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강즙을 첨가한 식혜의 품질특성

        석미숙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생강즙을 첨가한 식혜를 건강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생강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수율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생강의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기능성은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항산화능과 항균활성 및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다. 생강즙을 0~15% 첨가한 식혜를 제조한 후, 4℃, 15℃, 25℃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기호도 및 미생물수를 평가하여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강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추출수율 및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19%, 2.32%, 및 710.75 mg/100 g, 823.52 mg/100 g이었다. 2. 생강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000 ppm에서 89.19%, 90.11%였다. 3. 생강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1,000 ppm에서 32.19%, 50.9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4. 생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이 1,000 ppm에서 39.39%, 44.4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5. 생강 추출물의 혈전용해능은 3%에서 생강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1.26 unit, 0.88 unit에 해당하는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으며,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높은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6. 생강식혜의 4℃ 저장중 당도는 생강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7. 4℃에 저장한 생강식혜의 명도(L)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4℃, 15℃ ,25℃에 저장한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해 생강즙을 첨가한 식혜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8. 4℃, 15℃ ,25℃에 저장한 생강식혜의 탁도는 생강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나 점도는 생강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9. 생강식혜를 4℃와, 15℃, 25℃ 저장했을때 pH와 산도는 대조구에 비해 생강즙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다. 10. 25℃에 저장한 생강식혜의 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생강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총균 수, 효모․곰팡이, 유산균 수가 낮아서 식혜의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11. 4℃에 저장한 생강식혜의 기호도는 저장 1-2주때에 5-10% 생강 첨가구에서 기호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저장 1주때 생강즙 5%을 첨가한 식혜가 가장 기호도 점수가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기호도가 낮아졌다.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강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이 우수하였다. 생강즙을 첨가한 식혜는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어 저장기간이 연장되었으며 식혜의 기호도가 높아지고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품질특성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생강즙을 5% 첨가하는 것이 건강식품으로서 식혜의 가장 바람직한 농도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ikhye as a healthy foods with ginger(Zingiber officinale R.) juice. Ginger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and the extraction yiel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ach extracts were analyzed. The functionality of each extracts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fibrinolytic activiti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for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lity (NSA). Sikhye, a traditional Korean drink, was prepared with 0~15% of ginger juice, and its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rough sensory and microbial analyses during storage at 4℃, 15℃ and 2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yields of the ginger 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2.19 and 2.32 percent,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710.75 and 823 mg/100 g of ginger, respectively. 2. The EDA of ginger 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89.19 and 90.11% at 1,000 ppm, respectively. 3. Their SOD-like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ginger were 32.19 and 50.97% at 1,000 ppm, respectively. 4.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ginger were 39.39 and 44.44% at 1,000 ppm, respectively. 5. Fibrinolytic activi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ginger were 1.26 and 0.88 unit of plasmin at 3% of extracts, respectively and the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larger than ethanol extract. 6. The sweetness of Sikhy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inger juice added to Sikhye during storage at 4℃. 7. In the color analysis, the lightness(L) of the Sikhye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ginger juice, while redness(a) and yellowness(b) increased with increasing ginger juice during storage at 4℃, 15℃ and 25℃. 8. The turbidity of Sikhye was higher with increasing ginger juice, while the viscosity of Sikhye was lower with increasing ginger juice during storage at 4℃, 15℃ and 25℃. 9.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Sikhye, the higher pH and lower acidity with increasing ginger juice during storage at 4℃, 15℃ and 25℃. 10. During the storage of Sikhye the total microbial cell counts, viable cells of bacteria, yeast & mold and lactic acid bacteria, in Sikhye were lower with increasing amount of ginger juice. Shelflife of Sikhye can be extended by ginger juice that have antimicrobial activity. 11. In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scores Sikhye added with 5% of ginger juice and stored at 4℃ for one week. Preference scor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at 4℃. Considering all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ginger juice had high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fibrionytic activity. The growth of microbials in Sikhye added with ginger juice was inhibited and shelflife of Sikhye was extended. Ginger juice can improve the preferenc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est, it is recommended the addition of 5% ginger juice in Sikhye as health food.

      • 唐代 草書의 유형과 특질 연구

        석미숙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대(唐代, 618-907)의 예술은 대체로 이성주의에 입각한 전형적인 하나의 틀을 갖춘 시기였다. 아울러 감성주의가 교차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진 시기이며, 서예 또한 당 태종(太宗, 599-649)의 왕희지(王羲 303-361) 숭상으로 상법(尙法)의 해서가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경제발전으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개방적이고 자유로워지면서 당나라의 전반적 예술활동은 다양한 변화와 개혁을 일으키게 된다. 성당(盛唐, 713-756) 시기의 예술활동은 시가(詩歌)와 서예로 대표된다. 이 두 가지의 예술정신은 성당 음악의 바탕 속에서 상호 보완 작용을 하여 ‘성당기상(盛唐氣像)’의 풍모를 공동으로 구현하였으며, 그 교집합에 부합하는 서체는 바로 광초(狂草)이다. 당시(唐詩)와 서예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은 당나라의 음주문화이다. 술은 현실 세계를 잊고 자아의 자유로운 영혼으로 돌아가 인간 본연의 서정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매개이다. 당나라 시성(詩聖) 두보(杜甫, 712-770)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는 당나라의 음주문화를 대표하는 시로서 그 속에 광초 서예가인 장욱(張旭657-750?)이 출현하기도 한다. 장욱의 초서는 당나라 문화예술의 표상인 ‘성당기상’을 대표하는 ‘광초’이다. 당대 초서는 초당(初唐, 618-712) 시기 손과정(孫過庭, 648-703?)의 <서보(書譜)>와 하지장(賀知章, 659-744)의 <효경(孝經)>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초서는 왕희지 서법을 계승하여 당대의 예술적 특징인 자유로움이 담겨 있다. 손과정의 <서보>는 상법 숭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서정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심미 영역을 개척하여 장욱의 광초로 이행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하지장의 <효경>은 손과정의 금초와 장욱의 광초의 가교역할을 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이후 장욱의 광초가 출현했는데 그의 광초는 주흥(酒興)을 통한 구속 없는 자유로움과 호방함의 초서로 정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기존 서법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초서를 구현하였다. 한편, 회소(懷素, 737-799)의 초서는 장욱의 광초를 계승하였으나 장욱의 자유분방함을 마음속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본성에 입각한 새로운 광초를 선보이며 광초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장욱과 회소의 광초는 모두 주흥(酒興)을 통하여 자유분방한 초서를 썼으므로 ‘이광계전(以狂繼顚)’과 ‘전장취소(顚張醉素)’라는 말로 점철되었다. 이후 안진경(顏眞卿, 709-785) 서예의 출현은 중국 서예 역사에 또 다른 변혁이었으며 그의 새로운 심미의식의 창신(創新)은 후대 행초서의 발전과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대 초서의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당시와 일체를 이루어 ‘성당기상(盛唐氣象)’의 풍모을 구현하였다. 다음으로는 예술적 표현방식의 혁신으로, 기존의 이성적 서법을 뛰어넘은 자연 친화적인 인간의 감성을 무의식의 예술세계로 승화시켰다. 마지막으로는 구속됨 없는 자유분방한 감성의 시각예술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초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당대 초서의 유형과 그 특질을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하나는 후천적 학습을 통한 이성적인 감정의 표현으로, 유가의 중화미학(中和美學)을 실천한 유형이다. 다른 하나는 자연천성(自然天性)과 형상 밖으로 초월하는 자유로움으로, 노장사상을 실천한 유형이다. 전자의 경우 윤리와 법고(法古) 정신의 강조로 예술표현의 방법에 한계가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기존의 모든 법을 초월하는 예술표현의 한계성이 없어짐으로써 무한한 발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대의 초서는 이 양자의 특질이 동시에 내재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당대의 가장 큰 혁신은 무엇보다 광초의 성행이라 할 것이다. 이는 서예의 새로운 도전으로 서예가 순수예술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In the Tang Dynasty (唐代, 618-907), the arts had usually a typical frame based on rationalism and prepared the foundation on which emotionalism also developed together with such rationalism. Also in the calligraphic field, Emperor Taizong of Tang (太宗, 599-649) admired Wang Xizhi (王羲 303-361), so that Haeseo (a calligraphic style) of Sangbeop (尙法, a calligraphic rule) enjoyed its climax in that era. Since then, the economic growth had made the society generally open and free resulting in the general art activity of the Tang era had raised a variety of changes and reforms. Especially in the heyday of the Tang dynasty (盛唐, 713-756), the art activity was represented by poetry and calligraphy. Such two art spirits altogether realized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through mutual supplementation. It was Gwangcho (狂草, a calligraphic style) that met both poetry and calligraphy. The drinking culture of the Tang era should not be forgotten for discussion of Tang poetry and calligraphy. Liquor is a medium that helps you not think about the real world and get back to your free spirit so that you can freely express the essential lyricism of human being. Eight Poetries of Being Drunk (飮中八仙歌) written by Dufu (杜甫, 712-770), one of the greatest poets of the Tang era, is a poetry piece that represents the drinking culture of the Tang era. In such work piece also features Zhāng Xù (張旭, 657-750?), a Gwangcho style calligrapher. Zhāng Xù’s Choseo style calligraphy is Gwangcho that represents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which symbolizes the culture and arts of the Tang dynasty. In the early Tang era (初唐, 618-712), the Choseo was represented by Shūpǔ (書譜) written by Sūnguòtíng (孫過庭, 648-703?) and Xiàojīng (孝經) by Hè Zhīzhāng (賀知章, 659-744). Both succeeded Wáng Xīzhī’s calligraphic style, so that their styles showed unconventionality that was the art feature of the Tang era. Shūpǔ (書譜) written by Sūnguòtíng explored a new aesthetic field based on his own unique lyricism even under the social mood admiring Sangbeop, so that it became the foundation from which Zhāng Xù’s Gwangcho was born in. Xiàojīng (孝經) written by Hè Zhīzhāng can be evaluated as a bridge between Sūnguòtíng’s Geumcho style and Zhāng Xù’s Gwangcho style. Zhāng Xù’s Gwangcho that appeared after the early Tang era was a Choseo style of unconventionality and broadness without detention that could be realized through drinking joy, which suggested the direction to freely express emotion and formed a new Choseo style overcoming the barrier of the conventional calligraphic styles. On the other hand, the Choseo used by Huáisù (懷素, 737-799) succeeded Zhāng Xù’s Gwangcho. Huáisù, however, understood Zhāng Xù’s freewheeling style in his mind and introduced a new Gwangcho based on his own nature, which contributed to progress of Gwangcho. Both Zhāng Xù’s Gwangcho and Huáisù’s Gwangcho were a freewheeling Choseo realized through drinking joy, so that they all called Yǐkuángjìdiān (以狂繼顚: rush about wildly) and Diānzhāngzuìsù (顚張醉素: broadly express one’s emotion drunk). Then, the calligraphy of Yán Zhēnqīng (顏眞卿, 709-785) appeared and it was another revolution of Chinese calligraphy. Such his new aesthetic sense largely contributed to the progress and change of Hang-Choseo style later. The analysis on the features of the Tang’s Choseo indicates: First, it was completely harmonized with the Tang poetry and realized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Second, it reformed the artistic expression way and expressed the nature friendly human emotion into the art world of unconsciousness; and Last, it transformed the calligraphy into a visual art of emotion that was freewheeling without detention. Based on such features of Choseo, the Tang;s Choseo can be summarized into two patterns: One practiced the Chinese-centered aesthetics by expression of rational emotion made through acquired learning; and The other practiced the thought of Laotzu through the human nature and unconventionality where it went out of the shape. The former emphasized the moral and the spirit of following the old good models, which revealed its limitation of art expression while the latter got rid of the barrier of art expression transcending the conventional rules of all implying the possibility of everlasting progress. It was clarified that the Tang’s Choseo had such two features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biggest innovation in the calligraphic field of the Tang era must be the appearance of Gwangcho, which was a new challenge of calligraphy setting up an opportunity for calligraphy to go up to a fine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