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世宗妃 昭憲王后 國喪儀禮와 그 의미

        석창진(Seok, Chang-ji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5

        조선시대 국가 상장례인 국상의례는 세종대 집중적으로 정비되었다. 세종대 국상의례 정비는 세종 초반 태종과 원경왕후의 국상을 통해 1차적으로 완료되었다. 그러나 세종 26년(1444)부터 시작된 ‘오례의주’ 편찬과 세종 28년(1446) 세종 비 소헌왕후 국상은 이전에 정비된 국상의례를 재검토하고 다시 정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소헌왕후 국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국상의례의 정비방향은 의례의 본질적인 모습을 충실히 구현하는 것이었다. 세종 초반 국상의례가 중국의 국상의례를 모방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소헌왕후 국상의례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국상의례의 본질적인 면을 충실히 표현하고자 하였다. 죽은 자가 매장되기 전까지 모셔지는 빈전에서 거행되는 의식은 죽은 자에 대한 슬픔을 고스란히 드러낼 수 있도록 의식절차를 구현하였고, 왕비의 국상이었기 때문에 왕비 생전처럼 女官이 의식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죽은 자를 매장하고 난 뒤 신주를 모시는 혼전에서 거행되는 의식절차는 슬픔의 표현에 중점을 두기보다 喪主가 슬픔을 서서히 내려놓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구현하였다. 이는 혼전에서 거행되는 의식의 성격이 흉례에서 길례로 전이되는 양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종묘에 부묘되기 전까지 신주를 모시는 공간이라는 혼전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의식절차라고 할 수 있다. 소헌왕후 국상을 계기로 정비된 내용 대부분이 이후 편찬되는 국가전례서인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에 반영되어 조선만의 국상의례를 완성시켜 갔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다. The National Mourning Ceremony of Joseon dynasty was mod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early years of Sejong’s reign, King Sejong completed the bout of ritual organizations to make the funeral for King Taejong and Queen Wongyeong. After the funeral, 『o-rye-ui-ju』(National Five Rites) is compiled on the 26years of Sejong(1444) and the national mourning of Queen Soheon was held on the 28 years of Sejong(1446). Two occasion were the motivation of the reorganized national mourning. Through her funeral, direction of maintenance was to implement the essential aspect of the rites faithfully. While the national funeral ceremony is imitation level in the early years of Sejong’s reign, taking it a step further, her funeral was a desire to express the aspect. Before the dead is buried, the mourning held in Binjeon(殯殿). In there, the procedure of the rites revealed the sorrow for them. Therefore, in her ceremony, court ladies attended the rites. After burying the dead, the procedure which keeps a spirit tablet in Honjeon(魂殿) is not a reflection of the sorrow but an image of the chief mourner going back to day-to-day with the dwindling sorrow. This ceremony was confirmed in aspects of the transition from inauspicious rites to auspicious rites, that is to say, before the dead is buried, the procedure of the rites held in Binjeon(殯殿). It is important that almost re-organized regulations from the rites of Queen Soheon influenced to 『The five national ritual』 and 『The Annals of Sejong』 「five rites」. There i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the procedure made the independent Joseon Dynasty’s rites in terms of its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

        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의 거행양상과 그 특징

        석창진(Seok, Chang-Jin)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58

        이 글은 조선 초기 태종과 세종대에 걸쳐 진행된 유교적 국상의례의 거행양상을 분석하고 세종 4년(1422)거행된 태종 국상의례의 특징을 분석하여 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의 정비과정과 그 의미를 밝힌 글이다. 조선 초기에는 유교국가의 이념적 실현을 위한 국가의례의 정비가 진행되었고 국상의례의 정비도 국가의례 정비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초창기의 국상의례는 역월제와 삼년상제가 이중적으로 거행되는 ‘이중적 국상의례’의 성격을 가진다.이중적 국상의례는 태종대 거행된 태조 국상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태종은 親父인 태조를 위해 3년 상기에 따라 국상의례를 거행하였지만 백관들은 역월제를 통해 개월을 날짜로 바꾸어 27일만에 국상의례를 마무리하였다. 이렇게 역월제와 3년상제가 이중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빈전과 혼전에서 각각 연제, 상제, 담제를 거행하고 태종과 백관의 상복을 입는 기간도 서로 달랐다. 이중적 국상의례가 하나의 국상의례로 단일화되는 것은 세종 4년(1422)태종의 국상 때부터이다. 태종 국상을 계기로 이중적 국상의례를 혁파하고 3년 상기에 따라 국왕과 백관 모두 상복을 바꾸어 입을 뿐만 아니라 국상의례에도 함께 참여하는 의식절차를 구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중적 국상의례에서 奠의식과 祭의식을 혼용하여 사용한데 비해 단일화된 국상의례에서는 奠의식과 祭의식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의례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奠의식은 『문헌통고』 나 『당원릉의주』 를 참고한 의식 절차가 완성되었고 祭의식은 종묘 제사를 喪禮적으로 변용하여 완성하였다. 그리고 일상으로 돌아오는 상주의 모습을 형상화하기 위해 哭절차를 통해 祭의식 사이에 차등적인 질서를 부여하였는데, 연제, 상제와 달리 담제를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의 정비과정은 국상의례의 단일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세종 4년(1422)태종 국상을 통해 정비된 유교적 국상의례는 이후 지속적인 보완 작업을 거쳐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 에 기재되었다. 지속적인 보완작업을 거쳤으나 삼년상제를 기반으로 하는 단일화된 국상의례는 태종 국상 때 정비된 내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 정비과정에서 태종 국상은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progression of Confucian National Mourning Rites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e reign of King Ta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o clarify the process of the mourning rites in observance of the national mourning of King Taejong in the 4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1422).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ate rites were modified for the realization of a nation based on Confucian ideals. The national mourning rites initially were a system known as ‘double national mourning rites,’ which were carried out along different time periods. One is the three-year mourning and the other is Yeokwolje (易月制)-a period of one day for each month of the king’s mourning period. This system was founded with the national mourning of King Taejo hel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King Taejong held a three year mourning period for his father, King Taejo, while, government officials held it for 27 days, one day for each month of the king’s mourning.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time systems, the mourning dress and process for performing ancestral rites differed according to the year, which were known yeonje (練祭), sangje (祥祭), and damje (?祭) and were carried out in the royal coffin hall, Bin jeon (殯殿), and the shrine for spirit tablets, Honjeon (魂殿).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al mourning rites from the double system to a singular one appeared at the national mourning for King Taejong in the 4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22). For this mourning, the rites were reformed so that king and all government officials should wear mourning dress according to the customs of the three year mourning period for the king and join the national mourning together. In the double system, there were mixed rites consisting of Jon((奠) - ancestral rites for the corpse, and Je(祭)- ancestral rites for the spirit tablet. After unification, they were clearly separated. After the separation, Jon became the embodiment of two texts, known as Moonheontonggo(WenxianTongkao) and Dangwonreunguijoo. J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s at Jongmyo shrine. Ritual wailing by the ritual chief was used as a signal to mark each step in the ritual process, consists of yeonje (練祭), sangje (祥祭), and damje (?祭). Therefore, the organization of the Confucian national mourning rit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 unification process. The rites were continuously complemented and recorded in the ’’Five Rite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the National Five Rites. Although the rites had further, minor reforms, the unified rites maintained the form based on the national mourning rituals for King Taejong. Therefore, it is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