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 : K공단을 중심으로

        신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산업사회는 고도화와 직무환경의 빠른 변화로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직무성과의 강조와 지속적인 혁신 및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직무에 대해서 만족과 불만족을 느끼게 된다.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핵심직무특성을 고려한 직무만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심직무특성을 직무만족의 주요원천으로 파악하고, 개인차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달라지므로 성장욕구가 높고 낮음을 조절변수로 하여 K공단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인식된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조직구성원들의 인식된 핵심직무특성과 성장욕구강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며, 셋째, 인식된 핵심직무특성이 조직구성원들의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넷째,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정도는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K공단에 근무하는 종사자 120명에게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성장욕구강도를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직무특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핵심직무특성을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직무재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핵심직무특성의 인식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직무만족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욕구강도가 직접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핵심직무특성과 서로 상호작용하여 직무만족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성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40-45세미만 그룹과 20대, 30-35세미만, 35-40세미만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고졸과 전문대졸이상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은 관계가 있으며, 핵심직무특성과 성장욕구강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핵심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의 차이는 성별에서만 핵심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개인특성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과 학력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은 개인특성보다는 핵심직무특성과 어떤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As the highly advanced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ts working condition, a company emphasizes employee's job achievements and requires their continuous innovation and challenge. Accordingly, although members in an organization make every effort to reach the goal of organization and their own while carrying their job, they are satisfied or dissatisfied for their job. As finding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in a job matters for a goal of organization, interests on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core job characteristics need to be heightened. In general, Korean office workers consider office duties the most important in a career lif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employees in K industrial complex to find a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need of each individual, since core job characteristics is a source of job satisfaction.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e relations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employees. Second, this study tries to find how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growth need strength of recognized by employees affect job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cognized core job characteristics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character. Fourth,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0 employees at K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s employees highly recognize their core job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sign job characteristics so that employees highly recognize the core job characteristics. Second, the group in which core job characteristics is highly recognized has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group in which core job characteristics is lowly recognized. Growth need strength does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but it is correlated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teracting with core job characteristics. Thir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regarding core job characteristics does not show much except the sex. Fourth,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finds a difference only in age and an academic background. Examined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especially between 40-45 and 20s, and between 30-35 and 35-40. For an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found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more than college education. As abov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growth need strength,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 of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 shows the different recognition of core job characteristics only by sex, while individual character doesn't show much differen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 only shows in the category of age and educa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

      •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신여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장학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컨설팅 장학의 개념, 원리에 대해서 조사한 후 대전광역시에서 시행중인 수업컨설팅 장학의 실제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수업컨설팅 장학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탐색․제언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수업컨설팅 장학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둘째, 수업 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수업컨설팅 장학은 어떻게 활성화되어야 하는가? 위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를 통계 처리하였다. 위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300명이며, 최종적으로 283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t검증, F검증, Pearson, 회귀분석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성별, 경력별, 직급별, 학교규모별, 경험여부별로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에 의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수업컨설팅 장학의 운영사례를 살펴보면, 교육청 단위로 장학요원을 확보하여 운영하는 대지구 수업컨설팅 장학 형태로 문제를 인식한 교사의 자발적인 의뢰보다는 공개연구수업을 위한 준비과정 또는 교장․교감의 권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 해결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들이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방법적 측면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수업컨설팅 장학을 경험하지 않은 교사들 중 앞으로도 하지 않겠다는 이유로 기존의 장학과 차별화되지 않는 점을 꼽았다.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안내가 부족한 것으로 차별화된 수업컨설팅 장학의 장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교사들은 수업기술/방법 아이디어 영역에서 가장 도움받기를 원했으며, 수업컨설팅 장학시 장학요원이 꼭 해주기를 원하는 활동으로 수업기술에 대한 아이디어 제공을 손꼽았다. 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교사들의 의지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수업컨설팅 장학의 저해 요인으로는 업무과다 및 잡무를 손꼽았으며, 교사의 수업개선에 대한 의지 부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업컨설팅 장학의 저해 요인이 교사 내적인 요소보다는 외적 요소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잡무 경감을 위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셋째, 수업컨설팅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교사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하며 교과별/단원별 전략 및 자료 또는 전문가 시연 동영상과 같은 장학 자료가 시급히 개발되어 수업컨설팅 장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들을 종합하여 판단하면, 현행 시행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장학의 방법적 측면을 보완하고 환경적 여건을 개선한다면 수업컨설팅 장학은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공헌하게 될 것이다.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신여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int and direction of project through th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 support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this, four families were selected as a support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t C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ould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kind of experience do families,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have and how do they perceive that project? Second, What do families,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experience in sectional program and how do they perceive i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s about the opinion about the decision making.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ad been made by preference of student, recommendation of a homeroom teacher and local community expert. A problem while making a decision was that a newsletter was not sent well and details about the newsletter cannot be known by the newsletter by itself. Even some students gave up participating because of conflict within schedule for after-school activities. To prevent further conflict, it had been suggest that program should run at fixed time. In case this program had been running just for the student,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 problem of a labeling effect might occur. And a necessity of connect with an external organization was mentioned. Second was about the area of study. In case of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scholastic ability, need of self directed learning was higher than the one of class by subject. Satisfaction of confidence camp was very high. Advantages of this camp was to obtain affective effects by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longer period and spend time wisely during the vacation. Career planning program was expected to focus on experience based. There was a voice that hoped motivation which is a background of career,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atience to come true. Third was opinion about the area of culture and experience. In case of cultural experience program, it was pointed out that interest of student declined due to the redundancy of similar program. In case of special ability attitude improvement program, importance of develop the talent of each student in every family had been emphasize. But even though special skill was found, opportunities to learn had not been offered continuously. Therefore, it had been suggested that connection with middle and high schools formed and the opportunity to take deepening classes should be offered Fourth was abou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In case of changes in family environment, emotional support was expected with counselling. Also, counselling group and counselling mediacy an individual felt comfort were different. The need of daily space for counselling where students have their problems out. There was a negative preception about this. A labeling effect of students had been worried. Also, parents might feel guilty if problems of students were revealed. Short term counselling was criticized due to its short period. In case of education of humanism, involvement with programs with other areas was expected. Fifth was the opinion about the welfare. It was difficult to make changes on date and time in case of family experience program. In case of a single parent family, because of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member, it had been felt burdensome. There was a opinion that an experience focused program should run every week and preferred to travel centered family trip. For this, there have been opinions. Running program on Sunday and combining with emotional treatment were suggested. Another opinion about welfare, an opportunity to mingle within family was suggested. There had been cases where necessary areas were chosen and concentrated support was expected. Las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students was mentioned. Sixth was about the area of management support. In case of parents and teachers workshops, it was said that individual family has difficulties to make changes in dates and time. Topics of previous workshops were too abstract, which was complained. Even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workshops hoped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Opinion related to operation management was demand of integrated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rough individualized support in a long term,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special ability of each student. Next,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verall, scar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amily, a target of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with delicacy. Last, problems of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is study,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s. First, in-depth study on the demand of target family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needed. Next, study of plan on effective networking strategies between unit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 should be done. Last, study to clarity essential contents such as the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al welfare to make it standardized should b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사업의 개선점과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C초등학교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을 네 가정 선정하고,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문제에 답한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은 참여 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은 영역별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결정에 관한 의견이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결정은 학생의 선호, 담임교사 및 지역사회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 결정을 내릴 때의 문제점으로는 가정통신문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과 가정통신문만으로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방과 후 수업 등 일정이 겹쳐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고정적인 시간에 운영되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지원 대상 학생을 대상으로만 프로그램이 운영될 경우 낙인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외부 기관과 연계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둘째, 학습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학력증진 프로그램의 경우 과목별 수업 보다는 자기 주도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자신감 캠프는 만족도가 매우 컸으며 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방학 기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언급되었다.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경우 체험 위주의 진로교육이 되기를 원하였다. 진로의 바탕이 되는 동기, 성취감, 끈기 등 기본적 정서 요인의 함양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셋째, 문화·체험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유사한 유형의 중복으로 학생들의 흥미가 저하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기적성 계발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가정에서 학생의 특기를 길러주는 일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특기를 찾았더라도 배움의 기회가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와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심화 수업의 기회가 주어져야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넷째, 심리·정서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가정환경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담을 통해 학생의 정서적인 부분이 지원받기를 원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개인에 따라 편안함을 느끼는 상담 집단의 유형과 상담 매개가 달랐다. 학생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는 일상적 상담 공간의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있었는데, 학생의 낙인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또한 상담을 통해 학생의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 학부모가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기존의 단기적인 상담 기간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인성 교육의 경우 프로그램의 다른 영역들과 연계하여 진행되기를 바라는 의견이 있었다. 다섯째, 복지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가족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날짜 및 시간 조정의 어려움이 지적되었다. 한부모 가정의 경우 구성원의 차이가 확연하여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기존 가족 여행 중심의 내용이 만들기 등 체험 위주로 매주 진행되기를 바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때 토요일 시간대를 활용하자는 의견과 정서 치료가 병행되기를 바라는 의견도 있었다. 복지 영역과 관련된 다른 의견으로는 가족 간 어울림의 기회 요구가 있었다. 필요한 영역을 선택하여 집중적인 지원을 받기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 소통의 중요성이 언급되었다. 여섯째, 운영 지원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학부모·교사 연수의 경우 각 가정에서는 날짜 및 시간 조정이 어렵다는 의견에 한 목소리를 내었다. 기존 연수의 주제가 추상적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있었다. 학부모와 교사가 연수에 함께 참여하여 유대 관계를 쌓기를 바라는 경우도 있었다. 운영 지원과 관계된 다른 의견으로는 통합 시설에 관한 요구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먼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장기적이고 개별화 된 지원을 통해 각 학생들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전반에서 지원 대상 가정의 상처와 특수성을 고려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상의 기타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기초해볼 때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의 요구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단위 학교와 지역 기관의 효율적인 네트워킹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의 의미와 목적 등 본질적인 내용을 합의된 개념으로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발목 불안정성 수치를 가진 발레 전공 대학생의 평형성을 위한 탄성밴드 프로그램 효과 연구

        신여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llet wears toe shoes and supports the body's balance with toes and performs numerous movements such as rotation, jumping, and landing, so the frequency of ankle injurie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dance genres. The ankle is a joint that supports the body weight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or exercise. In the case of ballet dancers with a high load on the ankle, the frequency of re-injury is high. become the main cause of stagnation. In particular, ballet dancers are prone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for treatment even if they suffer ankle injuries due to continuous practice and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udy an exercise method to resolve the ankle instability of ballet dancers. Ankle instability is the intrinsic/valgus, plantar flexor, and dorsiflexor muscles of the muscles around the ankle, regardless of structural instability, and the ligaments surrounding the ankle, lack of kinesthetic nerves in the muscles, muscle weakness, poor coordination, and lack of ability to control posture, etc. Repetitive injury or anxiety of the ankle joint, which is caused by various causes, can be recognized and evaluated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In order to relieve such damage and anxiety,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is one of various resistance exercises for ankle rehabilitation, and its utility is very high in terms of cost and convenience.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help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can freely adjust strength or movement direction,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of a joint,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of the body by controlling muscles. Therefore, this study, directly examining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on the recovery of motion fun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with ankle instability, is to provide an efficient exercise method to ballet dancers who do not have enough time for rehabilitation and to It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in that it can broaden the range of choices. Therefore, this thesis compares the group and the non-group that performed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by applying the ballet passe mo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with ankle instability.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first, for female students who majored in ballet for 5 years or more (second year or more) at P University in Busan, those who had experienced ankle pain or had a history of ankle sprains in the past, and who had a history of staggering within 6 months. Those who have felt (giving away) were screened, and questionnaires were tested using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Second, after selecting 18 subjects who recorded an unstable state of more than mild (CAIT 24 points) as subjects, 9 people were selected each in the non-exercise group (IG) and the elastic band exercise group (IGB), an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21, 8 It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over the course of a week.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warm-up exercise (10 minutes), main exercise (20 minutes), and cool-down exercise (10 minutes), and the IG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special exercise program except for daily life and physical therapy. Third, balance was tested through the facet mo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pre- and post-tests for each group were measured twice. Fourth, it was extracted and organized as statistical values.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was both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ankl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and maintaining the body's center of gravit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t was possible to derive a meaningful result that 80%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had ankle instability due to long practice time and various techniques. . First, after 8 weeks of experimental treatment, only the IGB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equilibrium,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IG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equilibrium (F=3.587) and measurement period (F=3.774),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F=9.304) (p<0.001).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quilibrium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after 8 weeks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IGB group showed an increase of 73%, but the IG group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27%. Fourth, the IGB group showed about 100% higher equilibrium than the IG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measurement periods was also significant (t=4.113, p<0.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ankle rehabilitation, and it can help to improve balance due to strengthening ankle muscle strength when performing ballet movements. Although this study concludes by emphasizing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on strengthening ankle strength, which is important for balance during ballet movement, m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for strengthening ankle strength and improving ankle instability. is presumed to be necessary. 발레는 토(toe)슈즈를 신고 발끝으로 몸의 균형을 지탱하며 회전(turning), 점프(jump), 착지(landing)와 같은 동작들을 수 없이 수행하기에 타 무용 장르보다 발목 상해의 빈도가 높다. 발목은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과 보행이나 운동 시 하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관절로, 발목에 부하가 높은 발레무용수의 경우 재(再)손상의 빈도가 높고 이로 인한 ‘발목 불안정성’은 무용 동작 수행 시 그 능력을 침체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특히 발레무용수들은 계속되는 연습과 공연으로 인해 발목 상해을 입게 되더라도 치료를 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없어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행되기가 쉬운 실정이다. 이에 발레무용수들의 발목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운동 방법의 연구가 절실하다. 발목 불안정성은 발목 주위 근육의 내·외반근 및 족저굴곡근, 배측굴곡근으로 구조적인 불안정성과 상관없이 발목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인대, 근육의 운동감각 신경 결여, 근력 약화, 협응력 저하 그리고 자세 조절 능력의 부재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발목 관절의 반복적인 손상이나 불안감은 주관적 관점에서 인지되어지고,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상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은 발목 재활을 위한 다양한 저항성 운동 중 하나로 비용이나 편의성 측면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특히,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강도나 운동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관절의 가동범위를 높이고 근육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의 균형성을 향상에 효과적이라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으로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발레 전공 대학생의 동작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실험하는 본 연구는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발레 무용수들에게 효율적인 운동 방법을 제공하고 재활에 있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은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발가벗기다레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종속변인인 발레 파쎄(Passe) 동작을 적용하여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한 집단군과 비 집단군을 비교, 탄성밴드 운동이 발레 전공 대학생의 평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부산 소재 P대학에서 5년 이상(대학 2학년 이상) 발레를 전공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발목 통증 경험이 있거나 과거에 발목의 염좌 이력이 있는 자, 6개월 이내의 휘청거림(giving away)을 느낀 적이 있는 자들을 선별, 발목불안정성척도(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를 이용한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경도(CAIT 24점)이상의 불안정한 상태를 기록한 대상자 18명을 피검자로 선정 후 비운동군(IG)과 탄성밴드 운동군(IGB)에 각각 9명씩 선정하였으며, 2021년도 8월~9월 사이 8주에 걸쳐 주 3회씩 실시하였다.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의 형태는 준비운동(10분), 본 운동(20분), 정리운동(10분)으로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IG그룹은 일상생활과 물리치료를 제외한 특별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셋째, 종속변인 파쎄 동작을 통해 균형성을 실험, 각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를 두 차례 측정하였다. 넷째, 이를 통계값으로 추출, 정리하였다.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은 발레 전공 대학생의 발목을 안정화시키고 신체의 중심을 유지하는데 모두 효과적이었다. 설문지 조사로 인해 발레 전공 대학생은 오랜 연습 시간과 다양한 테크닉으로 인해 80% 정도가 발목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발레 파세 동작을 통해 균형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8주간 실험 처치 후 IGB군에서만 평형성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IG군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형성의 집단 간(F=3.587), 측정기간(F=3.774)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호작용(F=9.30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셋째, 실험 처치 전과 실험 처치 8주 후 평형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IGB군은 73%가 증가되었으나 IG군에서는 27%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IGB군이 IG군보다 약 100% 평형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측정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t=4.113, p<0.001). 본 연구 결과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은 발목 재활에 효과가 있으며, 발레 동작 수행시 발목 근력 강화로 인한 평형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발레 동작 수행 시 평형성에서 중요한 발목 근력 강화에 탄성밴드 운동의 효과를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있지만, 발목 근력 강화와 발목 불안정성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심층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