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 가구와 부모ㆍ자녀가구 간의 경제적 교류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성영애 ( Sung¸ Young-ae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따로 사는 부모와 자녀와의 경제적 교류유형과 교류의 수준을 살펴보고, 연령에 따라 교류유형 및 교류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1인 가구의 경제적 교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교류의 유형은 쌍방형, 수혜형, 제공형, 비교류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에 조사된 21차년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였고, 조사대상자 중 1인 가구를 추출하여 1,714구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교차분석, 분산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 중 부모나 자녀 등 다른 가구로부터 경제적 수혜를 받고 있는 비율은 52.2%이고, 도움을 제공하고 있는 비율은 40.2%이다. 교류유형별로 살펴보면 수혜형이 31.7%, 무교류형이 28.1%, 쌍방형이 20.5%, 제공형이 19.7%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1인 가구의 71.9%가 교류형이고, 28.1%가 비교류형이다. 둘째, 연령에 따른 교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서, 20대-40대까지는 제공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수혜형의 비중이 가장 낮았고, 50대는 무교류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수혜형의 비중이 가장 낮았고, 60대 이후는 수혜형의 비중이 높았으며 제공형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쌍방형의 경우 전연령대에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1인 가구의 경제적 교류규모를 보면 전체적으로 수혜금액이 제공금액보다 크지만, 일부 연령대에서는 수혜금액보다 제공금액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1인 가구의 경제적 교류유형별 교류규모를 살펴보면 쌍방형의 경우 연령에 따른 수혜금액이나 제공금액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혜형과 제공형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무교류형을 기준으로 하여 교류유형에 대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성별, 거주지역, 거주형태, 고용상태, 가계소득, 금융자산, 총부채가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conomic exchange type and level of exchange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households of their parents and children living separatel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level of exchange according to the age of head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economic exchange typ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is study, the types of economic exchang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wo-way economic exchange type, donor type, beneficiary type, and non-exchange type. The data of the study came from the 21st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at was surveyed in 2018. Total 1,714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For data analysis, cross table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ate of receiving economic support from the households of parents and/or children was 52.2%, and the rate of providing economic support was 40.2%. Looking at the frequency of the four types of economic exchange, 31.7% of singleperson households belonged to ‘beneficiary type’, 28.1% belonged to ‘non-exchange group’, 20.5% belonged ’two-way economic exchange group’ and 19.7% belonged to ‘donor type’. Taken together, 71.9%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ngaged in economic exchanges either two-way or one-way.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economic exchanges according to the ag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head. For the household whose head was aged in 20s-40s, the proportion of ‘donor type’ was the highest and the share of ‘beneficiary type’ was the lowest. For those in their 50s, the proportion of ‘non-interchange type’ was the highest and the share of ‘beneficiary type’ was the lowest. After the 60s, the proportion of ‘beneficiary type’ was highest and the proportion of ‘donor type’ was the lowest. Two-way economic exchange type appeared relatively uniformly in all age groups. Third, looking at the scale of economic exchanges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arent/children’s households, the overall benefit amount from their parent/children’s households was larger than the amount that they provided to. However, the amount provided to their parent/children’s households was higher than the benefit amount for some age groups. Fourth, age of head, gender, residential area, housing type,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financial assets, and total liabilities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variables from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on the exchange type. Eve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ge was proven to be a variable that affects the type of economic exchange.

      • KCI등재

        재무교육 및 재무상담에 대한 소비자요구와 선호분석

        성영애 ( Young Ae 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무교육과 재무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선호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투자자교육재단에서 수집한 2008년도 펀드투자자조사를 이용하였는데, 이 조사에서는 11개의 주제영 역에 대한 재무교육 요구도와 재무상담 요구도를 4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였다. 2,530명을 대상으로 평균비교와 paired t-test, 분포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다항로짓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교육과 재무상담에 대한 평균 요구도는 4점 만점에 각각 3.32점, 3.18점으로 모두 높은 편이었고, 전체적으로나 각 주제영역별로나 재무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재무상담에 대한 요구도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편이었다. 둘째, 주제별 요구순위를 살펴보면 재무교육의 주제와 재무상담의 주제의 우선순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노후설계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절세방법, 주택마련이나 부동산투자에 대 한 내용이 그 다음으로 요구가 높았다. 셋째, 재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재무상담에 대한 요 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의 유사하였다. 소비자의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원수, 주거형태, 금융자산, 가계부채와 재무상담경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전체적으로는 재무교육을 선호 하는 집단이 더 많았으나 각 세부영역별로 보면 교육과 상담에 대한 선호가 동일한 집단이 더 많았다. 소비자에 따 라 재무교육과 상담에 대한 선호가 나타나고 있는데, 재무교육을 선호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는 연령, 금융자산 및 재무상담경험인 것으로 나타났고, 재무상담을 선호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 는 변수는 성별, 직업, 가구원수로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상이하였다.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counseling are useful tools for improvement of financial capability and financial well-being. However, finan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have not only similarities but also differences in their goa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ducators or counselors and clients, and their effects, Because of the differences, education may be more appropriate for some topics or some consumers while counseling may be better way for the other topics or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eds for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counseling in their subject areas. The results can give useful information on what subjects are needed by education and counseling. The results will also give the answer the question, "which is the better way between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each subject and consum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data of the study came from the 2008 Fund Investor Survey of Korea Investors Protection Foundation. Total number of the sample was 2,530 who lived in Seoul and 6 metropolitan areas of Korea. The sample was consisted of relatively large proportions of young, unmarried and high income consumers compared the census result. The need level was measured by 4 score Likert scale for 11 financial subject areas ; saving, fund investment, stock and bond investment, credit management, tax management, risk management, retirement planning, money preparation for business, real estate investment, income and expense management, and estate planning.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paired t-tes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ere utilized using SP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need levels for both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high. The ranks of the topic needs for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counseling are very similar.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needs for retirement planning, tax management and real estate investment are the highest. But the need level for education is greater than that of counseling. For all topics, the need for education is greater than the need for counseling. This result implies that education can be more effectiv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eed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very high, which means that counseling need is also high if education need is high. Even though education need is generally greater than counseling need, counseling also may be more effective for some subject areas and for some clients. Credit management is an example topic for which counseling need is greater than other topics.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d for financial education are very similar with those affecting the need for financial counseling.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ome ownership, financial assets, debt and financial counseling experience are significant factors for both needs. The need is greater for the younger, educated and married persons with larger sized family, greater financial assets and debt, and financial counseling experience. The percentage of the consumer group that prefers financial education to counseling is the biggest in general whereas the percentage of the group with no preference is the highest for each topic.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ference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different. The probability to belong to the consumer group who prefer for education is increased if the age of the consumers are over 50s, their financial assets are greater and they have no counseling experience. On the other hands, the probability to belong to the consumer group who prefer for counseling is higher for the consumer who is female, wage earner and living in a small family. This result shows that different consumer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ed to plan the finan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

        소비절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영애(Young-Ae Sung)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절제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자기통제 및 물질주의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비절제유형은 선행연구에 따라 크게 자발적 동기에 의한 소비절제와 비자발적 동기에 의한 소비절제로 구분하였고, 구체적으로는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방법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통제 및 물질주의를 독립변수로 포함하는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결혼상태, 가구원수, 가계소득 및 주택보유여부를 포함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유형에 대한 사회인구학적인 변인, 자기통제 및 물질주의의 영향은 서로 달랐다. 이를 통하여 각 유형의 소비절제성향을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은 사회인구학적 영향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자기통제력은 전반적으로 자발적 소비절제성향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성향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키는 전략은 자발적 소비절제성향은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며 비자발적 소비절제성향은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준다. 물질주의성향이 높을수록 자발적인 소비절제성향은 낮아지는 반면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성향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물질주의성향을 낮출수록 자발적 소비절제성향은 증진되며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성향은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재무상담이나 소비자교육 및 정책을 실시함에 있어 물질주의 확산방지에 노력하는 것이 유익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elf-control and materialism on the anti-consumption tendency, where anti-consumption tendency means the consumers’ tendency, in terms of their attitude and behavior, to try to reduce their consumption. The types of anti-consump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pontaneity and, in total, 8 types of anti-consumption were defined based on a previous study. Consequently, eight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ame socio-demographic factors, self-control and materialism were included in all of the regression models.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gender, age, education, job, marital status, family size, household income and home ownership.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influences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ti-consump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an effective strateg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anticonsump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anti-consumpti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each type of anti-consumption tendency. Self-control, in general, positively influenced the tendency of voluntary anti-consumption, but negatively influenced the tendency of involuntary anti-consumption. Materialism affected negatively the tendency of voluntary anti-consumption, but positively the tendency of involuntary anti-consumption. Encouraging self-control and discouraging materialism are helpful to increase the voluntary anti-consumption tendency and decrease the involuntary anti-consumption tendency.

      • KCI등재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본 소비생활의 변화 : 1990년-2010년

        성영애(Sung Young Ae),최현자(Choe Hyun cha),김소연(Kim So Y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소비자물가지수는 평균적인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의 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통계청에서 작성하는 지수이다. 개별품목이 소비지출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지출 패턴의 변화를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하기 위하여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품목조정은 매 5개년마다, 가중치 조정은 매 1개년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된 품목과 가중치의 변화 추이를 통해 소비생활의 변화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의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조사되고 있는 품목과 가중치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동기간 동안 평균적인 가계가 소비해왔던 품목이 무엇이고, 어떤 품목에 대한 소비가 보편적으로 확대되었는지, 과거에는 주요 소비대상이었으나 더 이상 소비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 품목은 어떠한 것인지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지난 20여 년간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경험한 한국 사회의 소비생활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90년-2010년 동안 전반적으로 의식주생활관련 품목 수와 가중치는 감소하였고, 기타생활영역의 품목 수와 가중치는 증가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소비자물가지수편제의 변화는 가사서비스의 사회화 현상, 편리성 추구 경향, 저출산과 공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교육 열풍, 개인주의와 건강과 가족,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나타나고 있는 레저 열풍,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한 미디어와 통신서비스 이용 방식의 변화 등 현대 사회의 소비 양상을 잘 설명하였다. 산업화 이후 질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지난 20년간의 소비생활상을 고찰한 본 연구가 이 시기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되길 기대한다.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and the change would affect the way consumers consume. Analyzing changes in Consumer Price Index during 1990-2010, this study provided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during the same period. The items and weights that are used to calculate the index have been revised on a 5-year basis to reflect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 of urban households. Therefore, by analyzing the changes in items and weights used for the index, we can infer the current picture of consumption expenditure. An analysis on Consumer Price Index showed that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on necessities such as foods, clothes, and housing decreased during the 1990-2010 whereas expenditures in other categories such as private education, personal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leisure services increased. And exceptionally the items and weights for eating-out and services for housework increased distinctively from the overall reduction in food and housing categories. Those changes in Consumer Price Index explained the noticeable changes in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in Korean society during 1990-2010 such as socialization of traditional housework, convenience- seeking tendency, fever in leisure activities and private education, and drastic changes in the way of enjoying media and communication owing to smart phone.

      • KCI등재

        가계의 적자대응방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채이용가계를 중심으로 -

        성영애 ( Sung¸ Young-ae ),조혜진 ( Cho¸ Hyeji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가계적자에 대한 다양한 대응전략 중 특히 부채이용방식에 중점을 두고 가계특성에 따라 부채이용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판단 아래 가계적자에 대응하여 부채이용을 하고 있는 가계의 가계재무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적자 시 부채이용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8년을 기준으로 조사된 21차년도 한국노동패널자료로 7,052가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가계는 1년 동안의 소득과 지출을 비교하여 흑자가계와 적자가계로 구분하였고, 적자가계는 다시 적자에 대처하기 위해 부채를 활용하는 가계, 자산을 활용하는 가계, 기타대응가계로 구분하여 교차분석, ANOVA, 다항로짓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가계 중 적자상태인 가계는 16.1%이고, 적자가계의 22.1%가 가계적자에 대해 부채이용으로 대응하고 있었는데, 이는 전체가계의 비중으로 보면 3.6% 정도 수준이다. 둘째, 적자 시 부채이용가계의 재무상태는 흑자가계, 자산활용가계 및 기타대응가계와 비교하여 가장 좋지 않은 수준이었다. 셋째, 적자가계의 부채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재무상태 변수와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가계소득, 부동산자산, 총 부채와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입주상태 및 고용상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무상태 변수와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적자대응방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자가계라고 하더라도 다른 조건이 같다면 적자를 벗어나기 위해 자산활용이나 기타대응을 하는 경우 흑자가계 보다 생활만족도가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부채이용을 하는 가계는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inancial status of households that were utilizing debt in response to the household defici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and to examine how debt utilization in the event of a deficit affects life satisfaction. The data of this study was the 21st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deficit household was defined as the households of those income was less than expenditure for one year. The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deficit households which were utilizing debt to cope with household deficit, deficit households utilizing asset to cope with household deficit, other type of deficit households, and surplus households. Total 7,052 households were analyzed and cross-tab analysis, ANOVA,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6.1% of the total households were in the deficit and 22.1% of the deficit households were utilizing debt in response to household deficits. The percentage was 3.6% of total households which was not big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Second, the financial status of deficit households utilizing debt was considered to be the lowest level compared to surplus households, asset utilization households with deficits, and other types of deficit household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debt to cope with household deficit were household income, real estate assets and total debt as financial variables, and number of households member, householder’s age, educational level, occupancy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Fourth, under the control of financi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coping behavior of households in repose to deficit affected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life satisfaction of heads of surplus households, those of the asset utilization households with deficit and other type of deficit households were greater even thought they were on deficit. However,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utilizing debt in response to household deficit was lower than that of surplus households.

      • KCI등재후보

        신주거문화를 선도하는 현대산업개발

        성영애(Sung Young-Ae),심영(Shim YoungU),양세정(Yang Se-J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4 소비문화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소비문화 영역에서의 현대산업개발 (주) 의 활동사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소비문화를 선도하고 형성하는데 있어서의 바람직한 기업활동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대산업개발의 주요상품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으로 주거문화를 선도하고 형성하는 것과 관계된다. 따라서 먼저 새로운 주거문화의 경향에 대한 고찰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산업개발의 경영철학과 활동실적을 살펴보았다. 현대산업개발은 고객제일주의의 정신에 입각하여 윤리 경영, 천환경 경영, 고객감동 경영, 내실 경영, 공익 경영, 글로벌 경영이라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아파트 내외부공간을 차별화하며 아파트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지역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아파트주차 뿐만 아니라 지역사확주민과 더불어 사는 주거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환경친화적이고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며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단자의 조성, 다양한 평민의 개발과 철저한 품질관리 시스템의 운영‘ City Innovation 을 목표로 한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가 현대산업개발의 지속적인 성장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appropriate management practices that lead and form the consumption culture. by analyzing the accomplishments of Hyundai Development Company. The study examines the new trend of housing culture. and the business philosophy and achievements of Hyundai Development Company. The company has management philosophies such as consumer-oriented. moral. environmental. substantial. public interest. and global managements. Based on such philosophies, it differentiated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apartments and satisfied the various needs for apartments. Furthermore, it provided beneficial services to the local communities by allowing, not only the apartment residents, the local community residents to meet new housing cultures. Hyundai Development Company formed complexes to activate the residential community. invented various ground plans, kept an exhaustiv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d services to the local communities to perform city innovation. Such factors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Hyundai Development Company's constant growth.

      • KCI등재

        현금흐름의 관점에서 살펴본 가계저축패턴에 관한 연구

        성영애 ( Young Ae 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예금, 투자, 보험에 예산을 할당하는 패턴에 따라 가계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예금 및 적금, 펀드 및 증권투자, 연금 및 저축성보험, 보장성보험, 공적연금, 사회보험에 대한 지출을 광의의 저축(미래를 위한 지출)으로 보고, 각각에 대해 할당하는 액수가 총저축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통계청의 2012년 가계동향조사의 원자료이다. 연구결과 가계는 저축행동에 따라 총 7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1) 저축을 전혀 못하고 있는 무저축형이 7.0%, (2) 사회보험료에 대한 지출비중이 평균적으로 92%에 달하여 실질적으로는 저축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회보험유지형이 5.5%, (3)지나치게 연금과 저축성보험에 의존하는 연금 및 저축성보험중심형이 29.5%, (4) 공적연금의 비중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는 사회보험료의 비중이 높아서 공적시스템에만 주로 의존하는 공적연금의존형이 8.3%, (5) 전체가구 평균과 유사하게 예금, 보험과 투자에 할당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연금 및 저축성보험의 비중이 높은 평균수렴형이28.5%, (6) 예적금의 비중이 총저축액의 64%를 차지하는 예금중심형이 19.0%, (7) 편드와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비중이 가장 높은 투자중심형이 2.2%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계수로 보면 연금 및 저축성보험중심형이 가장 큰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를 종합하여 보면 경제적 여건이 가장 열악한 유형은 무저축형이고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여유로운 유형은 투자중심형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저축형과 사회보험유지 형은 재무관리전략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경제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집단이며, 연금 및 저축성보험중심형은 현금흐름의 조정이 가장 필요한 집단이며, 공적연금의존형은 자발적인 저축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요구되는 집단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aving patterns of households and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fied clusters. The saving pattern of this study means the way the household cashes are allocated to the different types of saving methods during a period of time. Saving methods are savings deposit, investment, pension &saving-type insurance, protection-type insurance, public pension and social insurance. The data of the study were the annual raw data of the 2012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Survey of Statistics Korea. Total sample consisted of 10,400 households of the whole country except farm and fishery households. Cluster analysis which is a statistical method for categorizing the households into similar groups was utilized. The variables used as criteria variables are the proportions of the cash amount which is allocated to each saving types in total amount of household saving. K-mea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even saving patterns are identified. The clusters are named according to their dominant saving method. The identified cluster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ir economic levels. Among seven clusters, no saving cluster shows the lowest economic level whereas investment dominated cluster shows the highest. The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the amount of saving are the lowest for no saving cluster and the highest for investment dominated cluster. The clusters are as follows : (1) No saving cluster who does not save at all consists 7.0% of total households. Household heads of this cluster are tend to be older and less educated. They are less likely to work. (2) Social insurance dominated cluster consists 5.5.%and the proportion of the amount of social insurance in total amount of saving is 92%. Social insurance largely includ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is means that this cluster actually can not afford to save money for the future consumption except for part of medical expense. (3) Pension &saving-type insurance dominated cluster consist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households. 29.5% belong to this cluster. This cluster is overly dependent on pensions and saving-type insurance as saving method. (4) Public pension dominated cluster have the highest proportion of public pensions, followed by a high proportion of social insurance. It means that they depends mainly on the public system for their future. They are 8.3% of total households. (5) Average oriented cluster consists second largest proportion of the households. 28.5% belongs to this cluster. They tend to allocate the cash available for saving in the similar way the average total households do. (6) Savings deposit dominated cluster consists 19.0%. They save 64% of their saving money in saving deposits. (7) Investment dominated cluster consists only 2.2.%. The proportion of fund and securities accounts for 34% of total saving amount whereas the average proportion of total households is only 1%. For no saving cluster and social insurance dominated cluster, financial supports and social cares are need in advance of financial management strategy. For pension & saving-type insurance dominated cluster, cash flow should be adjusted for balanced saving portfolio. For public pension dominated cluster, education for promote active and voluntary saving for their future is needed.

      • KCI등재후보

        심사논문 :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한 가계의 특성

        성영애 ( Young Ae Sung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2 금융소비자연구 Vol.2 No.2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이용하는 가구는 부채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형의 가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이용하고 있는 가계의 부채보유상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재무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가계부채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의 원 자료를 이용하였다. 총 조사 가구 수는 10,517가구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금융부채 보유가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평균 및 분포도,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으며, Stata를 이용하여 Heckman`sselec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1년 현재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56.4%이고,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3.1%로서 총 53만 8천 가구(전체 가구수 1,750만 가구)가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 가구의 부채상환용 부채보유규모는 약 4,548만원이고, 총 부채규모는 9,820만원이다.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하는 가구는 부채규모가 경제상태에 비해 과도하여 부채부담이 크며, 부채상환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부채는 부채상환용도의 부채가 부채의 전부가 아니며 다중채무자이다. 본 연구 결과 부채상환용 부채를 이용하고 있는 가계의 경우 이미 부채상환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신용대출이나 신용카드관련대출, 보험회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이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부채문제는 무엇보다도 예방이 중요하며, 부채의 이용은 부채의 필요성을 생각하기에 앞서 상환여력을 고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채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접근을 함에 있어 LTV보다는 DTI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될 필요가 있다. The household which gets a loan to repay others is a typical household who experiences debt repaymen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ehold debt holding statu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status of those households. The data came from the 2011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Bank of Korea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Total 10,517 households were surveyed, but this study focused the household with the financial liabilities. Average, distribution, crosstabs and t-test were utilized using SPSS and Heckman`s selection model was applied using St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2011, households holding the financial liabilities was 56.4% of total households. The percentage of households which got a loan to repay others was 3.1% and the estimated number of those households was 538,000 households (total households were 17.5 millions). Approximately the amount of the loan for repayment of the household with loan for repayment was 45 million won and their total debt amount was 98 million won. Debt burden of those households was very high by the excessive amount of debt compared to the financial status and the probability of impossibility of repayment is also high. In addition, they were multiple debtors. They were more likely use credit loan and credit card loans, They tended to get the loans from insurance company or credit card company where interest rates are relatively high. The main implication was that preven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debt problem. Considering repayment ability before using debts is the essential for debt user. In this context, the policy approaches for solving the debt problem, DTI should be a more important criterion than LTV.

      • KCI등재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영애 ( Young-ae 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월세가구의 가계수지와 소비지출구조는 전세가구 및 자가가구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은 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월세부담은 월세의 절대적 변화와 상대적 변화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기 위해 월세지출규모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월세의 비중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4년 가계동향조사 원자료이며, 교차분석,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월세가구의 소득, 소비지출, 저축수준은 전세가구나 자가가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적자가구의 비율이 더 높았다. 월세가구의 소비성향은 자가가구나 전세가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월세지출에 기인하는 바가 컸다. 둘째, 월세가구는 전세, 자가가구보다 12개 비목 중 9개의 비목의 지출규모가 더 작았다. 소비비목별 지출비중을 보면 월세가구는 주거비 및 수도광열비의 비중이 25.3%로 가장 높았고, 이중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7.3%였다. 셋째, 월세규모가 크면 총량적인 의미에서 소비지출규모도 컸지만,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소비지출규모는 오히려 작았다. 넷째, 월세가구는 월세규모의 증가보다는 월세비중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월세를 제외한 소비지출, 대부분의 세부 지출비목의 지출규모가 축소되었다. 다섯째, 월세규모와 월세비중 모두 소비지출비목간의 비중조정에 영향을 미쳤다. 월세규모와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다른 대부분의 소비지출비중은 감소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among the households living in monthly rental house, Jeonse house - “Jeonse” is a real estate term which is unique to South Korea where a lump sum deposit is given the landlord without monthly rent and same amount of deposit should be returned to the tenant when the rental contract completes. - and owned hous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nthly rent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of the households living in monthly rent house. The effects of housing rent burden were investigated by two measures. : the amount of monthly rental fee and the ratio of rent to total consumption. The data came form the 2014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of Koran Statistics.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 and saving of those household living in monthly rental house were lower than those of households living in Jeonse and owned house. Second, expenditure levels of 9 in 12 consumption categories were less than those of households living in Jeonse and owned houses. Housing expenditure accounted for 25.3% of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and rent amount accounted for 17.3%. Third, increase in the amount of rent fee tended to increase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however increase in rent burden was more likely to decrease it. Fourth, the effects of rent ratio were stronger than the effects of rent amount on the amount of expenditures of subcategories. As the rent ratio increased, the households decreased most of the expenditures of subcategories. Fifth, increases in both rent amount and rent ratio tended to decrease the expenditures of other consumption categories.

      • KCI등재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과 행복에 관한 연구

        성영애 ( Young-ae 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자발적-비자발적, 개인적-사회적 동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지,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라 할당표집된 20-50대 719명에 대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행복은 소비자로서의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소비절제가 동기에 따라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유형의 소비절제가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동기에 따라 8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1)근검절약으로 인한 소비절제, (2)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 (3)자발적인 간소화로 인한 소비절제, (4)자급자족형 소비절제, (5)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 부분적으로 자발적인 소비절제로 (6)선택적 소비절제,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7)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와 (8)강박적 소비절제로 분류되었다. 8개 요인에 의해 소비절제 총 분산의 65.30%가 설명되었다. 둘째, 소비행복뿐만 아니라 일반적 행복을 증가시키는 소비절제는 자발적인 소비절제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비절제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이지만 사회적 동기가 작동하는 소비절제유형인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의 모든 하위영역의 행복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부정적 정서의 경험을 낮추는데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분적으로 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의 선택적 소비절제 또한 소비행복을 증진시키며 일반적 행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인 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는 예상하였던 바대로 소비행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가 작용하는 또 다른 유형인 강박적 소비절제는 소비행복보다는 일반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강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감소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발적 동기 강화전략이 유용한데 특히 재무관리동기 부여가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적 동기의 유발이 소비절제의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anti-consumption life styles that contribute the consumers`` happiness. For the purpose,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otives. Consumers`` motives of reducing their consumption are voluntary or involuntary. Also, the motives are personal or social. This study assumed those motives of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ould affect consumers`` happiness. In this study, consumers`` happiness included both happiness as a consumer and happiness as a human-being.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using SPS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eight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classified and they explained 65.30% of total variances. Cronbach α of each anti- consumption life style was high ranged from 0.777 to 0.889.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1)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frugality (2)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financial management (3)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voluntary simplicity (4)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self-production and (5) consumption reduction for environment protection. Partially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as (6)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In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7)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economic deficiency and (8)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tightwadism. Second, it was found that voluntary anti- consumption life style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happiness as a human-being as well as a consumer. They influenced not only general consumers satisfaction and but also consumers`` autonomy and self-confidence. They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but decreased negative emotions. Among the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consumption reduction tendency because of financial management had the strongest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happiness. Third, consumption reduction for environment protection was anti-consumption life style of voluntary and social motives. This tendency influenced positively consumers`` happiness. Especially it contributed consumers`` happiness by decreasing negative emotions. Forth,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was partially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 in which consumers tried to reduce consumption but allowed a small luxury for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is strategy can be effective for consumers`` happiness. Especially,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contributed consumers`` happiness by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Fifth, anti-consumption life styles of involuntary and personal motive, as expected, tended to affect negatively consumes`` happiness both as a consumer and as a human-being.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economic deficiency and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tightwadism decreased consumers`` happiness as a human-being more than as a consumer. The strategies of reinforcing the voluntary and social motives of consumption reduction and weakening the involuntary motives are needed. The results imply that reinforcing financial management motive and environment protection motive is very effective for adjusting to new social-economic environment demanding consumption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