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PHYSICAL PROPERTIES OF VAR10US BRANDS OF ELASTOMERIC CHAINS

        김경호,황충주,성상진,Kim, Kyung-Ho,Hwang, Chung-Ju,Sung, Sang-Ji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교정적인 치아이동에 필요한 힘들은 orthodontic wire나 여러 가지 elastic rubber등으로 얻을 수 있다. 이중 교정용 elastic rubber는 환경 변화, 시간 경과, 신장(stretch) 정도에 따라 영구 변형과 힘의 소실(force decay)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적용된 힘을 예측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3가지 종류 (Ormco : Generation II Power Chains ; brand A, RMO : Energy-Chain ; brand B, Unitek : AlastiK ; brand C)의 교정용 합성고무탄성재를 실험 환경, 초기 힘의 크기, 고무탄성재의 형태 그리고 신장속도를 달리한 뒤 시간에 따른 잔존 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종류에 따른 특징적인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세 종류 모두에서 상온의 공기에 보관된 경우 잔존 힘의 비율이 가장 컸으며 물과 타액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세 종류 모두에서 24시간 이후로는 초기 힘의 크기에 따른 잔존 힘의 비율에 차이가 없었다. 3. A, B는 filament 유무에 따른 잔존 힘의 비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C에서는 filament가 있는 경우 힘의 소실이 더 많았다. 4. 신장속도를 달리하여도 잔존 힘의 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B는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A, C보다 상대적으로 잔존 힘의 비율이 높았다. Forces needed for orthodontic tooth movement are obtained from various appliances such as orthodontic wires or elastic rubber. Orthodontic elastic rubber is widely used clinically, but permanent deformation and force decay may occur from the environmental changes, time of clinical use and the extent of the stretch, making the Prediction of force being applied difficult. The Present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changes in residual force between three brands of elastomeric chains (Ormco Generation II Power Chains ; brand A, RMO : Energy-Chain ; brand B, Unitek : AlastiK ; brand C)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mount of initial force, types of elastomer and the rate of extension. The characteristic physical properies of the elastomeric chains were as follows. 1. In all three brands, the residual force ratio was largest when the chains were stored in air, with no difference between water and saliva. 2. In all three brands, after 24 hour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esidual force ratio according to the initial force level. 3. In Brand A and B, the presence of filament had no correlation with the residual force ratio. In Brand C force decay was more severe when the chain contained filament. 4. In each brand, rate of extension had no effect on residual force ratio. 5. Brand B showed relatively higher residual force ratio compared to other brands.

      • SCOPUSSCIEKCI등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정혜심(Hye-Sim Jeong),성상진(Sang-Jin Sung),문윤식(Yoon-Shik Moon),조영수(Young-Soo Cho),임승민(Seung-Min Li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페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o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ized enough.<br> Methods: A 3-D finite element Base model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a Lingual tipping model with lingually inclined anterior teeth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axis of anterior teeth when OMI was used as anchorage, models were simulated with 2 mm or 5 mm retraction hooks and/or by the addition of 4 mm of compensating curve (CC) on the main archwir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oots and a 25000 times enlarged axis graph were evaluated.<br> Results: Intrusive component of retraction force directed postero-superiorly from the 2 mm height hook did not reduce the lingual tipping of anterior teeth. When hook height was increased to 5 mm, lateral incisor show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increased.4 mm of CC added to the main archwire also induc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of the lateral incisor but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decreased. Lingual tipping model showed very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b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ight of the hook and compensating curve on the main archwire can influence the axis of anterior teeth. These data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부정교합과 차등적 소구치 발치가 치아 크기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

        김희헌(Hee-Hun Kim),성상진(Sang-Jin Sung),문윤식(Yoon-Shik Moon)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3

        To establish the ideal occlusal relationship, the values of tooth size and ratio must be in a normal range. In this study,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Bolton’s anterior ratio and overall ratio using mesiodistal dimensions of teeth measured on diagnostic models of 334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ere calculated and differences in Bolton ratio according to the groups of malocclusion patients were studied. Also the changes that can occur in overall ratio before and after hypothetical tooth extractions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nterior ratio of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as 78.0 ± 2.69%, and the mean overall ratio was 91.56 ± 2.28%. 2. The largest value of tooth size ratio could be found in Class Ⅲ group, followed by Class Ⅰ and Class Ⅱ groups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malocclusion groups,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4.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3 groups divided based on Bolton ratio,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 KCI등재

        수면질환 관리의 최신 기법

        차정열(Jung Yul Cha),성상진(Sang Jin Sung) 대한치과의사협회 2021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9 No.8

        How reliable is the assessment of snoring apps in the medical field? Although research on this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the authors would like to introduce points that dentists as sleep experts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snoring apps and use them as screening tests for sleep diseases. We would also like to explore the latest treatment using ICT technology to increase patient compliance with oral devices to treat sleep disorders.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성장기 골격성 Ⅰ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성상진,문윤식,김정국,정현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악안면 기형과 부정 교합의 성공적인 교정 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l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 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locclusion and craniofacial deformatio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But the orthodontists are not familiar with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based on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Since orthodontists do not posses a sufficient knowledge in standard value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and of clinical importance for transverse jaw growth. In this study male(n=130) and female(n=171) aged from 6 to 16 and diagnosed as Class I malocclusion were selected to analysis width of cranium, maxilla and mandible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he changes as a function of chronologic age and cervical vertebrae maturity index(CVMI) were examined. The proper regression model was selected by sex with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 and method of variable selection. Mean of each measurements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was assesed and a graphs were made. Results are as follows : 1.All the measurements for the width are gradually inclesed as increase in chronologic age and CVMI. From the total amount of change between age 6 and 16, there is a tendency that mandibular width is broader than maxillary width and the width of male is broader than female. 2.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in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 according to age and CVMI. 3.Mean of each measurement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and sex were assessed and graphs were made for maxillary width, mandibular width, Mx-Mn difference, Mx/Mn ratio. 4.The width of maxilla and mandible in Korean children are broader than Western children during growth period.

      • KCI등재

        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성상진,김인태,국윤아,전윤식,김성훈,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teeth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finite element model, which included the upper dentition and periodontal liga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one loss (0 mm, 2 mm, 4 mm).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splint wires. Retraction and intrusion forces of 200 g for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and 400 g for the full dentition group were applied. Results: The centers of resistance were at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2 mm, 12 mm, 12.5 mm posterior in the 4 incisor group;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4 mm, 14 mm, 14.5 mm posterior in the 6 anterior teeth group; and 11 mm, 13 mm, 14.5 mm apical and 26.5 mm, 27 mm, 25.5 mm posterio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0 mm, 2 mm, 4 mm bone loss. Conclusions: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posteriorly as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in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Howeve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anteriorly in the 4 mm bone loss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