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송나윤,김혜진,노태희,Song, Nayoon,Kim, Hyejin,Noh, Taehee 대한화학회 2021 대한화학회지 Vol.65 No.5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서책형 교과서 14권과 디지털 교과서 14권의 삽화를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다수 학생 삽화의 유형이 가장 많았다. 학생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성별 등장 빈도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지만,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출판사간 편차가 나타났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학습 활동에서는 여학생의 등장 빈도가, 학습 외 활동에서는 남학생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외 활동에서는 모든 출판사가 성별 불균형을 이루었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행동 특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대부분 적극적으로 묘사되었지만,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출판사 간 편차가 나타났다. 성인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또한, 가정 활동에서는 성별 등장 빈도에 차이가 없었지만, 가정 외 활동에서는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직업 활동이 성별 균형을 이루었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높은 직업 유형이 여성의 등장 빈도가 높은 직업 유형보다 더 많았다. 유명과학자뿐만 아니라 무명과학자를 의미하는 연구직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행동 특성은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대체로 남성 편향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illustrations pres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14 paper textbooks and 14 digital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gender stereotypes.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the most common type of illustration was multiple pupils. For pupils, the frequency of gender was balanced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ublishers in digital textbooks.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girls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boys in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 opposite tendency was observed in non-learning activities. In particular, non-learning activities of digital textbooks showed gender imbalance among all publishers.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mostly described to be active without gender differenc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ublishers in digital textbooks. For adults, men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women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Gender frequency was balanced in family activities, however, men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social activities. Unlike paper textbooks, digital textbooks were gender balanced in occupational activities.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the number of occupations in which men appeared more frequently was higher than that in which women appeared more frequently. Especially, men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women in both scientist and research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mostly biased in terms of gender in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U-Learning 교육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터치 테이블 개발 연구

        송나윤(Song Nayoon),남경숙(Nam Kyung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유비쿼터스 기술이 교육환경에 접목되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스마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더불어 교육가구 즉 전자칠판 전자책상 등 가구와 IT가 접목한 산업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하고자하는 스마트 터치 테이블에 적용해야하는 터치패널 기술과 멀티터치 기술을 조사하고 개발품과 유사한 멀티 터치 테이블 PC 및 멀티터치 테이블의 사례를 통해 U-Learning에 적합한 스마트 터치 테이블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고찰을 통해 나타난 U-Learning 교육환경은 물리적인 공간은 기술을 만나 첨단화를 이루고 있었지만 정작 학생이 가장 가까이하는 책상이나 의자 등 가구측면에서의 첨단화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현재의 U-Learning 교육환경의 전자책상은 기존의 책상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등을 매입한 형태 이는 어수선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셋째 기존 책상 중 스마트 터치 테이블과 가장 유사한 목적을 띄고 있는 컴퓨터책상 즉 전자책상에 관한 사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어떤 유형의 전자책상을 소비자는 원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스마트 터치 테이블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전식 멀티 터치 기술을 바탕으로 매직글라스에 22인치형 LCD 모니터 다자간 터치 등의 첨단 기술을 통해 기능적 가치를 부각시키고 자유로운 U-Learning 교육환경에 적합한 유선형 디자인과 편리한 이동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디자인함으로써 감성적 가치까지 겸비된 진정한 미래형 가구로서 도약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한정된 U-Learning 교육 환경에 새로운 방식으로 첨단화를 접목시킴으로써 교육시장 뿐만 아니라 가구시장 그리고 나아가 사무환경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As developing IT technology various Ubiquitous technologies are integrated into education environment and became smarted. So this study aims for developing touch patch technology and multi-touch technology which should applied to developing smart touch table. Also we are going to develop smart touch table suitable for U-Learning through reviewing multi touch table PC and multi touch table cases which are similar with existing development outcomes. First We recognized that physical space is already modernized as applying for technology but furnitures such as desks and chairs are not upgraded and modernized. However these furnitures are very common and close to students above everything else. Second electronic desk of current U-Learning education environment is creating disordered education environment as combining existing desk with computer desktop and monitor. Third We conducted consume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esearch regarding to computer desk and electronic desk which has similar purpose with smart touch table among currently existing desks. Additionally we are going to characterize functional values through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22inch LCD monitor magic glass based on capacitive multi touch technology and multi touch etc. As designing streamlined design suitable for U-Learn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venient portability eco-friendly materials this future furniture will soar as adding emotional values. Therefore our study seems to have a big impact on education market furniture market and office environment as getting out of limited existing U-Learning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도심형 실버타운 공용 공간의 스마트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액티브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송나윤(Song Nayoon),남경숙(Nam Kyung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인구 고령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의'액티브 시니어'가 미래실버산업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노년층과 다른 Active Life Style을 추구하여 첨단화된 서비스의 제공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인공간의 스마트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액티브 시니어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NEEDS를 바탕으로 서비스 유형을 도출하고 서비스 유형에 따라 도심형 실버타운의 공간 구성 사례를 분석해 공간에 따라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여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출한'액티브 시니어'의 도심형 라이프 스타일 유형은 4가지로 분석되었다. 먼저 생활 편의 서비스 공간의 라이프 케어실에는 감성 조명과 CCTV 등을 식당에는 스마트 식당 시스템과 Media table을 적용하였다. 스파에는 스마트 욕조 시스템 컨트롤러와 온도조절센서 등을 마트에는 Digital food information을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의료 재활 서비스 공간의 클리닉 센터에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과 U-메디컬 미러 등을 너스 스테이션에는 비상경보장치와 월패드 게이트웨이를 적용하였다. 재활치료실에는 재활 치료 가이드 프로그램과 Smart Card 인식장비를 적용하였다. 운동 건강 서비스 공간인 체력단련실에는 스마트 런닝 머신 시스템과 바이오 셔츠 및 패치 등을 제공하였다. 문화·여가생활 및 커뮤니티 서비스 중시 유형의 전자도서관에는 디지털 서고 시스템과 스마트 북 등을 전시실에는 미디어 보드와 촉각장갑을 제공하였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 사회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모델디자인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aging population tendency becomes certain,'Active Senior' who has positive and independent mind based on economic power has emerged the center of the silver industry in the future. This new concept of generation seek another'Active Life style' concep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older people so they seek the provision of high-qualified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Becoming smart of senior space' based on smart technology. To perform this study service types are derived based on NEEDS according to Acitve senior's lifestyle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I presented design as incorporating smart technology by analyzing urban area silver town's space component cases following to the type of service. Urban life style type of 'Active Senior' which were derived from this process has analyzed 4 cases. Life convenience service space's life care room has emotion lighting and CCTV and the restaurant appled smart restaurant system and media table for this purpose. Smart bath tub system controller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so on are applied to the spa at supermarket there is a digital food information system. Next clinic center of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spaces applied health monitoring system U-medical mirror nurse station emergency alarm and wall-pad gateway. At rehabilitation clinic applied rehabilitation clinic guide program and smart card identification equipment. Exercise Health Service spaces provide smart treadmill exercise system and Bio-shirts and patche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and community service oriented type of electronic libraries helps to use the digital library system and smart book. Using media board and touchable glove at exhibition space. This system will contribute to present model design in order to build economic and efficient welfare system in our society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 KCI등재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양찬호 ( Chanho Yang ),송나윤 ( Nayoon Song ),김민환 ( Minhwan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 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Eleven pre-servi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includ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were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used teacher’s guide while they planned two lessons, which were a lecture and an instruction using science teaching model.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followed each lesson presented in teacher’s guide, but they did not consider the structure of the whole unit and science curriculum.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 exemplary lesson planning in teacher’s guide helped them to select science teaching model. They modified the questions of textbook activity in planning their lecture. On the other hand, they modified the activity to fit each stage of the model in planning their instruction using science teaching models. Most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their own worksheets by applying the materials of the teacher’s guide. They recognized the components of assessment by considering exemplary lesson planning from the teacher’s guide, and created questions by modifying the content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includ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However, the questions which they made were limited in context of knowledge. They evaluated that introductory questions were not of interest to students, and modified or added new material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생성 수업 계획 및 시연에서 나타나는 특징

        김민환 ( Minhwan Kim ),송나윤 ( Nayoon Song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이 연구에서는 비유 생성 수업을 위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수 설계와 관련된 강의를 수강 중인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비유 생성 수업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비유 생성 수업을 계획하고 시연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장면은 녹화하였으며, 수업 시연 전후에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교사의 비유 생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비유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비유의 예시와 유형을 소개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소집단 비유를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수업에 포함하지 않는 등 비유 생성 수업의 단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고,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 또한 일부 예비교사의 수업에서만 나타났다. 세 명의 예비교사 모두 평가를 고려하였으나, 단순히 개념 이해도만을 평가하는 등 제한된 평가 방법과 평가 측면을 활용하였다. 일부 예비교사는 학생들의 오개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였고, 학생들이 생성할 비유를 구체적으로 예상하기도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비유 생성 활동의 수준, 과학 개념의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비유 생성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urriculum design for lessons using self-generated analogy. Thre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a workshop on lessons using self-generated analogy, they planned and demonstrated lessons.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their lesson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ir lessons.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s using self-generated analogy were analyzed in the perspectives of PCK.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used various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generating analogies.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the stages of the lessons and the role of teachers. Although all of them considered assessment, they used limited assessment methods and assessment dimensions. Some actively considered students’ misconceptions, and specifically anticipated analogies that students could generate. They determined topics for lesson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self-generated ana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onception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we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