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代 墓地 祠堂과 墓室 圖像의 關係 硏究

        신리샹(信立祥),소현숙(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4

        한대의 지하 묘실과 여기에 소속된 묘지 사당은 서로 표리를 이루는 한 쌍의 상장건축이다. 두 건축물은 모두 '前堂後寢'의 원칙에 의해 건립된 현실의 주택을 모방하여 축조됐다. 그러므로 대형의 다실묘기 그 안에 비록 '堂'이라는 공간을 가지고 있었지만, 묘지 사당이야말로 전체적인 묘역의 '堂'에 해당한다. 이처럼 '堂寢'관계를 가진 두 건축물의 관계는 두 건축물에 표현된 도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묘지 사당과 지하 묘실은 각각 자신만의 특징을 기진 도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나아가 도상을 통해 그들의 '堂寢'관계를 드러내기도 한 것이다. 묘지 사당에 출현하는 도상은 종묘 벽화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묘지 사당의 도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祠堂의 주인[祠主]이 제사를 받는 장면으로서, 후벽의 중장에 배치된다. 그리고 신들의 세계를 표현한 천상세계, 선인세계, 현실의 인간세계의 도상은 각각 사당의 천장, 양 측벽 상부와 중부에 표현된다. 귀신들이 거주하는 지하세계에서 사주가 출행하는 모습을 표현한 거마출행도는 세 벽의 가장 하단에 묘사되어, 후벽 중앙의 사주가 제사를 받는 그림과 함께 사당의 중심화면을 형성한다. 지하 묘실의 도상은 목곽묘의 帛畵와 漆棺畵에서 유래하며, 또한 종묘와 사당에 출현하는 도상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후실 도상은 묘주가 지하에서 생활하는 내용을 주로 표현했으며, 중실과 전실의 도상은 묘지 사당의 도상과 아주 유사하다. 즉 천장에는 천상세계를 표현한 도상을, 문기둥과 중실 등에 세워진 단독 기둥의 상부에는 선인세계를 묘사한 도상을, 그리고 벽면에는 현실의 인간세계를 표현한 도상이 배치됐다. 묘주가 묘지 사당에 이르러 자손들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그린 묘주의 거마출행도는 수평들보와 묘문의 문액처럼 높은 위치에 그려졌다. 지하 묘실 도상과 묘지 사당 도상의 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사주의 거마출행도와 묘주의 출행도이다. 두 도상 모두 사자가 자손들의 제사를 받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을 표현한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그 도상이 표현되는 위치는 두 건축물이 가지는 상징성에 따라 달라졌다. 즉 전자는 사주가 낮은 곳에 위치한 지하세계로부터 나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당 세 벽의 가장 하단에 묘사했으며, 후자는 묘주가 지하 묘실보다 한층 높은 곳에 위치한 묘지 사당에 가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지하 묘실의 중실과 전실의 상부 공간, 즉 수평들보와 묘문의 문액에 표현했다. 그러나 우리가 두 상장건축 도상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즉 제사와 관련된 거마출행도 이외에도 두 공간에는 死者가 생전에 역임한 관직경력을 나열한 거마출행도가 출현하는데, 이는 전자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양자를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Han-dynasty underground burial chambers and shrines attached to them are paired structures that ar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style. Both structures follow the classical layout of residential buildings, whereby social spaces are on the front, and private spaces in retreat, at the rear. Meanwhile, the shrine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social space of the overall structure, even if the multi-room tomb comes with its own hall. This public versus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uctures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images decorating their walls. Images painted on the walls of the shrine and the underground burial chamber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 manner which expresses the public-private dichotomy constituted by the two structures. Images found on tomb shrines are primarily influenced by murals in ancestral shrines of royal famil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fs in tomb shrine murals is the image of the owner of the shrine depicted as presiding over the memorial service in his or her honor. This scene is generally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ar wall. Then. there are scenes representing divine realms like the heavens and the sages' world, and the mundane world, which occupy the ceiling and the upper and middle section of the side walls, respectively. The image depicting the scene of the shrine's owner leaving for the underworld in a horse carriage, to join the spirits, is usually placed across the three walls, running through their bottom sections. This scene, along with that of the dead presiding over his or her own memorial service, makes up the focal point of me mural presentation at a tomb shrine. Images found on the walls of Han-dynasty underground burial chambers, while mostly originating from silk-cloth paintings and coffin paintings of wood chamber tombs, are also influenced by mural paintings of royal ancestral shrines as well as general shrines. Paintings on the walls of the rear room most often depict the scenes from the life of the dead in the underworld, whereas images on the walls of the middle and front rooms are very similar to those found at the tomb shrine. In other words, heavenly scenes cover the ceiling, and the images of sages adorn the door frames and the upper section of the single column at the middle room. Finally, the walls of the middle room show scenes from the human world. The scene of the arrival of the tomb's owner riding on a horse carriage to attend the memorial service by his descendants is placed high on the wail, either on a horizontal beam below the ceiling or above the door frame of the entrance to the tomb. The details that are most indica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of the underground burial chamber and those at the tomb shrine are the positions of the scenes of the arrival of the deceased. while these two paintings are similar in that both depict the dead arriving at the memorial service site, their locations assign different symbolic values to them. While one is placed at the bottom sections of the three walls of the shrine, thus suggesting that the departed one is emerging from the underworld, the other is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walls of the front and middle rooms of the burial chamber, namely, on the horizontal beam and above the door frame, to indicate that the deceased is now heading toward the shrine, which is located at a level above the burial chamber. One important distinction needs to be made, however, when examining m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s in these two paired structures. Not all scenes featuring the deceased on a horse carriage relate to his arrival at the memorial service. Both burial chambers and attached shrines contain mural paintings related to public offices held by me deceased during his lifetime, frequently depicting him riding on a horse carriage. These paintings do not have the same symbolical meanings as those related to the arrival of the deceased at me memorial service, on which this

      • KCI등재

        중국에서의 민사주체에 대한 법률적용

        신리(杜新麗),유효연(번역자) 한국국제사법학회 2011 國際私法硏究 Vol.- No.17

        중국이 2010년에 반포한 “중화인민공화국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이하법률적용법)은 별도의 장(章)을 두어 민사관계주체에 관한 몇가지 사항에대하여 법률적용규칙을 규정하였다. 그 내용은 자연인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법인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자연인의 국적충돌과 주소충돌의 해결, 인격권, 대리, 신탁 등을 주로 포함한다. 적용규칙의 주요한 내용으로는 민사주체의 상거소지 법률이 있다. 민사주체의 법률행위 측면에서는 의사자치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으며 민사주체 자신의 의사에 대한 존중을 충분히체현하고 있다. 이전 법률에 이미 나타나 있던 것도 있고 처음으로 시도되는 규칙도 있다. 이에 따라 규칙이 다소 매끄럽지 못한 부분도 있으며 앞으로 이행과정에서 더욱 정리되고 검증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