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관의 직장 내·외 갈등과 탈진감 및 직무만족의 관계

        신성원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3

        경찰관의 갈등경험은 개인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와 치안 서비스의 질 하락을 유발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직장 내․외부에서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고, 갈등 수준과 탈진감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갈등의 조직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직장 내․외부의 갈등 수준을 살펴보면 직장 내부와 외부 갈등 모두 대략 20%가 경험이 있고, 80% 정도는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부 갈등의 주요 대상은 일반 시민 35.6%, 동료 24.4%, 상사 20.0%, 부하 15.6%, 기타 4.4% 순이었다. 직장 외부 갈등의 주요 대상은 친구 32.5%, 형제․자매 16.2%, 자녀 16.2%, 이웃 13.5%, 기타 13.5%, 배우자 8.1% 순이었다. 직장 내․외부 갈등경험 모두 탈진감은 갈등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갈등경험이 있었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장 내․외부 갈등경험 모두 직무만족은 갈등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갈등경험이 있었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s conflict affect an individual'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s well as cause a decline in the job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officers‘s conflict levels and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impact of conflict were discussed. The level of job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showed approximately 20% were experienced, 80 percent did not have experienced. The main target of job internal conflict were citizens 35.6%, colleagues 24.4%, superiors 20.0%, Subordinates 15.6%, other 4.4%. The main target of job external conflict were friends 32.5%, brothers and sisters 16.2%, children 16.2%, neighbors 13.5%, other 13.5%, spouses 8.1%. The level of burnout who had not experienced job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were higher than who had experienc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ho had not experienced job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were higher than who had experienced that.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신성원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burnou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police officer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And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mong police officer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Psychological Burnout, an independent variable, was used with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Result: Studies have shown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commitme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 I can confirm that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police officers generally has a no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연구목적: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에 대한 연구이다. 주로는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에 따른 조직 유효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독립변수인 심리적 탈진은 많은 선행 연구에서 신뢰도・타당도가 검증된 척도인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를 활용하였고, 종속변수인 조직 유효성은 역시 많은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직무 만족과 직무 몰입으로 구성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조직 유효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 만족과 직무 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도 심리적 탈진과 조직 유효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에서 보완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우울증 실태 및 대처방안

        신성원 한국치안행정학회 202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2

        The study is aim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pression among police officer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level and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to reduce depression of police official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screening tool(PHQ-9)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police officials. Although the depression level of the majority of the survey subjects was not very high, more than 30% of the subjects had mild or more depression. As a result of ANOVA of group averages based on demographic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level of the survey subjects, the results did not reac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case with no religion was higher than the case with religion. Ages in 20s, 50s or older, 30s and 40s were in order, and marital status was unmarried, divorced, and married. The level of depression decreased as the level of education, the rank and the working period increas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ork department and the level of depression, followed by investigation/detective, public order management/traffic, internal service, police box. In this study, as a countermeasure for coping with depression among police officers, early detection and thorough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at risk of depression, control access to weapon use by high risk police officers, effective use of depression response programs, and strengthening of legal responses related to mental health were proposed.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subsequent research and advanced analysis based on large-scale sampling and structured tools to present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우울증 실태를 파악하여 그 심각성의 수준을 확인하고, 경찰공무원의 우울증 수준과 인구사회학적·조직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경찰공무원이 경험하는 우울증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을 줄이기 위한 대처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우울증 수준의 측정은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 9)를 활용하였는데, 조사대상자 다수의 우울증 수준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지만, 경증도 이상의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30% 이상 나타나 결코 적지 않은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과 우울증 수준을 요인으로 하여 집단별 평균을 분산분석(ANOVA)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 하였으나,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종교여부는 종교가 없는 경우가 종교가 있는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50대 이상, 30대, 40대 순, 결혼 상태는 미혼, 이혼, 기혼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 수준은 학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졌고, 계급은 초임 계급인 순경· 경장에서부터 계급이 올라갈수록 우울증 수준이 낮아졌으며, 근무 연한은 근무 기간이 길어질수록우울증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와 우울증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는데 수사·형사, 경비·교통, 내근직, 지구대·파출소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우울증 대처방안으로 우울증 위험 경찰공무원의 조기발견 및 관리철저, 고위험 경찰공무원의 무기사용 접근 통제, 우울증 대응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용, 정신건강 관련 법적 대응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향후 대규모의 표집과 구조화된 도구를 바탕으로 한 후행연구와고급분석을 통해서 이 연구를 수정·보완하여 좀 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윤리적 소통 이면에 놓인세 사상에 대한 연구: 자연법, 공리주의, 칸트윤리를 중심으로

        신성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7 No.2

        Purpose : Patients-clinician communications are not only about information, but also ethical themes. This is because, as medical care is directed at humans. Therefore, medical decisions must be made based on moralconsiderations. It goes beyond exchanging information and starts with meet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 interlocutor. In other word, in order to meet each other in existe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ing on the basic ideas that constitute ethical dialogue. Methods : In this Study, there are many points that are not directly revealed in the superficial dialogue between patients and clinician, bu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lie underneath. The three ethical theories,natural law ethics, utilitarian ethics, and Kant’s ethics, that reveal the principles and actions of ethics under the external dialogue will be examined, focusing on the primary literature, which is important in eachtheory. Through this study, it es possible to examine in what aspects these ethical views reveal their principle and various ethical posi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each ethical theory, it is examined whichdirection of the three theories could contribute to high-quality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clinician. Conclusion : As a common part of the three ethical theories, it can be seen that the principle of “being ethical” is being universally explored. In addition to the common parts, each ethical theory has its ownexplanation of the basis of ethics and each has its own direction. Based on three different ethical theories, we can examine the differences under the natural and the source of the differences by understanding theethical theories that are under the ethical view that the other person accepts without question in the patients-clinician communications. And this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ethical dialogue to meeteach other as a whole, as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