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동의 정서 발달을 위한 소셜 로봇 대화 시나리오

        손효인(Hyoin Son),임효정(Hyojeong Lym),김민규(Mingyu Kim),정재희(Jaehee Chung)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기술과 경제 발전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는 유아동의 정서적 문제를 야기한다. 소셜 로봇은 사람과 교감하는 감성 중심의 로봇으로 유아동의 정서 발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 발달을 위한 소셜 로봇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유아동과 소셜 로봇 및 유아동의 정서발달에 대해 살펴보고, 역할놀이 기반 ‘속마음 대화’, 동화 기반 ‘공감 대화’, 일상 문제 기반 문제해결 대화’의 세 가지 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소아정신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만 5~7 세 유아동 8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유아동은 모든 시나리오의 목적에 적합하게 대화를 진행하였다. 특히 ‘공감 대화’와 ‘문제해결 대화’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속마음 대화’에서는 낯선 환경과 라포 형성의 미흡으로 속마음을 충분히 얘기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대화의 선호도 역시 공감 대화, 문제해결 대화, 속마음 대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이 유아동의 정서 발달 목적에 부합하는 대화를 유도하여 정서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유아동과 소셜로봇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유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에 소셜 로봇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성별과 형제 유무에 따른 유아의 소셜 로봇 활동 선호도

        손효인(Hyoin Son),임효정(Hyojeong Lym),김다영(Da-Young Kim),김민규(Min-Gyu Kim),정인애(Inae Chung),정재희(Jaehee Chu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사회적 행위를 통해 인간과 정서적인 교감과 소통을 하는 소셜 로봇은 유아 돌봄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아기는 사회성 발달의 중요한 시기로, 놀이와 대화는 유아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유아의 사회성은 성별, 연령, 형제관계, 기질 등 다양한 개인적 변이에 따라 다르게 발달한다. 본 연구는 성별 및 형제 유무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소셜 로봇 활동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소셜 로봇의 놀이와 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전문가 검증을 진행한 후, 3~6 세 유아 50 명을 대상으로 실증을 진행하고 유아와 양육자의 활동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증결과, 대화 활동에 대한 유아의 만족도는 여아와 형제가 있는 유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놀이 활동에 대한 여아 양육자의 만족도가 남아 양육자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셜 로봇에 대한 양육자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여아(적극성, 관계성), 남아(활동성, 또래성), 형제가 있는 유아(교육성, 대체성), 형제가 없는 유아(기능성, 관계성)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에 따른 소셜 로봇 활동 선호도를 유아와 양육자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50 가구를 대상으로 실제 유아의 생활환경에서 실증을 진행하였다는 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개인적 변인을 고려한 연구는 로봇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한계를 보완하여 유아 친화적 로봇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의 기술수용요인이 유아의 소셜 로봇 만족도와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효인(Hyoin Son),임효정(Hyojeong Lym),김다영(Dayoung Kim),김민규(Mingyu Kim),정재희(Jaehee Chu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9 No.1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소셜 로봇 수용에 있어서 부모의 중재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모의 로봇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유아의 소셜 로봇 수용과 활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기술수용요인이 유아의 소셜 로봇 만족도와 수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유아의 발달과 유아용 소셜 로봇에 대해 살펴보고,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과 로봇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47가구 유아를 대상으로 4일간 소셜 로봇 사용 실험을 진행한 후, 부모의 기술수용요인이 유아와 부모의 만족도와 소셜 로봇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기술수용요인은 유아의 소셜 로봇에 대한 만족도와 수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만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로봇과의 실제 경험에 기반한 유아와 부모의 만족도는 유아의 소셜 로봇 수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기술에 대한 사전 인식보다는 실제 사용 경험이 수용 의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47가구를 대상으로 일정 기간 소셜 로봇을 사용하며 소셜 로봇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유아용 소셜 로봇 개발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Parents’ parenting attitud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fan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Parental med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ants’ acceptance of social robots, and par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ocial robots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acceptance and use of social robo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parents’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affects their infants’ satisfaction with and their intention to accept social robots. First, infant development and social robots for children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literature, and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2) and previous research on robots based on UTAUT2 were investigated. For the empirical study, an experiment using social robots was conducted for 4 days targeting 47 households with infants, and the impact of parents’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n infants’ and parents’ satisfaction and infants’ intention to accept social robot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ents’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satisfaction with and their intention to accept social robots, and i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ents’ satisfaction neither. However, the infants’and parents’ satisfaction based on actual experience with social robo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fants’ intention to accept social robots. This result shows that actual experience of using a new technology, rather than prior awareness of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ests social robo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argeting 47 households, ver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social robots, and presents meaningful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robots for infants.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소셜 로봇 활용 가능성

        임효정(Hyojeong, Lym),손효인(Hyoin, Son),정인애(Inne, Chung),정재희(Jaehee, Chung)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는 화용 언어에 문제가 있어 대인관계나 사회성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이다.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는 개인의 사회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적절한 조치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유아동과 소셜 로봇, 유아동의 사회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를 살펴본 후,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유아동과 일반 유아동 8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소셜 로봇과의 대화는 화용 언어 사용 평가 기준인 장문 구사 능력, 대화 수행도, 주제 이탈 단어 사용 빈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은 장문 구사 능력과 주제 이탈 단어 사용 빈도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화 수행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보다는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소셜 로봇과 유아동의 대화 내용을 화용 언어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분석하면,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조기에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초기 판단으로, 문제가 인지될 경우 전문가의 상담과 진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의 조기 판별에 있어 소셜 로봇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유아동의 언어와 사회성 발달에 기여하는 소셜 로봇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어린이를 위한 홈 로봇 서비스 개발 및 실증

        김다영(Da-Young Kim),임효정(Hyo Jeong Lym),손효인(Hyoin Son),정재희(Jaehee, Chung),김민규(Min-Gyu K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소셜 로봇은 교육, 의료, 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아동은 소셜 로봇을 흥미를 일으키는 존재인 동시에 친근한 존재로 인식되어 상호작용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 아동, 그리고 로봇이 함께 활동할 수 있는 홈 소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하고, 2017 년~2019 년생 아동 50 인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홈 소셜 로봇 서비스는 사회성·정서 발달을 위한 참여형 놀이 활동과 심리·정서 반응 추적이 가능한 대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과 로봇의 활동을 모두 지켜본 양육자에 의해 홈 소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에 대한 인식을 평가받았다. 설문 결과 로봇으로부터 인간 같은 외형과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크게 느끼지 못했으나, 로봇의 공감 능력과 배려 있는 태도가 아동에게 호감을 준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아동의 답변 의도에 따른 로봇의 대처 능력에서 로봇의 지능을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로봇이 아동에게 공감하고 호응하는 상호작용 설계는 로봇과 아동 긍정적인 상호작용 인식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