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팬데믹 시대 여성노동의 위기에 관한 페미니즘적 성찰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연구소 2021 페미니즘 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사회에 발생한 여성 고용 문제들을 살펴보고 젠더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한국 노동시장에서도 여성의 실업률이 급증하고 대면서비스업과 임시직 여성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또한 학교와 어린이집 등 공적 돌봄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자녀를 키우는 여성들이 노동시장을 떠났다. 전 세계적 차원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나타나 코로나19는 여성고용의 위기로 해석되고 있다. 페미니스트 경제학자들은 젠더 관점에서 COVID-19의 교훈과 위기를 ‘돌봄과 환경 파괴, 거시경제적 결과의 삼중적 상호착종 위기(a trio of interlocking crises)’로 정의한다. 현재의 위기는 인간이 필요로 하는 경제적·사회적·생태학적 상품과 서비스의 제공, 그것들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사회적·자연적 시스템의 파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팬데믹의 교훈은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돌봄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시장과 비시장적 차원 사이의 깊은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장기적인 패러다임 시프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런 상황을 살펴보고 정책적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related to women’s employment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the social impact and gender implications that it will bring. Feminist economists define the COVID-19 crisis as “a trio of interlocking crises of car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macroeconomic consequences.” The current crisis can be said to be the destruction of social and natural systems that threaten the reproduction of economic, social, and ecological goods and services that humans need. The lessons of the pandemic in this context are that a long-term paradigm shift is needed and i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ing at the socio-economic level, paying attention to the deep interactions between the market and non-market levels. In Korean society, the pandemic is also interpreted as a ‘crisis of women’s employment’. This study examines this situation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y change.

      • KCI등재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젠더 관점에서 최근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피고 주요 쟁점들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여성노동시장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에 따라 사회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이 확대 되었으며, 중간임금계층이 확대되었지만, 청소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저임금 심화와 성별 임금격차의 지속이라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장벽이 높아지면서 고임금 일자리에 대한 여성의 접근기회가 줄고 비정규직 여성을 중심으로 30인 미만 영세기업에의 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여성노동시장 변화와 관련해 이글은 8개의 주요 쟁점들을 논의하고 있는데, 경력단절 현상, 기업내부노동시장, 일가족 양립제도, 사회서비스 일자리, 시간제 고용, 성별직업분리, 비정규직, 노동조합과 관련된 여성의 상황이다. 이같은 쟁점들을 살펴본 후 이 글은 여성들의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실천은 어떤 것인지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research trendsrelated to changes in the female labor market from gender perspectives. After the economic crises in 1997 and 2008, female labor force has expanded around the social services sector, depending on job cre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As the results, though the medium wage group has been expanded, teens’ and older women’s low-wage have been deepening, and the gender wage gap has been sustained. Particularly as the chances of women to high-wage jobs of the internal labor market in large company, women workers have fixed on small businesses. Regarding these women workers’ conditions, this article discusses eight key issues: women’s career break, corporate internal labor market,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social service jobs, part-time employment,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s, irregular workers, and women in labor unions. After looking at these issues, this article suggests the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the companies and the civil societ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women workers and reduce the gender gap.

      • KCI등재

        ‘시장화된 개인화’와 복지 욕구(welfare needs)

        신경아(Shin, Kyung-Ah)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8

        이 글은 ‘한국사회는 개인화되고 있나?’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서구사회 개인화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사회의 역사적 맥락에 적합한 개인화 개념으로 ‘시장화된 개인화’를 제시하였다. 복지국가체제를 경유하지 않고 박정희 정부의 국가주의에서 김영삼 정부의 신자유주의체제로 이행한 뒤 김대중 정부와 이명박정부의 시장 중심 사회로 탈바꿈해 온 한국사회에서 개인들은 어떤 사회적 보호장치 없이 시장의 경쟁과 압박에 내몰리게 되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이러한 시장화된 개인화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위험사회의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1975년생을 연구대상으로 이론적 표집에 따라 50명의 심층면접 결과를 분석하였다. 1997년 IMF 경제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시 31명은 학교 졸업 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비정규직이 되거나 결혼을 보류하는 등 개인적인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경제적 위험에 대한 해결책에서 두 집단으로 나누어지는데, 빈곤층과 하층의 경우 보편적 복지를 지지하는 반면, 중산층은 개인적 수단을 찾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시장화된 개인화가 가져온 특징을 보여준다고 생각되며, 이것은 벡이 서구사회를 토대로 제시한 제도화된 개인화와는 차이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첫째, 위험의 강도와 지속성에서 시장화된 개인화 사회에서 위험은 훨씬 더 심각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 제도화된 개인화 사회에서 빈곤은 생애의 어떤 국면에서 만날 수 있는 일시적인 위험이지만, 시장화된 개인화 사회에서 빈곤은 벗어나기 어려운 생애 전반의 불행이 되기 쉽다. 둘째, 제도화된 개인화 사회에서처럼 사회적 위험을 매개할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 시장화된 개인화 사회에서 위험과 불평등에 대한 제도적 해결에 대한 욕구가 확대될 수 있지만, 그것은 개인들의 시장상황과 정치적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like “Is Korean society being individualized?” To solve the problem, we examine the theories of Giddens, Bauman, Beck, Rose, Dean, and Brodie at first, and then explore the concept of ‘the marketized individualization’, which is more useful to explain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Korea. In Korean society, which switched from state-dominating society to neo-liberalistic one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state system, people are thrown out to the market competition by themselves while unprotected. For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arketized individualization, we di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born in 1975, and analysed 50 cases by theoretical sampling. Among 31 interviewees who experienced the economic crises directly, people from the lower class and with unstable employment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system, while middle class members pursue the individual solu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zation and the marketized individualization. In the marketized individualized society, the risk is likely to be experienced stronger and longer as a life-long misery. Thus in that society many people tend to aware the economic inequality and want the collective solution as well as the social security against the risks.

      • KCI등재

        뉴시니어로서의 베이비붐세대

        신경아(Kyung-Ah Shin),한미정(Mie-Jeong Ha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뉴시니어 문화를 지향하는 첫 세대로서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삶에 대한 인식, 관심사 등을 살펴보았다. 토론에 참여한 베이비붐세대들은 뉴시니어 세대답게 독립적이고 경제력을 지닌 은퇴 후 생활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들을 여전히 젊고 활동적인 사회인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고령자 취업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는 극복되어져야 하고 고령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은퇴 후에도 재취업기반이 넓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은퇴 후 가정생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베이비붐세대 토론자들은 주로 자녀관계에 있어서 고립감, 상실감, 소통부재의 고독한 자신들의 모습에 대해 토로한 반면, 여성토론자들은 은퇴 후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배우자의 모습에 대한 염려를 표현했다. 한편 베이비붐세대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은퇴관련 정보 및 미디어콘텐츠를 살펴보면, 모든 토론자들이 은퇴 후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롤모델(Role Model)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여성 참여자의 경우는 특별히 은퇴 후 일상의 변화가 큰 남성 베이비붐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사회문화 프로그램, 교육 관련 정보나 콘텐츠의 제공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건강관리, 취미, 여가선용에 대한 프로그램이나 콘텐츠가 은퇴 후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다.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vestigation with 4 groups of Korean babyboomers(10 males & 10 fem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babyboomers as new seniors were aiming an independent life with stable economic base. They viewed themselves as relatively young, healthy and socially capable and thus looked for roles they could serve in the society. They all pointed out that the negative climate about aging and seniors needs to be overcome. Women interviewees showed concerns about their spouses and suggested that more social an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furnished for male babyboomers who haven’t had proper chances to develop social relationships outside their work. The focus group discussions also examined babyboomers’ informational needs in adjusting to their retirement. First, they wanted to see more of their peers who have been successful in transition of retirement, showing role models for them. Women babyboomers in particular addressed the needs for social, cultural, and family adjustment programs for male babyboomers. Lastly, they expressed that babyboomers are interested in obtain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and leisure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서구사회 개인화 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연구소 2012 페미니즘 연구 Vol.12 No.1

        이 글은 그동안 주로 남성 사회과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온 개인화 이론을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재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구사회의 개인화 논의가 갖는 남성중심적 성격을 밝히고 여성주의 이론에서 개인화 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주요 쟁점과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 사상사에서 ‘개인’ 개념이 갖는 이론적 함의를 살펴보고 20세기 후반의 개인화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논의를 검토한 후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후기근대 사회의 개인화란 근대적 남성주체의 구조적 쇠락(衰落)을 의미하며, 자율성과 책임을 모두 고려하는 여성주의적 개인 개념이 필요함을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has reviewed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in western Europe theorized by Giddens, Beck, and Bauman in the feminist perspectives. It has two kinds of discussions, which one is to reveal the androcentric bias in the theory and the other is to show how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can be developed including women’s experiences and ways of thinking. In order to make a re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in feminist persp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s at first. Then, it throws light on the individuality in late modernity so that may find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within the theory. In a conclusion, this paper interprets the individualization in late modernity as the structural declination of a modern androcentric subject, and insists on the introduction of the feminist concept of individual accepting responsibility as well as autonomy.

      • KCI등재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변화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2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1960년대 산업화 이후 일과 가족의 양립과 관련된 사회적 조건과 담론적 관심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과 가족의 양립 문제는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젠더 관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분명하다. 이 글은 일과 가족의 양립 문제(이하 일-가족 문제)를 개인의 역할 갈등이라는 미시적 수준을 넘어 ‘한 사회가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정의하고 이것이 젠더 관계에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중심적 사회 체제와 강력한 남성중심적 노동 규범을 수단으로 성장을 거듭해 온 한국사회의 경우 국가는 가족을 철저히 일 영역에 종속시키고 각각을 여성과 남성의 주된 책임으로 규정함으로써 일-가족 문제가 ‘사회적 사실(a social fact)’로 드러나지 않는 현실을 지속시켰다. 80년대 중반이후 기혼여성의 공식노동시장 진출이 확대된 후에야 일-가족 문제가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처음부터 그것은 ‘여성의 문제’로 본질화되고 “여성들이 의식적으로 자각해서 실현해 가야 하는 다중 역할의 문제”로 축소되었다. 따라서 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가족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지만, 공공의 실천을 조직화하기도 전에 신자유주의적 시장 질서가 확산되고 있고, 정책적 노력이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젠더 관계에 기초를 둔 대안적 삶의 양식(lifestyle)도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상황을 담론적 지형에 초점을 맞춰 분석함으로써 일-가족 문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형성, 제한해 온 역사적 맥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In this writing there is an objective which it tries to analyze the social conditions and discursive concerns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or work-family balanc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after 1960 in Korea.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must be a very important factor impacting the gender relationship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is writing we will go over the microscopic level which is limited to a role conflict of an individual, so that we can put a focus on the social system organizing wage work and care work. Korean state, pursuing the economic growth with work-centered social system and masculine work norms, has made the family sphere subordinate to the work sphere, and thus prevented the work-family dilemma from being visible as a social fact. In 1980s, when married women entered the formal labor market, work-family dilemma began to become the object of social concerns. But from the beginning it was essentialized as women's questions, and misunderstood as playing women's multiple roles. Since 1990s, though the social concern for work-family dilemma has been widespread, the presence of neo-liberal market mechanism and the absence of positive policy making by the government, have established great obstacles to create public support systems and alternative lifestyles based on desirable gender relationship. This writing,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discursive areas on work-family dilemma, proves the value of the socio-structural context analysis in the research of work-family dilemma.

      • KCI등재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4

        이 글은 고용불안정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젠더관계의 변화에 관한 탐구의 하나로서 한국 남성의 생계부양자 의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낸시 프레이저는 탈공업사회에서 높은 고용율과 복지국가체제는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으며, 그 결과 나타나는 주목할 만한 변화로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모델의 붕괴를 지적했다. 서구 사회의 경우, 19세기 중반 이래 가족임금제도와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모델이 확산되어 왔고 미국과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이것은 실질적인 보편적 가족모델로 자리잡아왔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규범적 지배력을 잃어 왔다. 한국은 이같은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모델이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글에서 <도시가계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년간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2배로 커졌고 남성가구주의 소득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남성 생계부양자 가족의 비중이 크고 취업한 여성배우자의 근로소득 기여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고령층 가구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부인의 취업은 고용불안정과 퇴직의 압박을 받는 남성가구주 가족에서 가족의 생계유지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것은 50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남성 인터뷰 결과 남성 생계부양자 의식의 변화로 확인되고 있다. 중고령 남성들이 가족의 생계부양자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면서 맞벌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해지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필요한 것으로 보아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As an investigation for the shift of gender relation in neo-liberal global capitalist society,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 of male breadwinner family model in Korea. In the article published in 1994, Nancy Fraser predicted the end of family wage and decline of male breadwinner family norm in postindustrial society. Examining this trend in Urban Household Survey(1993-2013) data, we find the fact that men’s income still occupy 74.6% percent of household income in Korean family, though dual earners family has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As married women’s employment has centered on middle-aged and older groups, it tends to be limited to low-wage occupations. Thus the result is the continuation of male breadwinner family in Korean society. This brings about an ironical situation like men’s criticism against the male breadwinner family model. Due to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men have realized practical inadequacy of male breadwinner family model. Focusing on men’s experiences of baby boomer generation, this paper is exploring the crack of male breadwinner ethic and its implication in imbalanced gender relation in Korean famil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신경아(Shin, Kyung-Ah),조복희(Cho, Bok-Hee) 기본간호학회 2012 기본간호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05 nursing students, 262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and 243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ll in schools in Gwangju or South Jeonla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5 to May 27, 2011.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SPSS 18.0 Vers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linic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clinical competence was professional practice in professional self-concept, followed by prudence and objectivity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total explanation of clinical competence was 46.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confirm tha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have an effect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urriculum that enhanc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20대 여성의 새로운 노동정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경아(Shin, Kyung-ah)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2

        이 연구는 청년여성들의 노동 경험에 대한 자전적 에세이 분석을 통해 이들이 지닌 노동정체성과 그 변화를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할 자료는 인터넷 여성주의 저널 『일다』에 게재된 〈20대 여성 ‘일’을 논하다〉에 포함된 30편의 에세이들이다. 자전적 에세이를 쓴 여성들은 ‘n포세대’라고 불리는 20대들이다. 이들 중에는 아르바이트와 임시직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불안정 노동자 ‘프레카리아트’도 있고, 자신의 꿈과 고달픈 밥벌이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가난한 예술가도 있다. 이들은 자본주의 노동시장과 성차별적 노동조직 안에서 실망하고 분노하지만, 좌절보다는 저항에 가까운 서사를 보여준다. ‘슈퍼 을’의 위치에서 ‘어린 여자’로 취급당하며 불안한 미래를 고민하지만, 노동중심 사회에서 형성되는 위계적 인간관계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더 나아가 타율적 노동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본주의 노동시장을 떠나거나 생계유지 방편으로서의 일을 줄이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늘려간다. 이런 과정에서 20대 여성들은 돈벌이를 위한 일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일을 새롭게 정의해 간다. 이같은 분석결과는 20대 여성들이 ‘탈노동, 탈자본주의적 삶의 지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런 지향들은 ‘새로운 노동정체성의 출현’을 예고하는 증거라고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identity of young women through analysis of their autobiographical essays on work experiences. The data comprise thirty essays included in the "Women in their 20s talk about work" article published in the online feminist journal Ilda. Among the women who wrote the autobiographical essays, some are precarious workers who work part time and temporarily; others are poor artists who suffer conflicts between their dreams and livelihood. They express disappointment and resentment against patriarch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apitalist labor market, but their feelings are closer to resistance than to frustration. They have been treated as ‘young women’ in the position of ‘super ul", and are worried about an uneasy future; nevertheless, they sharply criticize the hierarchical human relationship formed in labor-oriented society. Furthermore, they move away from the capitalist labor market in order to escape from alienating work, reduce working time as a means of sustenance, and increase time for doing what they want. Those who are more advanced define work as a means of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rather than making mone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women in their 20s have a strong aspiration for ‘post-industrial, life-orientated livings". Furthermore, such orientations can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a new work-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