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발후천코눈물관막힘을 가진 한국인에서 골성 코눈물관의 형태학적 특징 분석

        김수연(Su Yeon Kim),손병재(Byeong Jae So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6

        목적: 원발후천코눈물관막힘을 가진 한국인에서 CT를 이용하여 골성 코눈물관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본원에서 편측성 코눈물관막힘을 진단받은 40명의 환자와 코눈물관에 영향을 줄 수있는 다른 질환이 없는 정상인 40명의 CT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축상면에서는 코눈물관의 가로 직경을 근위부, 원위부에서 측정 하고 그 사이의 최소 직경을 측정하였으며, 근위부에서 양측 코눈물관 사이의 거리, 이마광대 봉합선 사이의 거리를 기록하였다. 시상 면에서는 코눈물관의 길이, 근위부와 원위부의 전후 직경 및 최소 직경, 코눈물관과 코 바닥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관상면에서는 눈물주머니 오목과 코눈물관 사이의 각도, 코 바닥과 코눈물관 사이의 각도, 아래코선반과 위턱굴 내측벽과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편측성 코눈물관막힘을 가진 환자의 CT에서 양측 골성 코눈물관 사이에 형태학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정상인과 비교해 보았을 때 축상면에서 환자의 근위부 가로 직경과 최소 가로 직경이 유의하게 작았으며(각각, p=0.010, p=0.017), 관상면에서 환자의 눈물주머니 오목과 코눈물관 사이의 각도, 코 바닥과 코눈물관 사이의 각도, 아래코선반과 위턱굴 내측벽과의 각도가 유의하게 작은 결과를 보였다(각각, p=0.019, p=0.001, p<0.001). 결론: 한국인에서 코눈물관의 근위부 가로 직경과 최소 가로 직경이 작을수록 코눈물관막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눈물주머니 오목과 코눈물관 사이, 코 바닥과 코눈물관 사이, 아래코선반과 위턱굴 내측벽 사이가 좁을수록 코눈물관막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orphometric differences of bony nasolacrimal ducts (BNLDs)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in Koreans with primary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NDO). Methods: From March 2014 to March 2016, 40 unilateral PANDO patients and 40 control subjec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xial, sagittal, and coronal planes of CT were used for image evaluation. The proximal, minimal, and distal transverse diameters (TDs) of the BNLD were assessed. The length, sagittal orientation angle of BNLD, relative lacrimal sac-BNLD angle, nasal floor-BNLD angle, and turbinate angl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bilateral BNLD and inter-frontozygomatic suture distance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re were no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he PANDO and non-PANDO sides within PANDO patients. The proximal and minimum BNLD TD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narrower in the PANDO patient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10 and p = 0.017, respectively). The lacrimal sac-BNLD angle, nasal floor-BNLD angle, and turbinate angle also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NDO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p = 0.019, p = 0.001, and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small group, the narrow proximal and minimum BNLD TD in PANDO patients (in both the PANDO and non-PANDO sides) may be associated with PANDO development in Koreans. Additionally, the narrow lacrimal sac-BNLD, nasal floor-BNLD, and turbinate angle might be possible causative factors of PANDO.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6):634-639

      • KCI등재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박수진(Su Jin Park),손병재(Byeong Jae So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1

        목적: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안외상 점수(ocular trauma score, OTS)와 소아 안외상 점수(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개방안구손상으로 본원에 내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OTS와 POTS를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20/200 미만의 초기시력, 안구파열, 7.0 mm 이상의 손상 크기, 망막박리, 수정체이탈, 총 수술 횟수는 불량한 최종시력(<20/200)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에 20/32 이상의 좋은 최종시력의 경우 각막중심 침범 유무, 외상백내장 유무, 7.0 mm 미만의 손상 크기, 20/200 이상의 초기시력과 관련성이 있었다. OTS와 POTS 모두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단적 가치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두 점수 체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에서 초기시력과 안구손상 크기는 최종시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의 최종시력 예측에 있어 기존의 안외상 점수(OTS)뿐만 아니라 소아 안외상 점수(POTS) 또한 좋은 예측도를 보여주어 둘 모두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mpared the ocular trauma score (OTS) and pediatric 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7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who visited our clinic with open globe injuries between May 1993 and April 2014.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final visual acuity. We also compared the OTS and POT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s a method to predict final visual acuity. Results: By univariate analysis, an initial visual acuity less than 20/200, globe rupture, wound size greater than 7.0 mm, retinal detachment, lens dislocation, and total number of operations contributed to worse visual outcomes (<20/200). Conversely, central corneal involvement, traumatic cataract, wound size less than 7.0 mm, and initial visual acuity greater than 20/200 were better prognostic indicators (≥20/32). Both OTS and POTS had diagnostic value as a predictor of final visual acuity,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oring systems. Conclusions: Initial visual acuity and wound size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for the final visual acu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 following open globe injuries. Both OTS and POTS are reliable prognostic models fo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박수진(Su Jin Park),정재욱(Jae Uk Jung),강용구(Yong Koo Kang),전보영(Bo Young Chun),손병재(Byeong Jae So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1

        목적: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중추신경계 손상을 동반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가 7일 전부터의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2주 전 자살 목적으로 클로르페나피르 한 모금을 음독했고, 직후 근처 병원에서 위세척을 시행하였다. 초기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30 cm, 좌안 안전수동이었다. 양안 동공은 5.0 mm로 커져 있었고, 빛에 대한 반응은 느렸으며 좌안에는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양안 시신경과 속섬유막, 뇌량, 중소뇌각, 뇌간 등 백질 신경로를 따라 양쪽에 대칭적인 고강도신호가 관찰되었다.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으로 인한 독성 시신경병증으로 진단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를 3일간 시행하였으나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광각무로 악화되었다. 3개월 후,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위축이 관찰되었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세포층 두께가 감소하였다. 결론: 매우 적은 양이라도 클로르페나피르에 노출되면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잠복기를 거쳐 심각한 시신경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겠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toxic optic neuropathy caused by chlorfenapyr ingestion accompanied by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Case summary: A 44-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reduc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for 7 days. She had ingested a mouthful of chlorfenapyr for a suicide attempt 2 weeks prior to the visit. Gastric lavage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ingestion at the other hospital. He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finger count 30 cm in the right eye and hand motion in the left eye. Both pupils were dilated by 5.0 mm and the response to light was sluggish in both eyes.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as detected in her left eye. Funduscopy revealed optic disc swelling in both ey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showed a symmetric hyper-intense signal in the white matter tract including the internal capsule, corpus callosum, middle cerebellar peduncle, and brainstem.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oxic optic neuropathy induced by chlorfenapyr ingestion, and underwent high-dose intravenous corticosteroid pulse therapy. Three days later,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 light perception in both eyes. Three months later, optic atrophy was observed in both eye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a reduction in the thicknesses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ganglion cell and inner plexiform layer in the macular area. Conclusions: Ingestion of even a small amount of chlorfenapyr can cause severe optic nerve damage through the latent period, despite prompt lavage and high-dose steroid treatment.

      • KCI등재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들에서 관찰된 망막미세혈관이상 소견

        최형준(Hyung Jun Choi),윤정현(Jung Hyun Yoon),손병재(Byeong Jae Son),황수경(Su Kyeong Hwang),전보영(Bo Young Chu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2

        목적: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관찰되는 망막미세혈관이상의 양상과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 61명과 전신질환 및 안과적 이상이 없는 대조군 61명의 안저촬영사진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혈관굴곡, 나선상의 망막혈관, 모야모야형 패턴 양상으로 나타나는 망막미세혈관이상 유무를 확인하였고,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진단민감도, 진단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진단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군 중 19.7% (12명)에서 망막미세혈관이상이 있었으며, 대조군에서는 해당되는 경우가 없어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 망막미세혈관이상 유무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3). 망막미세혈관이상을 보이는 환자 12명 중 11명은 단순혈관굴곡 양상이, 1명은 나선상의 망막혈관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1명은 2가지 소견 모두 나타내었다.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망막미세혈관이상의 진단민감도는 23.53%, 진단특이도는 100%, 양성예측도는 100%, 음성예측도는 61%였다. 진단정확도는 65.18%로, 리쉬결절의 진단정확도인 79.5%보다 다소 낮았으나, 신경섬유종의 진단정확도인 68.03%와 필적하는 진단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군의 19.7%에서 망막미세혈관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이 중 단순혈관굴곡 양상이 가장 많았다. 망막미세혈관이상이 대조군에서는 전혀 없었고, 진단정확도가 65.18%임을 고려하면 이는 제1형 신경섬유종증의 새로운 안과적 임상양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findings and frequencies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observed in patients with type 1 neurofibromatosis. Methods: Fundus photographs of 61 patients with type 1 neurofibromatosis and 61 controls without systemic disease or ophthalmic abnormalitie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n the form of simple vascular tortuosity, corkscrew retinal vessels, and moyamoya-like patterns was confirmed, and the diagnostic sensitivity, diagnostic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accuracy for type 1 neurofibromatosis were analyzed. Results: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found in 19.7% (12 patients) of the patient group, There was no cases in the control group,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 (p = 0.0003). Of the 12 patients with abnormalities, 10 exhibited simple vascular tortuosity, one had corkscrew retinal vessels, and one exhibited both findings.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for type 1 neurofibromatosis was 23.53%, the diagnostic specificity was 100%,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100%,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61%. The diagnostic accuracy was 65.18%,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79.5% diagnostic accuracy for the Lisch nodule, but the diagnostic accuracy was comparable to that of neurofibroma (68.03%). Conclusion: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19.7% of type 1 neurofibromatosis patients, of which simple vascular tortuosity was the most common. Considering that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not observed at all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agnostic accuracy was 65.18%, this type of abnormality could be included as a new ophthalmic clinical feature of type 1 neurofibromat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