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창현,이정우,장필성,Song, Changhyeon,Lee, Jungwoo,Jang, Pilseo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기술혁신연구 Vol.29 No.3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신의 지속 여부 또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혁신 지속(innovation persistence)은 기업의 혁신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혁신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횡단면 조사로 수행됨에 따라 종단적인 지속 현상을 다룬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국내의 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 지속 현상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지속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행된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수관측된 3,379개 기업에 대한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술혁신의 지속 현상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인 혁신이 관측되는 기업은 전체 중 일부(혁신성과에서는 10~12%, 혁신활동에서는 15~17%)에 불과하였으며, 오히려 비혁신의 지속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52~57%). 또한 혁신성과보다는 혁신활동의 지속 현상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제품혁신이 공정혁신보다, 내부 R&D가 공동/외부 R&D보다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세부 유형에 따른 지속 현상의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혁신 지속의 영향요인 식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급진적 혹은 점진적 제품혁신이 다음 시기에서 혁신이 지속되게 하는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는 원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표본 선택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지나친 일반화는 경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식적인 패널자료의 구축 및 개선된 방법론 등을 통해, 혁신 지속 관련 발전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key factor for firms'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persistence' became also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novation Persistence' is a concept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firms' innovation activity or performance continues. However, the data used for innovation studies are carried out as cross-sectional surveys in most countries. For this reason, studies dealing with longitudinal aspect of innovation persistence are rar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innovation persistence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atus and features of Korean firms'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conducted every other year from 2012 to 2018, panel data on 3,379 firms which observed multiple times are constructed. As a result, only part of the firms with persistent innovation were observed (for innovation performance 10~12%, for innovation activity 15~17%),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sistence of non-innovation was remarkable(about 52~57%).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istence of innovation activities is stronger than that of innovation performance. Besides, some features by sub-types of innovation appeared. Product innovation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process innovation, and internal R&D also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joint/external R&D. As a result of additional logit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t was found that radical or gradual product innov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ersisting innovation in the next period. Since the sample selection bias due to a limitations of raw data might exist in the panel data constructed in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faulty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are not allowed. Nevertheles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targeting Korean firms and is expect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follow-up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advanced research results will be dra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anel data and improved methodologies.

      • KCI등재후보

        사해 두루마리에 나타난 알레고리 해석

        송창현(Chang-Hyun So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4 Canon&Culture Vol.8 No.2

        이 논문은 사해 두루마리, 특히 1QH<SUP>a</SUP> XVI 5-12에 나타난 알레고리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사해 두루마리에 대한 연구 초기부터 학자들은 호다요트(1QH<SUP>a</SUP>)의 일부분이 쿰란-에세네파 공동체의 창설자인 ‘정의의 스승’에 의해 쓰여졌다고 주장하였다. 이른바 ‘정의의 스승의 감사 찬가’는 기원전 2세기 후반으로 연대 추정되는데, 1QpHab, CD, 4Q161 등과 같은 다른 사본들에서 ‘정의의 스승’에 대하여 우리가 아는 바와 일치한다. 1QH<SUP>a</SUP> XVI 5-12에 따르면, 저자는 주님에 의해 마른 땅에 샘이 되었고, 모든 물가의 나무들 한가운데 감추어져 있는 생명나무들은 영원의 식물을 위한 새싹을 움트게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뿌리를 시냇가로 뻗고 생명의 물가로 뻗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가의 나무들은 시냇가로 뿌리를 뻗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진리의 식물을 위한 거룩한 새싹을 움트게 하는 이고, 감추어져 있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겨진다. ‘샘’, ‘생명나무들’, ‘물가의 나무들’, ‘새싹’, ‘영원의 식물’ 등의 이미지가 사용되는 이 본문은 저자가 책임 있는 인물로 자신을 소개하는 공동체와의 관계안에서 알레고리적 해석을 요구한다. 저자는 ‘정의의 스승’이고 그의 공동체는 ‘새싹’이라는 은유로 표현된다. ‘생명나무들’은 쿰란 사람들이 한때 연합했던 하시딤(1마카 2:42, 7:13, 2마카 14:6)을 가리킨다. ‘정의의 스승’의 반대자들은 ‘물가의 나무들’로 표현된다. 결론적으로 1QH<SUP>a</SUP> XVI 5-12는 알레고리적이고 자서전적인 감사찬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것은 ‘정의의 스승’과 쿰란-에세네파 공동체의 역사를 반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성전 유다이즘 시대의 성서 해석에 대한 연구에 있어 사해 두루마리의 중요성과 가치가 잘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artcle is to discern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in the Dead Sea Scrolls, specifically in 1QH<SUP>a</SUP> XVI 5-12. Since the early days of research on the Dead Sea Scrolls, several scholars argued that some portions of the Hodayot(1QH<SUP>a</SUP>) were written by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the founder of the Qumran-Essene Community. The so-called ‘Teacher Hymns’, dated back to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E, are in harmony with what we learn about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in other scrolls(1QpHab, CD, 4Q161). According to 1QH<SUP>a</SUP> XVI 5-12, the author is placed by the Lord as a fountain in desert and the trees of life, hidden in the midst of all the trees of the water, cause to sprout the shoot for the planting of eternity, because they send forth their roots to the river and are open to the living water. But the trees of the water do not send forth a root to the river. The author is the one who causes to sprout the holy shoot for the planting of truth and the one who is concealed and not esteemed. This hymn with the imageries, ‘fountain’, ‘the trees of life’, ‘the trees of the water’, ‘shoot’, ‘planting of eternity’, demands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for which the author presents himeslf as responsible. The author is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and his community is represented by the metaphor ‘shoot’. The ‘trees of life’ denote the Hasidim(1Macc 2,42; 7,13; 2Macc 14,6) with whom the Qumrannians were once associated. The adversaries of the Teacher are represented by ‘the trees of the water’. In conclusion, 1QH<SUP>a</SUP> XVI 5-12 is to be interpreted as an allegorical and autobiographical hymn and it reflects the history of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and the Qumran-Essene Communit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Dead Sea Scrolls in studying the biblical interpret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Temple Judaism are displayed well in such context.

      • 쿰란 사본과 신약성경의 인간 이해

        송창현(Song, Changh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0 이성과 신앙 Vol.4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신약성경에 나타난 인간학적 용어의 기원과 배경을 탐구하는 것이다. 신약성경의 인간 이해는 다음과 같이 구약성경에 근거를 둔다. 첫째, 인간은 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다. 둘째,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 셋째, 인간은 다양한 관계 안에서 창조되었다. 넷째, 인간은 하느님에 의해 구원된다. 그러나 바오로의 “육”과 “영”의 대조와 “육”에 대한 부정적인 용법은 구약성경의 의미를 뛰어넘는다. 쿰란 사본의 발견 이전에, 학자들은 바오로의 용법을 그리스적 개념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바우어의 튀빙엔 학파는 바오로의 사상과 용어를 헬레니즘이나 헬레니즘적 유다이즘으로 해석하려 하였다. 헬레니즘적 혼합주의의 설명은 종교사학파에 의해 주장되었다. 신약성경의 “육”과 “영” 이원론의 기원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인간 이해의 문제에 관하여 쿰란 사본은 새로운 전망을 연다. 4QInstruction, 1QS(공동체 규칙서)와 1QHa(찬양 시편)은 “육”과 “영”의 용어를 사용하는 인간에 대한 이원론적 이해를 포함한다. 여기서 우리는 쿰란 사본과 바오로의 서간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쿰란 공동체와 바오로는 모두 “육”과 “영”의 대조와 “육”에 대한 부정적인 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바오로의 서간이 쿰란 사본에서 증명되는 팔레스타인 유다 전승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었다. 바오로 인간학의 핵심 요소인 “육”과 “영”의 대조는 바오로에 대한 제2차 성전 시대 지혜 전승의 영향의 실례로 설명될 수 있었다. 결국 우리는 쿰란 사본이 구약성경과 제2차 성전 유다이즘의 연구를 위해 중요할 뿐 아니라 신약성경과 초대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이해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anthropoligical terminology in the New Testament. Understanding the human being of the New Testament is grounded on the Old Testament, as follows. First, human beings were created by God. Second, human beings were created in God's image. Third, human beings were created in a variety of relationships. Fourth, human beings are saved by God. But the Pauline antithesis of “flesh” and “spirit” and his negative usage of “flesh” go beyond the range of meanings in th Old Testament. Prior to the discovery of the Qumran Scrolls, scholars have made an explanation of Pauline usage in terms of Greek ideas. The Tü̈bingen school of F. C. Bauer tried to interpret Pauline thought and terminolgy from Hellenism or Hellenistic Judaism. The explanation from Hellenistic syncretism was offered by adherents of the religio-historical school. How do we explain the origin of the “flesh” and “spirit” dualism in the New Testament? The Qumran Scrolls open a new perspective on understaning human being. 4QInstruction, 1QS(Rule of the Community) and 1QHa(Hodayot) include a du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kind, using “flesh” and “spirit” terminology. In this point, we could fi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Qumran Scrolls and the Pauline epistles. The Qumranites and Paul both offer the antithesis of “flesh” and “spirit” and the negative usage of “flesh”.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Pauline epistles were influenced by Palestinian Jewish traditions that are attested in the Qumran Scrolls. The antithesis between “flesh” and “spirit” that is a core element of Pauline anthropology could be explained as an example of the influence of the Wisdom tradition of Second Temple period on Paul. In consequence, we could indicate the fact that the Qumran Scrolls are not only important for studying the Old Testament and Second Temple Judaism, but also for providing invaluable clues to 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community.

      • KCI등재

        쿰란의 청동 두루마리(3Q15)에 관한 연구

        송창현(Chang-Hyun So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본 연구는 키르벳 쿰란의 구리 두루마리(3Q15)의 문학 장르와 역사적 배경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이 문헌은 롤랑 드 보가 이끈 고고학 팀에 의해 1952년에 발견되었다. 이 문헌의 특별한 재질과 그것의 보존 상태 때문에, 두루마리를 개봉하고 해독하는 것은 맨체스터 대학교 과학기술 대학에서 작업될 때인 1955-1956년까지 기다려야 했다. 사본의 공식 본문은 밀릭에 의해 1962년 DJD 3권에 발표되었다. 구리 두루마리의 문학 장르는 많은 논란이 되었다. 몇몇 학자들은 구리 두루마리와 목록 사이의 유사성과 이 문헌에서 서사적 구조가 없는 점을 지적하였다. 형식적인 관점에서 사본은 단수 2인칭 “너”-수신인에게 보내 어진다. 본문은 숨겨진 보물들이 이 “너”-인물에 의해 확인되고 재발견되는 상황을 전망한다. 그러나 수신인은 본문에서 익명을 남아 있다. 문학 장르와 관련하여, 구리 두루마리는 지금 숨겨져 있는 보물들이 발견될 날을 위한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는 안내문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구리 두루마리의 지리적 조망은 예루살렘과 와디 쿰란 근처, 그리고 예리코 근처의 지명들에 집중하는 듯하다. 이 지명들 이외의 제한된 장소들은 특별한 관심을 끈다. 문헌은 느보, 그리짐, 그리고 벳 샨을 언급한다. 이것은 북부 팔레스티나에 흥미로운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세 장소 이외에는 남부 팔레스티나와 해안 지역에 대한 언급은 없다. 구리 두루마리의 지리학에 있어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사항은 성경에서 언급되 거나 구약 성경의 본문이나 전승과 관련 있는 여러 장소의 이름이 언급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estions of both the gen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pper Scroll(3Q15) from Khirbet Qumran. This document was discovered in 1952 by a team of archaeologists lead by R. de Vaux. Due to the unusual material of the document, and its state of preservation, the opening and reading of the scroll had to wait until 1955-1956, when the scroll was opened at the Manchester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official text edition in that of J.T. Milik in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of Jordan III in 1962. The literary genre of the Copper Scroll has been a much-debated issue. Several scholars have pointed to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opper Scroll text and a list, and to the lack of any narrative framework in the document. From a formal viewpoint the text is addressed to a “you”-addressee. The text would seem to envisage a situation in which the hidden treasures are to be reclaimed and recovered by this “you”-figure. The addressee, however, remains anonymous in the text. As far as genre is concerned, the Copper Scroll could be interpreted as a form of manual containing instructions for the day when the treasures now hidden are to be uncovered. The geographical outlook of the Copper Scroll seems to focus primarily on the area in and near Jerusalem, on locations close to Wadi Qumran, and on the vicinity of Jericho. References to a limited number of locations outside these main areas, however, deserve particular attention. The document mentions Nebo, Garizim, and Bet Shan. This would seem to indicate an interesting focus on Northern Palesine in marked contrast to absence of references to locations in Southern Palestine outside the three areas mentioned above, or to the coastal areas of Palestine. Another noteworthy aspect of the geography of the Copper Scroll is the significant number of place-names, which are either biblical names proper, or in some way connected with Old Testament texts or traditions.

      • KCI등재
      • 기업집단 내부거래 규제의 현황과 개선 방안

        송창현(Chang-Hyun Song),조중일(Choong-Il Cho),김남훈(Nam-Hoon Kim)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3 법학평론 Vol.4 No.-

        기업집단 내부거래 규제는 사회경제적으로 바람직한 내부거래는 용인하되 지배주주의 사익추구나 비효율적인 내부거래는 억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상법, 공정거래법 등 현행 법령과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업집단 내부거래의 바람직한 규제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업집단 내부거래는 의사 결정, 공시, 이행의 단계 별로 규제를 받고, 사후적인 통제도 받는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회사 내부기관의 통제나 선관의무를 위반한 이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등 사적 집행의 수준이 낮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부과, 시정조치 등 공적 집행이 중시되는 면이 있다. 이로 인해 회사 내부기관의 통제나 이사의 선관의무에 의해 다루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에 대해서까지 공정위에 의한 공적 집행이 확장되는 경향이 있다. 개정 공정거래법에서 신설된 제23조의2(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 금지)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공정거래법은 부당내부거래를 한 지원주체에게 과징금을 부과하는데 부의 이전(wealth transfer)으로 손해를 본 지원주체에게 과징금까지 부과시키는 것은 이중의 부담을 준다. 오히려 지원주체가 유출된 부를 회수할 있도록 하는 것이 형평에 맞는다. 그런데 현행 손해배상제도나 부당이득반환제도로는 이전된 부를 회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입법론으로는 이를 반환시켜 주는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부당내부거래의 규제는 공적 집행과 사적 집행이 균형을 이루어야 최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미약한 수준의 사적 집행이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기존 제도의 운영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거래에 대한 이사회의 실효적인 검토와 승인, 제한된 범위 내의 이중대표소송 제도의 도입, 대표소송 수행자에 대한 보상, 사법심사의 강화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현행 법제는 허용되는 내부거래와 금지되는 내부거래를 판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들이 제재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사회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내부거래를 축소하거나 포기할 위험이 있다. 기업집단법의 제정을 통해 허용되는 내부거래를 명확히 규정하거나 손해를 보는 회사에게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을 조건으로 내부거래를 허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업무편향적 기술변화에 따른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임금 프리미엄 영향요인

        송창현(Changhyun Song),임업(Up Lim) 한국지역학회 2023 지역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지역노동시장권을 대상으로 업무 특성에 따른 직종 집단 간 고용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임금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재직자조사』 원자료의 직종별 업무 특성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다음, 비단순반복 업무지수를 산출하여 일자리를 유형화한다. 둘째, 『인구총조사』원시자료와『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를 결합해 개인 수준 및 지역 수준 자료를 구축한 다음,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직종별 고용 분포 변화를 분석한다. 셋째,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해 직종 집단별 임금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 수준 요인을 실증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비단순반복 업무지수가 높은 직종의 고용 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대도시 지역노동시장에서 지배적인 고용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화경제로 인한 집적경제 외부효과는 비단순반복 업무를 주로 요구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임금근로자에게 유의한 임금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 맥락에 따른 일자리 구조의 전환과 임금 불평등의 양상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지역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 완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occupational groups by job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wage premiums in local labor markets from 2010 to 2020. This study’s analysis involves three primary steps. First,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data from the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 are subjected to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a non-routine task intensity index is calculated by each occupations. Then, we conduct an exploratory analysis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employment by occupation from 2010 to 2020 by combining data from the Population Census with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o construct individual-level and regional-level data. Thirdly, we emplo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examine the individual-level and regional-level factors influencing wage premiums. Since 2010,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in occupations requiring non-routine task has continued to rise and now dominates the metropolitan labor market. Moreover, agglomeration effects resulting from urbanization produce a substantial wage premium for wage workers in occupations requiring non-routine task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mitigat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local labor marke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occupational structure and wage inequality in relation to the local labor market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