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월성해자 신 출토 목간과 신라 外位

        하시모토 시게루(Hashimoto Shigeru)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월성해자 발굴로 묵서가 있는 목간 7점이 새로 출토되었다. 이 논문은 그 목간 가운데 1점의 내용을 검토해서 신라 외위제 운용의 일단을 밝힌 것이다. 먼저 목간에서 ‘波珎日’을 새로 판독했다. 이는 외위 제10등 彼日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이 목간에는 적어도 彼日, 一伐, 干支의 3개 외위가 확인된다. 그리고 이들 외위 앞뒤에는 반드시 ‘受’자가 나오니 한 사람이 외위를 받은 기록으로 생각된다. 즉 이 목간은 외위 승진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외위 승진의 이유에는 2가지가 있었다고 추정했다. 하나는 목간에 ‘功’ ‘煞功’으로 표현되는 특별한 공적으로 의한 승진이다. 목간의 연대와 같은 시기에 백제와의 전투 기사가 『삼국사기』에 매년 보이는 것과 목간에 보이는 䔉山이라는 지명이 백제와의 최전선에 있었기 때문에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戊戌年에는 외위가 승진하지 않았다(‘留’)고 하는데 丙午年에는 특별한 공적이 없는데도 干支에 승진한 것으로 봐서 정기적으로 외위가 승진하는 제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정기적인 관위 승진 제도는 고대 중국이나 일본에도 있었다. 관위에 대해서는 중앙관청인 位和府가 담당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목간은 위화부가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목간을 쓴 사람은 지방의 군이나 촌에 있었던 文尺, 書尺이었다고 추정된다. The excavation of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which took place from 2015 to 2017, newly unearthed 7 wooden tablets. Reviewing the contents of one piece of wooden tablet, this paper revealed the operation of Silla’s Woewui(外位) system. First, the words ‘波珎日’ were newly read on the tablet. This is thought to be the 10th Woewui 彼日(波旦). As a result, at least three Woewui 彼日, 一伐, and 干支 are identified on this wooden tablet. And because there are ‘受’ letter before or after these Woewui, this wooden tablet is presumed to have written about the record of one person receiving Woewui.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two reasons for the promotion of Woewui. One is a promotion by special merit, which is expressed as ‘功’ or ‘煞功’ on the wooden tablet. These merit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battle against Baekje. Meanwhile, it is recorded that the Woewui was not promoted(‘留’) in the year of ‘戊戌’. And he was promoted to ‘干支’ even though there was no special achievement in the year of 丙午. So,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a regular promotion system for Woewui. These regular promotion systems also existed in ancient China and Japan. The government offic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Woewui is thought to be the 位和府, so it is presumed that this wooden tablet was used by the 位和府. And the person who wrote this wooden tablet would have been local officials of 郡 · 村.

      • KCI등재
      • KCI등재

        월지(안압지)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및 내용 검토

        하시모토 시게루(Hashimoto Shigeru)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월지(안압지)목간은 1975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의 논점을 정리하고 세택과 辛番에 대해 검토한다.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는 목간은 40여점 있다. 약재명을 적은 것, 같은 글자를 반복해서 쓴 습서 목간, 문호를 쓴 목간이 몇 점씩 있다. 가장 많은 것은 부찰이며 약 20점 있다. 그중 14점은 〈연월일+作+동물명+가공품명+용기〉라는 기재양식으로 쓰인 식품 부찰이다. 목간에 보이는 유일한 관부인 세택은 종래 시종이나 비서를 담당했다고 생각되었지만 근년에 목간 내용을 통해 궁정 안의 잡역을 담당했다고 하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1호 목간은 세택이 ‘二典’한테 보낸 문서 목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통일신라시대 문서 목간이다. 세택의 관원인 大舍가 만든 목간으로 생각되어 세택은 시종 기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85호 ‘辛番洗宅’을 비롯하여 여러 목간에 辛番이 나온다. 월지나 그 주변에서도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등 관련되는 명문자료가 출토되었다. ‘辛番’과 ‘辛審’이 같은 뜻으로 생각되었지만 같이 나오는 관사명이나 글자를 적는 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이 2 문구는 구별해서 생각해야 하는 것을 지적했다.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Wolji (Anapji) was unearthed in 1975.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s 洗宅 and 辛番. There are about 40 wooden tablets which can understand the contents to some extent. Several wooden tablets were written with some medicinal properties, and some were with the same characters repeatedly written on them, and about the guard of gates. The most common were tags, and 14 of them were food tag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at: ‘date+作+animal name+ processed product name+container.’ 洗宅, the only government office written on wooden tablets, wa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servant or secretary. But in recent years, it was alleged that it was in charge of the work in the court through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s. The NO.1 wooden tablet of the report is a document sent to 二典 from 洗宅, and is the only wooden documen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known so far. It is considered to be a wooden document written by 大舎, a government official of 洗宅. There are many wooden tablets, including No. 185 ‘辛番洗宅’, written about 辛番 and relative materials such as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were also excavated in and around Wolji. Although “辛番” and “辛審” were thought to mean the same thing, bu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 KCI등재
      • KCI등재

        敵対的買収と株主総会―日本の最近の理論状況につい

        모리모토 시게루,김태진 한국증권법학회 2009 증권법연구 Vol.10 No.1

        日本において、敵対的企業買収が現実問題となったのはそう古いことではなく、この問題について十分な理論的解明がなされ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本日は、最近の三つの裁判例を素材に若干のコメントをさせていただき、次いで、最近話題となっている企業買収に関連した委任状勧誘に関するいくつかの法的問題を紹介させていただきます

      • KCI등재
      • KCI등재

        꾸란 의미의 다층성과 이슬람의 전개

        가마다 시게루(鎌田 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이슬람은 하느님에게 귀의, 복종할 것을 기본적인 가르침으로 삼는다. 하느님 자신은 불가지한 존재이지만,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자신의 말을 전한 것이 꾸란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밖에 하느님의 뜻을 직접 전달한 것은 없다. 인간이 하느님을 따라 사는 데에는 하느님의 뜻을 찾는 일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꾸란을 철저하게 읽는다. 이 작업을 통해서 법학, 신학, 신비주의 등 다양한 사상이 전개된다. 꾸란의 문자그대로의 의미에 기초하여 법학이 전개되는데, 신학, 신비주의는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하므로 숨겨진 내면적 의미의 탐구로 나아갔다. 숨겨진 의미 탐구의 한 예로, 신비철학자인 물라 사드라가 보여준 꾸란 제99장(지진의 장)의 해석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묘사하는 종말의 지진은 현세적인 시간 안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이 세계에 존재하는 것은 ‘지진’성을 본성으로 가진다는 것, 즉 이들 근저에 숨겨진 ‘하나’의 절대적 존재가 부단히 유동함으로써 ‘여럿’인 이 세계가 현현한다는 것, 이러한 의미를 도출한다. 하느님을 인간의 심판자가 아니라, 모든 존재의 근원에 있는 절대적 존재로 읽어내는 신비철학도 하나의 이슬람적 사유이다. 동아시아의 불교 가운데에서도 온 세계를 비로자나불의 현현으로 보는 『화엄경』, 또는 원불교에서 설하는 ‘일원상의 진리’에서는 다양한 현상세계의 배후에 하나의 근원적 진리를 보는데, 이는 이슬람의 신비철학적 이해와 서로 반향하는 점이 있다. The basic teaching of Islam is obedience or surrender to God. While God in His essence is unknowable existence, He communicated His message to the Prophet Muḥammad, which was later compiled as the Qurʼān. Humans have nothing other than the Qurʼān as a channel through which to know His will. In order for humans to live in obedience to Go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eruse the Qurʼānic text to find God’s actual guidance. Through their efforts to read and interpret the Qurʼān, such various disciplines as jurisprudence, theology and mysticism have developed through the history of Islamic thought. Jurisprudence is based on the literal meaning of the Qurʼān, and theology and mysticism further proceed to explore its inner, hidden meaning. As an example of the quest for the inner meaning, I present Mullā Ṣadrā’s (d.1640) interpretation of the Chapter of Earthquake (Chapter 99 of the Qurʼā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arthquake that spells the end of this world, he deduces that the earthquake does not occur in this world and that every existent in this world has earthquake-ness as its nature. In other words, this world, namely, the world of many, manifests itself as a result of the incessant transformation of the absolute existence, which is the real One hidden behind the phenomenal world of many. The range of Islamic thought is wide and includes mystical philosophy that understands God as the absolute existence at the root of all existents, not as Judge at the end of this world. In Buddhist tradition we find a similar thought in the Avataṃsaka Sūtra(華厳経): the entire world is explained as manifestations of Buddha. Ilwonsang, the One Circle(一圓相) in Won-Buddhism, also contains the same teaching. I point out a similarity between Islam and Buddhism beyond historical connec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