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혜경 ( Sung Hye Kyeong ),강옥려 ( Kang Ock-ryeo ),문성환 ( Moon Seong Hwan ),김윤순 ( Kim Yun Soon ),손일지 ( Son Il J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2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 속 교과간 지식의 융합을 토대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조사한 후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거쳐 7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주제에 따른 문제해결역량을 도입하여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 7차시를 적용하고 난 후 두 집단 간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 하위 영역 중 ‘확산적 사고’와 ‘동기적 요소’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생각의 변화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차시별 학생 설문지, 학생 활동지, 전체 수업 만족도와 소감, 교사 관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프로그램이 거듭될수록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는 과정을 즐기며 ‘확산적 사고’로의 전환에 능숙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 이후에도 자신이 제시한 문제해결방안을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토대로 추후 초등학교 중·고학년의 융합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between subjects in the curriculum, to foster the ability to creatively solv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counter in daily lives.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know what the problems they face in real life are, and selected seven topics after discussion among a group of experts. To solve the tasks of the selected topics,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was constructed by applying one problem-solving strategy for each topic. Among 2 classes in the four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one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one as a contro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was analyzed after applying 7 classes of a convergent problem-solving program course to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at is,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was to show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al factor" among sub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order to see if the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students’ questionnaires, students’ worksheets, overall class satisfaction and opinions, and teacher’s observation logs for each class were analyzed. This confirmed that as the program went on, students enjoy the process of confronting and solving problems and are proficient in switching to "divergent thinking." Also, even after the class they tried to implement the problem solution they proposed. The effect of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on foster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onvergent problem-solvi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nd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Natural Origin Polymers: Applications as Wound Care Materials

        Fatih Karadeniz(파티 카라데니즈),Hye Kyeong Sung(성혜경),Han Seong Kim(김한성)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3

        상처 치료는 전세계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산업계의 관심사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로 상처에 의한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상처치유의 복잡함 때문에 상처의 치료와 관리가 어렵다. 전통적 상처 드레싱은 제한된 보호기능을 제공하며, 상처 드레싱의 치료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체고분자 기반의 드레싱들이 개발되고있다. 생체고분자는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효과적인 상처 관리에 중요한 항균, 항염증, 지혈, 세포증식, 혈관성 활동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키토산, 셀룰로오스, 콜라겐, 히알루론산, 알긴산 등의 여러 생체고분자가 이미 상처치유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체고분자를 다른 고분자, 생체활성 분자 및 약물과 결합하여 생리학적 문제 없이 흉터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상처 드레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의 연구와 활용을 위한 현재의 생체고분자의 상처처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Wound care is a health industry concern affecting millions worldwide. Recent increase in metabolic disorders such as diabetes comes with elevated risk of wound-based complications. Treatment and management of wounds are difficult practices due to complexity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Conventional wound dressings and treatment applications only provide limited benefits which are mainly aimed to keep wound protected from external factors. To improve wound care, recent developments make biopolymers to be of high interest and importance to researchers and medical practitioners. Biopolymers are polymers or natural origin produced by living organisms. They are credited to be highly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Currently, studies reported biopolymers to exhibit various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such a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hemostatic, cell proliferative and angiogenic activities which are crucial for effective wound management. Several biopolymers, namely chitosan, cellulose, collagen, hyaluronic acid and alginic acid have been already investigated and applied as wound dressing agents. Different derivatives of biopolymers have also been developed by cross-linking with other molecules, grafting with other polymers, and loading with bioactive agents or drugs which showed promising results towards wound healing without any undesired outcome such as scarring and 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this review, current applications of common biopolymers in wound treatment industry are highlighted to be a guide for further applications and studies.

      • KCI등재후보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문성환 ( Seong Hwan Moon ),성혜경 ( Hye Kyeong Sung ),이한규 ( Han Gyu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2

        이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발명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명교육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발명교실 강사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동의수준을 알아보고 교육프로그램 요소별 중요도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6개 발명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으며, 문헌고찰(이용환, 2005; 특허청, 2008)을 통해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들을 몇 가지 요소로 범주화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발명교실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발명교실 강사들의 동의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1점(전혀 중요하지 않음)부터 5점(매우중요)까지의 점수를 부여하였고, 중요도에 대한 순위는 3개 항목만을 선택하여 순서대로 기입하도록 하였다. 초등발명교실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현직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개의 연구변인(성별, 연령, 발명교실 강의경력, 발명관련 연수경험)에 따라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발명교실 강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의수준과 중요도에 따른 순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소재 발명교실에서 운영되고 있는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은 크게 30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서울 소재 발명교실에서 운영되고 있는 발명교실 교육내용에 관련하여 발명교실 강사들의 동의 수준은 평균 3.80으로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동의수준을 보인 내용은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다양한 착상기법교육프로그램이었으며, 투석기 제작은 가장 낮은 동의수준을 보였다. 셋째, 초등발명교실 강사들은 발명교실 교육내용 중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착상기법 교육프로그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기존 제품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개선방안, 발명 원리와 기법의 이해 및 체험 순이었다. 넷째, 초등발명교실 강사들이 설문지 내용에는 진술되지 않은 발명교실 교육내용 중 꼭 다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으로는 발명과 예술에 대한 학습, 생활 속 발명품 찾기, 광고와 창의성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발명교실 운영계획안을 수립할 때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agreement level and significance degree of invention education perceived by teachers of invent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SPSS 12.0 for Windows was employed to statistically analyze 32 of 36 completed questionnaires response on a 5-point scale to various statements regarding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irty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invention classes. Second, teachers in charge of elementary school invention classes positively viewed with an average of 3.80/5 regarding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presented. The content of the highest agreement was "various methodologies to create new ideas." and the content of the lowest agreement was "catapult production." Third, the teachers in charge of invention classes at elementary school attached the greatest importance to "various methodologies to create new ideas." among several contents in the curriculum, followed by "critique and innovation of existing products" and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principles/methods of invention." Fourth, the teachers suggested new ideas for a better curriculum, such as "studies on invention and arts", "inventions in our daily lives", "advertisement an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