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WAT 모형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기후 시나리오 기반 오봉저수지 유입량 분석 및 저수지 관리방안

        석준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gricultural water in Korea is hardly managed through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which is pursu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being mostly administered b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Ministry of Agriculture. While the quick return flow and the delayed return flow, part from agricultural water, contributes to the river maintenance flow and the groundwater each, the data of them are still not enough.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measure of ensuring the maintenance flow and supervising the water quality, which is based on the exact estimate of the amount inflowing into agricultural reservoirs. However, changes of patterns and intensity of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recent climate change make its estimate difficult, causing the hydrological change of the upper stream of the reservoirs. Also, the present means of managing the reservoirs was some severe challenges to the water control, such as water level limit, in flood season and the lack of water in dry season. With this climate issue, to build a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xact amount of inflow of the reservoirs and, accordingly, to scientifically calculate the available amount such as th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in benefit areas in down stream or return flow and to redistribute it. Hence, in this study, 1) inflow into agricultural reservoirs depending on the climate change was anticipated by using a simulation model and a machine learning technic 2) The return flow was presumed via an empirical base, the fundamental data were gained for an efficient use, a goo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s, and a systemic countermeasure during the flood and dry seasons, whose predicted results on the reservoir inflow can be employed as basic data for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project and the scient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with a forecast warning system. 우리나라 농업용수는 대부분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국농어촌공사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부에서 추구하는 통합적인 물관리를 통해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농업용수의 일부인 신속회귀수량과 지연회귀수량은 각각 하천유지용수와 지하수위유지에 기여하지만 이에 대한 자료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농업용 저수지로 유입되는 정확한 수량 산정을 바탕으로 유지용수확보 및 수질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패턴과 강우강도의 변화는 농업용 저수지 상류 유역의 수문변화를 초래하여 농업용 저수지 유입량의 산정을 어렵게 한다. 또한, 현재 농업용 저수지 관리 방법으로는 홍수기 제한수위설정 등 치수에 큰 어려움이 있으며, 갈수기에는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용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농업용저수지에서의 정확한 유입량 산정과 그에 따른 하류 수혜지역 내 농업용수, 회귀수량 등과 같은 사용가능량을 과학적으로 산출하여 재분배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유입량을 시뮬레이션 모형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과 2) 경험식 기반의 회귀수량 추정을 통해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시설물의 선량한 유지관리와 가뭄 및 홍수 시 체계적 대응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홍수기 및 갈수기에 대한 농업용 저수지 유입량 예측 결과는 저수지 증고사업 및 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통한 물관리 과학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청년층 ‘불안지대’의 형성 조건과 과정 : 주거 불안 경험을 중심으로

        석준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청년들의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청년들의 주거 불안 형성의 조건과 과정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다. 불안정은 생산-재생산의 관계 속에서 일정한 시공간을 형성하며 도시 공간 속 청년들의 삶과 깊이 천착된다고 보았다. 그에 따라 청년들의 주거 경험에 내재한 불안 요소들이 교차, 중첩되는 과정을 살핌으로써 불안이 심화 되는 조건과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불안을 완화하고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들의 경로를 살핌으로써 청년들의 주거 불안을 폭넓게 인식하고 또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주거 불안은 그 주거 공간에서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 지위와 같은 다차원적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며 발현된다. 둘째, 불안의 요소들은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면서 불안을 더욱 심화하고 고착화하는 조건이 되며 이는 도시 공간 내에 일정한 시공간을 형성한다. 셋째, 해당 시공간 속에서 청년들은 불안을 더욱 강하게 경험하며 이는 주거불안을 중심으로 발현된다. 그리고 시공간 내에 장기간 고착되는 현상은 청년 층 내에서 불안에 대한 격차와 불평등을 형성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넷째, 불안을 둘러싸고 경제적, 정책적, 사회적 차원의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미침으로써 청년들은 해당 시공간에 진입·이탈의 과정을 갖는다. 다섯째, 청년들은 불안정성을 경험하며 포기, 순응 그리고 대안을 탐색하는 것으로 대처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다양한 1인 가구의 필요성’을 통해 단계적으로 삶의 안정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정책적 대상을 불안의 측면에서 폭넓게 포섭할 수 있는 다차원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속되는 1인 가구와 그에 따른 다양한 주거 공간의 필요성을 청년의 생애 측면에서 도출하였다는데 그 함의가 있다. 셋째, 주거정책의 계획에 있어 청년들 내부의 격차와 불평등을 함께 고려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housing precarity formation among young people, especially focusing on the housing experience of young people engaged in precarious labor. Precarity forms a certain time-sp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is deeply embedded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in urban space.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under which precarity intensifi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ossing and overlapping precarious factors inherent in young people's housing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t was intended to find a policy implication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housing precarious of young people by examining various dimensions that can alleviate and resolve precarity. The findings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using precarity among young people is not only caused by the housing space, but also by multi-dimensional factors such as labor and status. Second, the elements of precarity intersect and overlap with each other, further deepening and fixing precarity, which forms a constant time-space within urban space. Third, young people experience more intense precarity in the space and time, which is centered on residential anxiety. And the long-term fixation within time and space results in the formation of gaps and inequalities in anxiety within the youth. Fourth, young people have a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time frame by influencing economic, policy, and social factors through interaction surrounding anxiety. Fifth, young people responded by experiencing instability and exploring abandonment, conformity, and alternatives of housing. They commonly sought to find stability in life step by step through the "need of various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present a multi-dimensional condition in which residential policy targets can be widely embraced in terms of precarity. Second, the implication is that the need for continuou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various residential spaces wa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s life. Third, it suggested the need to consider the gap and inequality within young people in planning housing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