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손제희(Son, Jehee),허만세(Hoe, Maans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중 중년여성이 많이 다니는 3곳의 대학교에서 40, 50대 중년여성 300명을 임의표집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살사고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주요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자살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women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 study sample consists of 300 middle-aged women who enrolled across three colleges located in Deagu. Data analysis results in three major findings. First, self-esteem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lf-esteem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depress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depression mediates completely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wome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s still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regarding how to prevent suicide of middle-aged women.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에 적합한 사회자본 척도 개발과 타당도 연구

        손제희(Son, Je-Hui),지은구(Ji, Eun-G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자본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사회자본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에서 진행되어온 조직사회자본 측정과 관련된 문헌을 연구하고, 사회복지조직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설정한 다음,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56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1.0 및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최종 확인된 척도에 대해서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자본 척도의 요인구조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요인구조의 모형을 수립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최종 확인된 척도에 대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자본 척도가 타당도가 확보된 유의한 척도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ocial capital scale fittale to measure the social capital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to examine the validity. For these purpose, we researched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measure being progressed in domestic and foreign in a while, set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reflecting the distinctivenes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derived it after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to increase the content validity. We derived preliminary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derived, we carried out a survey for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Total 568 case of responses are used i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carried out by SPSS 21.0 and AMOS 21.0. We examin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bout the finally selected scal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rived a factor structure of social capital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confirmed model fi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stablishing the model of factor structure derived. Third, examin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secure the validity about finally confirmed scale. Thus, it is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social capital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e significant scale securing a validity.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과 타당도 연구

        지은구(Ji, Eun Gu),손제희(Son, Jehui),김민주(Kim, Min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적 자본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에서 진행되어온 사회적 자본 측정과 관련된 문헌을 연구하여 예비문항을 설정한 다음,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예비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지표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 경북, 부산, 경남지역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553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 및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최종 선정된 지표에 대해서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 지표의 요인구조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요인구조의 모형을 수립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최종 확인된 지표에 대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자본 지표가 타당도를 확보한 유의한 지표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that social workers to recognize and examining the validity. For those purpose, we researched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social capital measure being progressed in domestic and foreign in a while and set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and after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to increase the content validity, we derived preliminary indicator. To examine the validity of derived indicator,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egu, Gyeongbuk, Busan and Gyeongnam. Total 553 case of responses are used i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carried out by SPSS 18.0 and AMOS 22.0. We examin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bout the ultimately selected indicator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rived a factor structur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confirmed model of derived factor structure. Third, examined verification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secure the validity about ultimately confirmed indicator. It is empirically validated that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e significant indicator securing a validity.

      • KCI등재후보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감정노동수행정도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주(Kim, Min-Joo),손제희(Son, Je-He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비판사회정책 Vol.-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의 감정노동수행정도와 이직의사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감정노동수행정도와 이직의사 간의 관계에서 이용자와의 관계와 제공기관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에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196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의 감정노동 수행정도와 이직의사의 관계는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의 감정노동수행정도와 이직의사 간의 관계에서 이용자와의 관계가 부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의 감정노동수행정도와 이직의사 간의 관계에서 제공기관 지원이 부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의 이직의사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to provide emotional labor and intent to leave of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client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to provide emotional labor and intent to leave. To achieve a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pon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gu and Kyungbuk. Finally, data was analyzed total 196case and analyzed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 18.0.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to provide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 to leave. Second, client relationship moderates the negative effect of degree to provide emotional labor on intent to leave of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organization support moderates the negative effect of degree to provide emotional labor on intent to leave of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alleviating intent to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