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5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최근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사란 발굴성과의 진전과 새로운 발굴자료의 출현 그리고 이들과 함께 새로운 사고나 연구방법의 진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발전적 측면을 찾아보고, 장차를 전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연구 성과를 몇 개의 주제로 나누었는데,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고환경, 신석기시대의 생업, 사회와 교류 등이 그것이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토기가 출현하는데 주안점을 두다보니 때로는 그 시기가 Pleistocene으로 넘어가가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고산리 유적이 이러한 현상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신석기시대의 시작과 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미묘하고 세련된 사유를 요구한다고 본다. 중서부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으며 지질학, 퇴적학적 지식과 연대측정, 꽃가루분석 등이 유물에 의한 형식분류 못지않게 중요할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온난화로 인한 해면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에 따른 고기조간대 및 토탄층의 형성이 중요하다. 현재 중서부지역의 생업에 대해서는 사냥 채집 물고기잡이 농사짓기 활동 모두가 찾아진다. 서해도서의 자연유물 동정도 상당히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통한 유적의 성격이나 생업활동에 대한 가설이 제기되는 수준이다. 취락과 야외집석유구의 증가로 사회구성 및 교역의 연구가 장차 활발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신석기연구를 전망함에 있어서는 현재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 필요한 몇몇 개념들 - 즉 번역작업, 자연과학, 민족고고학, 민속학 등이 신석기 연구에 얼마나 어떻게 유용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최근의 외국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사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achievements of new excavations in Central -Western Korea, and consider the recent studies of Chulmun (Neolithic) Culture in that region. According to th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in Chulmun Period lately (since 2000), the beginning and ending of Chulmun Perio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hulmun Chronology, some explanations to the subsistence economy,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etc. are main subjects.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s about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Period in Northeast Asia and now the consensus is made that Neolithic Period comes up with Pottery. In Northeast Asia the beginning of Neolithic even went back to Pleistocene. The Gosan-ri site in Jeju Province of Korea might correspond to that moment but the Mid -Western Neolithic would be far later than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 Neolithic in the Mid -Western region began around 5,000 BC which is drawn by typology.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chronology in future should be made not only by typology but by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alyses, and pollen analyses with AMS dating. The environment of Neolithic Period in Mid-Western region is much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resulted from the Hypsithermal in Holocene. Many palaeotidal flats and peaty soil in Mid-Western region are typical evidences of Neolithic high temperatures, and these peat and palaeo- tidal flats are very important data to study Neolithic subsistence / economy and the location of settlement. We have now many ecofacts from which Neolithic people hunted and gathered. The identification of plant and animal species made us expect that the Neolithic subsistence in Mid-Western region included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cultivation. Considering those excavated data so fa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must have been year -round settlements around in many coastal islands. In addition, Neolithic settlements constantly increased in numbers can cause some developments in study of organization and trade. In perspective of doing desirable Neolithic research we should know the current trend of modem archaeology. Translation of foreign archaeological books is very important in that respect. Corresponding with ethnology and ethnoarchaeology, and co-work with natural scientists are very urgent also.

      • KCI등재

        강원 영서지방의 신석기문화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1

        강원 영서지방은 북한강 유역의 북부와 남한강 유역의 남부로 나뉜다. 이 글은 남한강 상류의 석회암 지대인 충북지방까지 포함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들은 삼면이 바닷가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숙한 내륙에 해당되며, 신석기문화의 자취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왔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신석기 유적의 수는 적지 않다. 기초 조사만 이루어진 유적까지 고려하면 앞으로 급격히 늘어날 것이다. 유적의 입지는 한데유적이나 동굴, 바위그늘 등으로 다양하다. 신석기 중기 이후에 많이 점유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신석기 사람들은 사냥과 채집, 물고기잡이 생활을 주로 영위했다. 서로간에 뿐만 아니라 바닷가, 그리고 한반도의 중서부지역과도 활발한 교역을 하였다. 사람들이 죽은 뒤에는 무덤을 써주었다. 동굴은 주거의 기능을 했던 것과 아울러 무덤이 쓰인 공간이기도 하다. 동굴유적은 남 · 북한강 유역에서 6곳이나 되는데 자연유물이 풍부하게 남아있어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에 막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점에서 바닷가 조개더미유적과 대응된다. 그리고 사냥 · 채집 · 물고기잡이를 보여주는 각종 유물이 풍부하게 출토되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 및 섬세한 작업에 쓰이는 뼈도구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상시 바위그늘의 경우). 동굴유적은 겨울나기가 좋고 살았던 시간 범위가 넓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까지도 계속 사용되었다는 점 등에서 장차 신석기 연구의 중심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영서지방 신석기문화의 존재는 이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환경연구, 유적과 유물연구, 생업경제와 사회구성 등 각종 대주제들이 연구를 기다리고 있다. 발굴을 통한 자료의 축적과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Yongsu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wo regions. The one is North Han River valley, the other South Han River valley. The writer deal with both of these two regions added some Karst topographies of Chungchong Bukto Province. Even if Korea has some open and levelled regions caused by having three seas around it s border,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 are the deepest hinterland of Korea. That is why most people think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have few Neolithic sites, artifacts and Neolithic villagers. Recently there are many newly discovered Neolithic sites through the excavations which were planned to build variou dams across many rivers since 1980. Now we can expect we will have much more Neolithic site and marerials in the future. Neolithic sites are widely distributed over at open areas, caves or rock shelters in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Those were occupied since middle stage of the Age. People of Neolithic usually did for a living by hunting, gathering, and fishing. They exchanged good with each other as well as with who lived in distance from sea or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they made tombs for their ancesters. Caves were mainly used for dwelling sites - they were especially available for the winter, while it was repeatedly used for tombs. There are 6 Neolithic cave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They had plenty of ecofact as well as abundant artifacts and bone tools. All these things suggested to us that cave dwellers did gathering / hunting / fishing and delicate everyday life. Indeed, caves will be the main themes of Neolithic studie of Korean Archaeology because of their material abundance, long duration of occupation, and their historical continuity to the Bronze Age. As the Neolithic culture of Yongsu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came into exitence recently, soon we suppose will the big themes like Neolithic environment, sites and artifacts, subsistence and social organization etc. be resolved. Accmulation of data through excavations and studies in detail will have to be done.

      • KCI등재

        환동해지역 신석기시대의 문화와 사회교류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4

        이 글에서 다룬 환동해지역이란 한국의 중동부 해안지역에 있는 양양 오산리·가평리·지경리·용호리, 고성 문암리·철통리, 강릉 초당동 등과 동북해안의 선봉 서포항, 신포시 강상,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끄로노프까 1, 자이씨노프까 7, 클럭 5 지역 등이다. 이곳에서 생겨났던 신석기문화와, 신석기 집단들간의 사회교류, 그리고 당시의 환경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토기의 출현 여부가 기준이 된다. 석기는 후기 구석기 말기이후의 좀돌날과 좀돌날몸돌, 그리고 버들잎 모양의 양면 조정 찌르개도 포함되는데 신석기 이후에도 지속된다. 최근의 연해주 지역의 편년은 Rudnaya > Boisman > Krounovka > Zaisanovka의 4 단계로 구분된다. 한국 중동부지역의 신석기 편년은 오산리 > 지경리 단계로 나뉘어진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시대 고환경은 산소동위원소, 해수면, 꽃가루 등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며 이를 가지고 생업에 대한 추구도 가능하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 유적은 해안사구와 석호지역으로 특정지워 진다. 이곳은 해풍이 약하고 옹화하며 생물종이 다양하여 신석기 사람들이 매우 선호했을 지역으로 생각된다. 환경자료와 문화유물로 볼 때 환동해지역의 생업은 사냥 / 채집 / 물고기·조개잡이 / 농사짓기 등이 모두 영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동해지역의 교류는 백두산 지역의 흑요석이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문화를 고찰하여 볼 때 한국의 신석기문화는 전신세의 개시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동북아시아 일대의 신석기문화와 동질성을 가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결국 한국 신석기문화의 시공간상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Neolithic Sites of the Circum-East Sea Area of this article include Osan-ni·Gapyeong-ni· Jigyeong-ni sites of Yangyang County, Munam-ni·Cheoltong-ni sites of Goseong County, and Chodang-dong of Gangneung City of Middle-East Coast Area, Seopohang site of Seonbong County of Northeast Coast Area, and Krounovka 1 site · Zaisanovka 7 · Klerk 5 sites of Primorye Region in Russian Far East. The Neolithic Period of these regions begins with the invention of pottery. Neolithic stone tools are blades, laurel-leafed bifacial points, and microcores and microblades which were made from Upper Palaeolithic through Epi-Paleolithic till Neolithic as well as many polished stone tools. While the chronology of Neolithic sites in the Primorye Region was going on with 4 steps as Rudnaya (before 7,000BP) > Boisman (around 5,000BP) > Krounovka > Zaisanovka (4,500BP), in the Middle-East Coast of Korea the chronology was developed as Osan-ni (before 7,000BP) > Jigeong-ni (5500BP). Paleoenvironments of Circum-East Sea Region in Neolithic Period could be reconstructed by Sea-level fluctuations. AMS, Oxygen Isotope Stage, Pollen Analysis, Faunal Analysis etc. It might be a little warmer and milder than now. Neolithic subsistence activities can be traced with those ecofacts collected from pollen and batanical analyses and artifacts discovered through many excavations. The subsistence of Circum-East Region in the Neolithic Period was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agriculture.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ere very characteristic, People of that time in that region usually chose the coastal sand dunes and lagoons. It is presumed that Neolithic people might prefer those places where there was no surge. and where the climace was mild, and wild varieties of organisms were so plentiful. The interaction of Neolithic Peopl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as conducted mainly by the exchange or Obsidian near Paektu-Mountain. Considering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Circum-East Sea region the Korean Neolithic could start with the Holocene beginning like many other sites in this region. and have much homogeneities within Notheast Asia s Neolithic.

      • OSL 연대측정법의 고고학적 적용

        양동윤,김주용,신숙정,Yang, Dong-Yoon,Kim, Ju-Yong,Shin, Sook-Chung 한국제4기학회 2006 제사기학회지 Vol.20 No.1

        1896년 Becquerel에 의해 우라늄의 방사능이 발견된 후, 방사붕괴 원리를 이용한 수많은 연대측정법이 개발되었고, 분석기기도 정밀화되면서 그 정확도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 중에서 ${14}^C$ 측정분야는 고고학에 있어서 최적의 연대측정법으로서 고고학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어왔다. 그러나 ${14}^C$ 측정법에 이용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시료가 문화층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다른 연대측정법이 필요하 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현재 OSL연대측정법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method) 이 고고학 분야에서 자주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OSL의 고고학적 적용을 위한 시료채취와 적용상 문제점 등에 대해 검토하는데 있다. Since the radioactivity of U was discovered by Becquerel in 1896, a number of radiometric dating techniques based on radioactive decay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help of precise and accurate instruments. Among them, radiocarbon dating was introduc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archeology in Korea. However, though the radiocarbon method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rcheology in Korea, it is limited to organics in a matrix of soil and sediment, including organic carbon, charcoal, bone and so on. If there are no organics in some paleolitic sites, other methods are required for dating. Therefore, we introduced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method in this paper. The method is mainly based on quartz grains or other particl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sampling method and the limitation of its application in archeolog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호남지방 신석기문화의 연구 : 성과와 전망

        신숙정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20 No.-

        호남지방 신석기문화에 대한 본격적 인 연구는 1980년대 끝 무렵 돌산 송도 조개더미의 발굴부터 시작되며 1990년대 들어와 군장국가 공단 조성부지와 용담댐 수몰지구등에 대한 발굴을 통해 꽃피고 있다. 필자는 이들 조사와 연구에 대해 그간의 성과와 전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후자는 장차 이런 방향으로 연구가 진작되었으면 하는 필자 나름의 전망이다. 호남지방 신석기 연구의 성과는 편년과 생업연구, 사회구성과 교역, 그리고 전환기의 문제 등을 꼽을 수 있다 이곳의 편년은 노래섬과 갈머리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중심으로 하되 AMS 측정 연대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확립된 것으로서, 갈머리 1기(기원전 4,000년기 후반), 2기(기원전 3,000년기 전반), 갈머리 3기(기원전 3,000년기 후반)으로 짜여졌다. 지역편년의 확립 결과 기존의 한국 신석기 편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 점도 편년의 확립 못지않게 중요하다. 생업 연구는 호남 내륙지방의 초기 주민들이 소규모의 이동성을 가진 농경집단으로 규정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 견해는 지지자들이 많으며 이들의 교통로까지 추정되고 있어 앞으로 논의의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구성과 교역에 대해서는--아직 포괄적인 단계에 불과하나-성의 껴묻거리 분석을 통해 신석기시대 신분차이의 유무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으며 교역은 추정 물품의 목록과 함께 흑요석의 성분분석 등 과학분석으로 그 활동을 입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석기-신석기 전환문제는 제주 고산리 유적을 통해 촉발된 것인데 어떠한 예단을 하기 전에 이같은 유적의 발견과 발굴이 더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신석기-청동기 전환은 그 양상이 급격하다는 적극적인 주장이 개진되어 있다. 필자는 장차의 호남지방 신석기 연구가 환경문제에 더 관심을 쏟아주기 바라며 생업에 대한 구체적 이고 심도있는 연구, 이를 통한 사회구성의 실체 에 대한 접근, 그리고 문화유물연구로서 석기 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려 한다. 이 모든 주제들은 개별적으로 역할하는 것이 아니므로 고환경 및 옛 지형에 대한 관심과 이를 복원하는 케이스 스터디로부터 사회구성까지 연관되어 연구되어야 할 것과,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활동영역이 산 정상부의 고토양으로부터 강가나 바닷가의 현세 충적지형까지 연결되어 있음에 주의를 촉구하였다. The existence of Chulmun Culture in Honam Region had long been known, but the substantial studies of it was set off by the excavation of Song-Do shell midden at the end of 1980's. More studies were accomplished from that time on through the excavation of Neolithic sites at Norae island and submerged area around the Yongdam Dam in 1990's. This paper attempts to take an consideration about the achievement and outlook of the studies of Chulmun Culture in Honam Region from 1980's to the present. There ar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in Chulmun Period.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y in Honam Region, some explanations to the subsistence economy,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and concerning about the transitional period etc were brought to light. The establishment of local chronolog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1st phase began at late 4th millenium BC, 2nd phase came up to early 3rd millenium BC, and the 3rd phase covered late 3rd millenium BC to the phase when most of Chulmun designs were omitted and the double-rimmed pottery appeared. This scheme could be done with AMS dating. As it were, Honam chronology is crosschecked with AMS,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he Honam chronology resulted in reconsideration of Korean Chulmun chronology as a whole. The studies of subsistence in Honam Region is characterized that the incipient agriculture could be done by shifting cultivators in inland part of Honam region. This view is widely accepted, and now the studies of agriculture are developed to some degree that the route of shifting agriculturalists was chased after in reality on Korean geography. On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it is supposed to have been a difference of status in Chulmun Period through the analyses of grave goods and trade items, especially the exchange of obsidian. But it's an estimation still, and more attempts and analyses will be needed. And there appeared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aspect of Chulmun - Murnun transitional period that would be abrupt. It is demanded that more attention be payed to the study of environment, (including case study), subsistence economy, trade and exchange, and especially lithic artifact upon which is the weakest part of present study. All These studies should not be followed respectively and should be co-worked systemically. It is very important to note that the territories of Chulmun People covered all of the earth, from the top of a mountain, down along the rivers, to the sea shore and deep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