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주민 문화적응에 관한 여가연구 동향

        손영미,오세숙 여가문화학회 2012 여가학연구 Vol.10 No.1

        According a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last 10years, immigrants' acculturation has become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reviews theories on acculturation in leisure studies, specifically marginality vs ethnicity theory, assimilation theory and it's extended models, Berry's box and it's extended models, and cross-cultural vs cultural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research. Moreover, It also examines domestic research trend for some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publishing articles a year, major issues and theories applied to domestic studies, methodology and employees. Finally, some kinds of suggestion for domestic studies in the near future are discussed.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고,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체류 이주민의 문화적응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여가학 분야에서의 문화적응 이론 및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에 대한 주요 여가연구이론으로 1960~70년대의 주요 이론인 사회경제적 소외이론과 민족하위문화이론을 살펴보았다. 동화이론과 확장모델, Berry의 문화적응이론과 확장모델, 그리고 비교문화심리학적 접근의 문화적응연구에 대한 한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가와 문화적응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1) 연도별 논문발간 현황, 2) 주요 연구주제 및 적용이론, 3) 연구방법론, 4) 연구대상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향후 여가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부정적 정서신념과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손영미,박정열,양은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3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정서명료성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대~50대의 기혼직장인 869명(남: 424명, 여: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신념이 낮을수록, 정서명료성이 높을수록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신념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반면 정서명료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부정적 정서신념과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에 있어 성차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 간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신념의 조절효과는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는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We examined the moderator roles of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larity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psycholog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Also we identified gender differences in their moderating effects.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869 married working employees (man: 424, women: 445).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work-life balanc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larity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Whil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depression and anxiety, emotional clarity showed no significance. We found gender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of two moderators. In specific, the only women who had mor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were more psychological symptoms in a low work-life balanc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only men who had higher emotional clarity were less depressive and anxious under the conditions of high work-life balance.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 KCI등재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손영미,김정운,박정열 여가문화학회 2011 여가학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ork-life balance level, in respect of central public officials, and then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variables(WLB organizational culture, implementation of WLB support system) and individual variables(the time spent on work and life, WLB belief) on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balance level between work and life of public officials showed the points lower than the average(3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work-life balance level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ublic officials, the work-home bal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t was analyzed that the balance score of married persons, men, and persons in their 40’s a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singles, women and other age groups(especially people in their 20’s), respectively. Especially, in respect of marital status, not only in the work-home balance, but also in the leisure-health bal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work-life balance of public official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time spent on work and life area’, ‘WLB belief’, and ‘WLB organizational culture’. ‘Implementation of WBL support system’ was analyzed not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work-life balance. Based on the results as above, the undertone of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수준을 살펴보고,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변수(WLB 조직문화, WLB 지원제도의 시행도)와 개인변수(일과 삶에 할애하는 시간, WLB 신념)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이 전반적으로 평균(3점)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수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과 가정의 균형에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남성이 여성에 비해 그리고 40대가 다른 연령대(특히 20대)에 비해, 8-9직급이 타 직급에 비해 일과 가정의 균형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결혼여부의 경우,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 이외에도 일과 여가 및 건강의 균형에 있어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변수와 개인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일과 삶의 영역에 할애하는 시간’, ‘WLB 신념’, ‘WLB 조직문화’의 순으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LB 지원제도의 시행도’는 일과 삶의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