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분석

        송박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 증진 향상을 위해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중국 동북지역에 위치한 랴오닝성 S시(遼寧省S市)에 소재한 D대학의 대학생이며, 설문기간은 2022년 7월 16일부터 2022년 12월 16일까지 5개월이라는 시간을 거쳐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와 표본추출방법은 임의 표집 방법에 따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설문지, 취업준비역량 설문지, 진로정체감 설문지로 구성하여 1,000부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자 37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96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응답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은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정서 요인, 인지 요인, 행동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높으면 취업준비역량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 취업정보탐색 요인, 취업준비행동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진로정체감은 부분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채택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은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에 대해 대학생 마음챙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정서, 진로정체감 인지, 진로정체감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주는 적극적인 영향을 극대화하려면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향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대학생 진로정체감 향상 프로그램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정체감은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준비행동, 취업정보탐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정서, 진로정체감 인지, 진로정체감 행동에 대해 대학생 진로정체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사이에서 진로정체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한다는 것을 살펴본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사이에서 진로정체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이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이 두 변인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에 중요하며,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진로정체감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capac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university student at D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Liaoning Province, located in northeastern Chin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5 months from July 16, 2022 to December 16, 2022. The research tool and sampling method consisted of a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questionnaire, a job preparation competency questionnaire, and a career identit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1,000 copies, excluding 37 unfaithful respondents, and finally 963 copie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 response data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and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cognitive mind, the higher the job preparation capac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career identity,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i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s high, employment preparation capacity is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competency, job information search factor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actor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the higher the job preparation capacit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overal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career identity was adopted.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indfulness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emotion, career identity perception,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active impa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career identity, not only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mprovement programs but also career identity improvement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information search, which are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areer identity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emotions, career identity recognition,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their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at career identity play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rogram that considers both variabl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career identity in depth.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career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