력 및 균형성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군간의 회복 양상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18명중 동종건군 9명, 자가건군 9명이 8주간 주 3회 재활운동에 참여 한 후 사전, 4주, 8주에 걸쳐 등척성 근력 및 균형성을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실시된 8주간의 재활운동프로그램은 동종건군과 자가건군의 슬관절의 등척성 근력 및 균형성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환자는 회복과정에 있어 재활운동을 참여함으로써 슬관절의 근기능과 균형능력에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재건술에 사용되는 자가건과 동종건의 수술방법의 차이는 재활훈련 후 환측의 신전근력과 굴근 근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술 후 안정화되는 시기와 적응의 차이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추후 원인을 명확히 밝힐 수 있는 장기적인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uscular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after eight weeks rehabilitation programme allograft and autograft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eighteen subjects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programme 3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Isometric strength test and balance ability test were done before rehabilitation programme, in fourth and eighth week during rehabilitation programm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habilitation programme improve knee joint isometric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after ACL reconstruction. Therefore, the rehabilitation programme can help the recovery of knee joint muscular function and balancing ability after ACL reco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tensor and flexion strength recovery pattern between the allograft and autograft used for the reconstruction. Recovery pattern may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 in stabilization period and adaptation related to graft types in ACL reconstruction. Further study is needed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after long-term rehabilitation programme between the graft types.

      • KCI등재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체간과 하지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황시영(SiYeongHwang),신윤아(YunAShin),이준희(JoonHee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태권도학과 시범단 8명과 일반학생 8명을 대상자로 선정을 하여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체간과 하지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태권도 앞차기, 돌개차기, 뒤후려차기 동작 시 이용되는 주요근육을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무릎을 들어올리는 동작(P1)과 발을 차는 동작(P2)구간별로 근 활성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앞차기 동작 시에는 비숙련자들은 체간의 하부복직근의 활성도와 차는발의 대퇴이두근 및 지지발의 내측광근 및 외측비복근의 활성도가 숙련자보다 높고, 허리세움근 2개의 근활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돌개차기(턴차기) 동작 시 회전동작에서는 숙련자들의 대퇴이두근과 척추근의 활성도가 비숙련자보다 높고, 차는동작에서는 하지 근 활성도는 대퇴이두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뒤후려차기 동작 시 비숙련자들의 차는발 외측비복근과 지지발의 대퇴근육 3개의 근 활성도가 숙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숙련자들은 회전동작에서 체간을 사용하며 빠르게 회전하고 차는 발의 근 활성도가 높지 않지만, 비숙련자들은 차는발과 지지발에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차는 동작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체간근육보다는 하지에 힘이 들어가 비효율적인 동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stery of Taekwondo kicking motions with the subjects of 8 demonstration team members and 8 undergraduates in Taekwondo major at University. The muscles mainly used for Taekwondo’s front kick, tornado kick, or turning hook kick are total 8 trunk muscles and 8 lower limb muscles of the kicking foot as well as the supporting foot. Analyzing the muscular activities of those areas comparatively,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At the front kick, non-experts showed higher lower abdominal muscle, biceps thigh muscle activity of the kicking foot and lateral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of the supporting foot but lower 2 spinals muscular activity than experts. At the tornado kick (or turning kick), in the turning motion, experts indicated higher activity in biceps muscle of thigh and spinalis than non-experts whereas in the kicking motion, they didn’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except biceps thigh muscle activity. At the turning hook kick, non-experts indicated higher lateral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of the kicking foot and quadricpes femoris muscle activity of supporting foot muscular activity than experts. In summary, experts tend to use their trunk in the turning motion for rapid turning and show rather low muscular activity of their kicking foot. However, non-experts indicate high muscular activity in their kicking foot and supporting foot, which means to maintain balance in the kicking motion, they tend to make use of their lower limb more than trunk muscle, and it leads to an inefficient motion.

      • KCI등재

        대학 농구선수들의 시즌 전ㆍ후와 경기 중 면역스트레스 반응의 변화

        김성진(SungJinKim),신윤아(YunAShin)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본 연구는 대학 농구선수들의 시즌 전·후와 경기 중 면역-스트레스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농구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남자 대학농구선수 7명(21.71±1.11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즌 전·후의 sIgA수준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중 sIgA 수준은 경기 전에 비하여 경기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시즌 전·후의 타액 코티졸 수준의 변화는 오후 8시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경기 전 타액 코티졸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경기 중 타액 코티졸 수준은 경기 전에 비하여 하프타임(p<.001)과 후반종료 후(p<.001)에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즌 전·후의 타액 DHEA 수준의 변화는 오후 12시와 오후 8시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경기 전 타액 DHEA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경기 중 타액 DHEA 수준은 경기 전에 비하여 하프타임(p<.01)과 경기 후(p<.01)에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면역-스트레스 반응은 시즌 전에 비하여 시즌 후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기 전 면역반응은 감소하고 스트레스 반응은 증가하였으며, 경기 중 면역-스트레스 반응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basketball games and seasons on the immune-stress responses in college basketball players. Total 7 male college basketball players (21.71±1.11yrs) belong to the KBA (Korea Basketball Associ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 IgA before and after the basketball season.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 IgA during the game,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after the game, compared to the level just before the game(p<.01).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saliva cortisol before and after the basketball seas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ncentration tended to decrease after the basketball seas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t PM 20:00(p<.01). The level of cortisol declined on the day of the gam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 cortisol during the game,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halftime and after the game, compared to the level just before the game(p<.001). With regard to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 DHEA before and after the basketball season,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tended to declin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PM 12:00 and at PM 20:00(p<.05). Regarding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aliva DHEA during the game,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halftime and after the game, compared to the level just before the game(p<.01).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the immune response and stress hormone change were lowered after the basketball season. Moreover, the immune response decreased and the stress response increased before the game, and the immune-stress response increased during game.

      • KCI등재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 및 하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남영(NamYoungChoi),장희승(HeeSeungJang),신윤아(YunAShin)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과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10명의 피험자가 안정면, 불안정면인 스타빌리티 블루와 블랙, 보수에서 75% 1RM의 강도에서 스쿼트 동작을 실시하였다. 체간근육으로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및 다열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였고, 하지근육으로는 대둔근, 중둔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 가지미근, 전경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여 스쿼트 동작의 상승과 하간구상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안정면과 불안정면에서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heffe를 이용하였다. 하강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내측광근, 다열근, 대둔근과 중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승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대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이 체간근육과 둔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지근육의 활성도는 불안정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scle activation in trunk and low-limbs muscle during squat exercise on various instability surface. 10 subject performed squat with 75% of 1 repetition maximum (1RM) on a stable floor, stability blue, stability black and BOSU.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was measured trunk muscle such as rectus abdomina (RA), external obliques (EO), internal obliques (IO), multifidus (MF), and low-limbs muscle such as gluteus maximus (GMA), gluteus medius (GME), biceps femoris (BF), rectus femoris (RF), vastus medialis oblique (VMO), vastus lateral oblique (VLO), medialis gastrocnemius (MG), lateral gastrocnemius (LG), soleus (SOL) and anterior tibia (AT)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squat phase.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 with Sheffe us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on the stable and unstable surface. Squat with BOSU ball induces higher muscle activity of IO, MF, GMA and GME compared with stability and stability blue and blackduring descending motion. Squat with BOSU ball induces higher muscle activity of GMA compared with stability and stability blue and blackduring ascending motion. This results suggested that BOSU ball in the squat could be effective increasing of trunk stability and gluteal muscle activit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squat on low-limb muscle with or without instability.

      • KCI등재

        체간근력운동과 심부근 안정화운동이 요통장애, 요부근력 및 심부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국윤진(YunJinKook),김창원(ChangWonKim),임종훈(JongWoonLim),신윤아(YunAShin)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는 체간근력운동과 심부근 안정화운동이 체간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요통장애, 요부근력 및 심부근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요통을 경험하고 있는 만성요통을 가진 성인남성 16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체간근력운동집단과 심부근 안정화운동집단에 대해서 각각 8명씩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참가자들은 주 3회, 40~50분씩의 운동프로그램을 8주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 후 오웨스트리 장애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체간의 최대 굴곡근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체간의 최대신전 근력은 측정시기와 그룹간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심부근 수축 시 내복사근의 두께는 운동훈련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복횡근은 측정시기와 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 및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복횡근의 수축 시 두께 외에는 두 집단 간 운동훈련의 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체간근력운동과 심부근 안정화운동 모두 요통장애를 감소시키고 근력과 심부근 동원을 활성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deep abdominal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on Oswestry disability,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deep muscle activity. Sixteen participants who were suffering from low-back pain for at least 6 month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runk muscle strength group (n=8) and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n=8). All of subjects participated in each 40~50minute exercise program 3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eak toque of trunk flex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8 week exercise program. Peak toque of trunk extens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8 week exercise program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During lumbar deep muscle contracted, the thickness of IO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ransversus abdominis show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 and time. Also, they showed the difference variation between groups. Therefore, they didn`t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trunk muscle strength and stabilization exercise training except transversus abdominis thickness during lumbar deep muscle cont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unk muscle strength and stabilization exercise were effective for the stabilization of lumbar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