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의보(朝鮮醫報)의 서지적 연구

        성희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의보(朝鮮醫報)」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의사단체에 대항하여 조선인 의학자들이 창립한 단체인 조선의사협회(朝鮮醫師協會)가 발간한 최초의 우리말 학술지로 그 중요성과 기록학적 가치가 높다. 또한, 당시 우리 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었던 질병을 주제로 한 좌담회를 개최하여 서로 의견을 나누면서 연구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조선의보」에 게재하였다는 점에서 의학사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를 지닌「조선의보」를 대상으로 계량정보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당시 의학 학술 커뮤니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조선의보」를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조선의보」창간 당시 형성된 의사단체와 학술지 발간 사항을 조사하였다. 둘째,「조선의보」에 수록된 논문의 제목을 MeSH on Demand에 입력하여 MeSH 용어를 추출한 뒤 범주화하여 의학 연구의 주제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VOSviewer를 이용하여 동시 출현한 MeSH 용어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으며, MeSH 용어와 당시 저자들이 사용했던 언어를 비교하였다. 셋째, 저자들의 소속기관과 교실, 저자들의 출신학교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국가를 살펴보고,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상위 5명의 저자를 조사하였다. 넷째, 논문 제목, 초록 및 본문에 사용된 언어 유형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논문에 수록된 1,137개의 참고문헌을 분석하여 연구자의 연구행태를 파악하였다. 여섯째, 1933년 5월 25일부터 1937년 11월 26일까지 총 30회에 걸쳐 진행된 좌담회의 제목을 분석하여 당시 연구자들의 관심사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좌담회 텍스트에 등장한 단어의 빈도수를 분석하여 좌담회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참석자 및 참석횟수를 조사해 연구자들의 네트워킹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조선의보」에는 총 131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권당 논문 수는 제1권이 30편으로 가장 많았다. 논문의 유형은 강연, 숙제보고, 역찬, 원저, 임상실험, 종설, 잡찬으로 구분되었으며, 임상실험이 42편(3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원저, 종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문의 유형이 임상실험, 원저, 종설인 112편의 제목에서 추출된 MeSH 용어는 247종 355개로 나타났다. 이 중 체크 태그를 제외한 305개의 용어를 대상으로 주제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Disease [C] 범주에 182개, Chemicals and Drugs [D] 범주에 65개, Anatomy [A] 범주에 64개의 MeSH 용어가 분포하고 있었다. 범주별로 MeSH 용어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범주 [C]에서는 ‘Anaphylaxis’, 범주 [D]에서는 ‘Blood Glucose’, 범주 [A]에서는 ‘Face’, ‘Intestines’, ‘Liver’가 가장 많이 등장하여 이와 같은 주제들이 많이 연구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동시 출현한 28개의 MeSH 용어를 네트워크 관계도로 시각화한 결과 ‘Anaphylaxis’가 가장 많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개의 용어 ‘Adrenal cortex’, ‘Ascorbic acid’, ‘Calcium, dietary’, ‘Minerals’, ‘Thyroid gland’, ‘Thyrotropin’, ‘Vitamins’와 연결되어있었다. 셋째,「조선의보」에 등장한 73명 저자의 소속기관을 조사한 결과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에 가장 많은 저자가 소속되어있었고, 학교에 소속된 59명의 교실을 분석한 결과 내과와 외과에 가장 많은 저자가 속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대부분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나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들이 가장 많았다. 또한, 당시에는 주로 단독논문을 저술하였고, 논문을 5편 이상 발표한 저자는 5명이었다. 넷째, 논문의 제목과 본문은 국한문혼용으로 표기된 것이 가장 많았다. 131편의 논문 중 40편만 초록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 중 영문 초록이 22편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저자들은 주로 학술지를 많이 인용하였으며 일본, 독일, 미국에서 발행된 문헌을 많이 참고하였다. 또한, 동시기에 발행된 문헌을 많이 인용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당시 연구자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최신 문헌을 입수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총 30회 진행된 좌담회에서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결핵, 신경쇠약, 임질 순이었다. 이 세 가지 질병 모두 당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던 질병이기 때문에 좌담회 주제에 시의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좌담회에 한 번 이상 참여한 사람은 36명이었고, 주로 문답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임상적 경험을 나누는 자리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의사들이 독자적이며 주체적으로 조선의사협회라는 단체를 형성하여 자신들의 학술연구 결과를 축적한「조선의보」를 계량정보학적인 방법을 도입해 자세히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우리나라 초기 의학 학술 커뮤니티의 형성과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Korean Medical Journal(1930-1937) carries high importance and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Korean medical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 organization established by Korean doctors to resist Japanese medical organiz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e journal has huge significance in terms of medical history as Korean medical researchers formed a network by holding roundtable talks on diseases, which were a massive problem in Korean society at the time, sharing opinions, and publishing them in The Korean Medical Journal. Using the bibliometric research method for The Korean Medical Journal that has such valu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academic medical community during the time and analyzed the journal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cal organizations formed and the publication of medical journals at the inception of The Korean Medical Journal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 trends of medical research by inputting the title of the thesis in the journal into MeSH on Demand, extracting the MeSH terms, and categorizing them. Next, using VOSviewer, this study visually express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SH terms, which concurrently appeared and compared them with the language used by the authors at the time.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authors belonged to, schools they graduated from, the countries they received their doctoral degrees, and the top 5 authors who published the most papers. Fourth, the study identified the type of language used in the papers’ titles, abstracts, and texts. Fifth, the study identified research behaviors by analyzing 1,137 references included in the papers. Sixth, this study identified the researchers’ interests by analyzing the titles covered at the 30 roundtable talks held from May 25, 1933 to November 26, 1937. Next, the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alks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words appearing in the roundtable texts and investigat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attendance to identify how the researchers networked with each other.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31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Medical Journal, and Volume 1 had 30 papers,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per volume. The paper types were divided into lectures, congresses, translations, original articles, clinical trials, review articles, and miscellanies. Clinical trial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42 articles (32%), followed by original articles and review articles. Second, 355 MeSH terms of 247 type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of the 112 articles, which were clinical trials, original articles, and review articles. Among these, 305 terms excluding check tags were analyzed using subject categories, which showed a distribution of 182 MeSH terms in Disease [C], 65 in Chemicals and Drugs [D], and 64 in Anatomy [A].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n MeSH terms by category showed that 'Anaphylaxis' appeared the most in Category [C], 'Blood Glucose' in Category [D], and 'Face', 'Intestines', and 'Liver' in Category [A], proving that such topics were studied the most. In addition, visualization of 28 MeSH terms that appeared at the same time into a network map, demonstrated that 'Anaphylaxis' appeared the most and was associated with the seven terms: ‘Adrenal cortex’, ‘Ascorbic acid’, ‘Calcium, dietary’, ‘Minerals’, ‘Thyroid gland’, ‘Thyrotropin’, and ‘Vitamins’. Third, the study researched the affiliation of 73 authors in The Korean Medical Journal and found that the most authors belonged to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nd the analysis of the departments of 59 authors showed that internal medicine and general surgery had the most authors. Most of them graduated from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or Kyungsung Medical College, and the highest number of authors obtained doctoral degrees in Japan. In addition, the authors mainly wrote independent papers, and there were 5 authors who published more than 5 research papers during this time. Fourth, most of the titles and texts of the papers were writte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Of the 131 papers, only 40 contained abstracts, 22 of which were English abstracts, the most number. Fifth, the authors mainly cited journals and referenced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lso, that the researchers cited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confirmed that they actively strived to obtain the latest literature even in difficult circumstances. Sixth, the topics discussed the most in the 30 roundtable talks were tuberculosis, neurasthenia, and gonorrhea in order. Since all three diseases became a major social problem, they were timely reflected in the roundtable talks. Thirty-six people participated at least once in the talks, which were mainly conducted in a question-and-answer format to share their clinical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used a bibliometric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Korean Medical Journal, in which Korean doctors accumulated the results of their academic medical research by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founded an organization called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research will help understand the formation of early academic medical communit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