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교육 정책 비교연구 : 서울시와 도쿄도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신수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사회 특징과 다문화교육 정책을 비교하여 다문화교육 정책의 시사점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도쿄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교육 지원정책과 사업을 조사하여 둘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 비교 분석하였다. 서울시와 도쿄도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다문화교육 정책들을 비교한 결과 두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원 사업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서울시는 ⌜다문화가족센터⌟를 통해 자체적인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으로 다문화가족 사회통합 지원, 다문화자녀 학습 지원, 다문화가족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 행정정보, 생활 정보, 취업 정보 등 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울시 주요 다문화가족 정책 및 소식을 공유하고 있다. 도쿄도는 NPO법인 ⌜다문화공생센터⌟를 개설하고 외국인 주민들에게 학교 교육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학습지원 및 생활 지원을 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다문화 프리스쿨, 다언어 진학 가이던스, 자녀교육정보 프로그램, 다문화교육 및 워크숍, 이주민자녀 교육실태조사가 있다. 활동 내용은 일본어교실, 어린이 지원, 유학생 지원, 생활 상담, 전문 상담, 정보 제공, 국제 교류, 강좌 및 세미나, 외국어 강좌, 어학 자원봉사, 일본어 자원봉사 등이 있다. 한국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 일본의 사업은 ‘쉬운 일본어’의 보급 계발을 통해 직장이나 활동하는 장소에서의 활용을 장려하고, ‘쉬운 일본어 리더’를 양성 연수를 하는 것이었다. 이는 연대와 협력을 통해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활력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도쿄도에서도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같이 거주 외국인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 단체를 설립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외국인 주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의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들을 살펴본 결과는 정책의 목표는 같지만 시행되고 있는 사업에서는 확연한 차이점을 발견했다. 먼저 서울시교육청과 도쿄도 교육위원회 모두 서울과 도쿄 학생들이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 학교에서는 다문화교육의 참여와 다문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선도모델로써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를 마련하고,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학교는 ‘다문화 친화적 학교 환경 조성’을 목표로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 전체에 다문화이해교육을 실시한다. 반면 도쿄도 학교에서는 다문화학생의 학교 적응과 일본어 지도에 대한 지원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학생 전체에 시행하는 다문화이해교육이나 다문화 친화적인 학교 환경 조성에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일본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다소 추상적인 반면에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매우 구체적이며 실천과 효과 및 변화를 추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Korea and Japa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o this e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and projects implemented in Seoul and Tokyo were investigat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ere found and compared. As a result of compar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Seoul and Tokyo, support projects implemented in the two cities showed similar patterns. Through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viding social integr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learn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its ow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It also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life, such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and shares major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and news in Seoul.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has opened the Multicultural Symbiosis Center, an NPO corporation, and provides foreign residents with learning support and living support to compensate for their shortcomings in school education. The main projects include multicultural free schools, multilingual guidance, children's education information program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orkshops, and surveys on the education status of migrant children. Activities include Japanese language classes, children's support, international student support, life counseling, professional counseling, information provision, international exchanges, lectures and seminars, foreign language courses, language volunteering, and Japanese language volunteering. Japan's business, which showed a marked difference from Korea, was to encourage the use of "easy Japanese" in workplaces and places to work and train "easy Japanese leaders." This is to strengthen members' sense of community and contribute to community vitality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 Tokyo, like other local governments, a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organization for resident foreigners was established to establish an online and offline system and collect various opinions from foreign resi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of the two cities, the goals of the policies are the same, bu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projects being implemented. First of all, bo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Tokyo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t the goal of the polic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eoul and Tokyo students as global citizens. Accordingly, Seoul schools have prepar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Research School⌜ as a leading model for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reating a multicultur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re promoting customiz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is policy school provid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all general and multicultural students with the aim of "creating a multicultural-friendly schoo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okyo schools mainly supported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and Japanese language guid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multicultural-friendly school environment implemented for the entire student were still insufficient. Overall, while Japan'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s somewhat abstract,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s very specific and pursued practice, effectiveness, and change.

      • 신규간호사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업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수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Work Stress,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Shin Su Bi (Advisor: Prof. Sang Hee Kim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hat ca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by checking the degree of leader-member exchange, work stres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for new nurses and grasping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Method: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uly 2 to September 29, 2021,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5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the survey, who are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and have less than one year of working peri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5.0 program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s follows: 96.0% (120 nurses) were female, 4% (5 nurses) were male, 74.4% (94 nurses) were under 24 years of age, 69.2% (99 nurses) did not follow a religion, 79.2% (99 nurses) had a bachelor level education, 51.2% (64 nurses) of 7 months or less, and 50.4% (63 nurses) of “ No” of family cohabitation and 36.0% (45 nureses) was in the work surgery department. As for the placement of the desired department, 54.4% (68 nurses) of “No” and 94.4% (118 nurses) of “Yes” of the joining the company at the same time. The experience of moving departments was 93.6% (117 nurses) of “No”, and 48.8% (61 nurses) of relationship staisfaction with preceptor. The average working period was 6.82±3.13 months. 2. The leader-member exchange averaged 3.48±0.42 out of a total of 4, work stress averaged 2.30±0.50 out of 4, resilience averaged 3.44±0.48 out of 5, and job satisfaction averaged 3.26±0.36 out of a total of 5. 3.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s satisfaction with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preceptor (F=16.17,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Leader-member exchange and job satisfaction (r=.44, p<.001),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51, p<.001) had a positive correlation.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44, p<.001) had a negative correlation. 5.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ere preceptor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ork stress, and resilience, indicating significant regression coefficients, and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49.8%. Conclusion: I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new nurse of the new nurse, the lower the work stress,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resilience, to reduce work stress, as well as to promote resilience and exchange with the preceptor. 국문초록 신규간호사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업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 수 비 (중환자전문간호 전공) (지도교수: 김상희)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업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2일부터 9월 29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개의 대학병원에 재직 중이며 근무 기간이 만 1년 미만인 간호사이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125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5.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Scheffé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여자가 96.0%(120명)로 대부분이었고, 연령은 23세 이하가 74.4%(93명)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는 없는 경우가 69.2%(99명)였다. 학력은 대학교를 졸업한 대상자가 79.2%(99명), 가족과 함께 동거하는 대상자는 50.4%(63명)이었고, 근무하고 있는 부서는 외과병동 36.0%(45명), 내과병동 32.0%(40명), 중환자실 18.4%(23명), 수술실 12.8%(16명), 응급실 0.8%(1명)의 순이었다. 희망한 부서에 배치받지 않은 대상자가 54.4%(68명), 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에 동기간호사가 있는 대상자가 94.4%(118명)이었다. 부서이동을 해 본적 없는 대상사가 93.6%(117명), 프리셉터와의 관계를 만족하는 대상자는 48.8%(61명)이었다. 근무기간은 평균 6.82±3.13개월이었으며, 7개월 미만 51.2%(64명)이었다. 2. 대상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3.48±0.42점이었고, 업무스트레스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2.30±0.50점, 회복탄력성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44±0.48점, 직무만족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26±0.3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정도의 차이는 프리셉터와의 관계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6.17, p<.001). 4.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r=.44, p<.001), 회복탄력성(r=.5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업무스트레스(r=-.44,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r=.25, p=.005)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업무스트레스(r=-18, p=.04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프리셉터와의 관계 만족(β=.31, p=.013), 업무스트레스(β=-.34, p<.001), 회복탄력성(β=.34, p<.001)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9.8%이었다(F=25.63,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의 관계 만족이 높을수록, 업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신규간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셉터와 간담회 같은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업무 중 발생하는 업무스트레스 요인을 잘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