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dicting Story Comprehens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rough Eye Movement and Executive Function

        송덕진(Deokjin S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이야기 이해 능력은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학령기의 학습 능력까지 뒷받침한다. 세 가지 집행기능의 하위 과제(갱신, 억제, 전환)와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이야기 이해 처리 과정을 분석하고 이야기 이해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일반 아동 17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조 및 추론적 이야기 이해 과제, 시선추적기를 이용한 이야기 처리 과정(평균 시선고정 시간), 집행기능을 대표하는 갱신, 억제, 전환 과제(n-back, flanker, DCCS)를 통해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회귀분석을 통해 집행기능의 하위 요소 및 시선추적기 변수 중 어떠한 변인이 이야기 이해력을 예측해주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참조 및 추론적 이야기 이해와 집행기능의 갱신 기능과 전환 기능에서 일반 아동 집단보다 어려움을 보였으며 이야기 내의 그림자극을 일반 아동 집단보다 짧게 응시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달리 일반 아동은 이야기 이해력과 집행기능의 하위 요소, 평균 시선고정 시간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아동의 참조 및 추론적 이해력을 설명하는 공통적인 능력은 갱신 능력이었다. 논의 및 결론: 일반 아동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 비해 집행기능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그림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영역에 오랫동안 시선을 응시하여 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이 시사된다. Objectives: Story comprehension is an important ability that supports not only the language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but also their learning skills in school age. Through three subtasks of executive function (updating, inhibition, and shifting) and eye movement, we examined the process of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online and offline. Also, we looked for the variable which predicts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1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17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ged 4-6 years. Group differences were compared using story comprehension (reference comprehension and inference comprehension), updating, inhibition, shifting tasks (n-back, flanker, and DCCS) representing executive function and story processing using the eye tracker. Moreov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ich variable, executive function or eye tracker, predicts story comprehension. Results: The SLI group showed more difficulty in story comprehension and executive function than children in the TD group. Furthermore, the TD group gazed at important visual cues longer than children in the SLI group. The TD group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nd both the subelements of executive function and average fixation duration unlike the SLI group. Updating predicted reference comprehension and inference comprehension simultaneously in the TD group.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D children can understand stories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ir executive function and also can distinguish areas of significance in picture books through staring at a subject for a long time to foster learning in contrast to children with S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