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과 환경교육의 방향

        서향숙(Hyang-suk Seo),박시윤(Si-yun Park)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3

        이 글은 현대사회에서 인간위기를 포함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철학적 대안을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에서 찾아, 우리 미래의 삶이 자연과의 공생으로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베이컨의 유토피아적 과학관과 데카르트의 합리적 전통의 결합으로 누려온 현대 과학 기술 문명의 혜택 사이에 실존주의 철학이 있다. 1990년대 후반 ‘몸’이 인문, 사회과학적 담론의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던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도에서 샤르트르와 함께 20세기 몸의 철학으로 새로운 지평을 연 메를로 퐁티의 ‘살 존재론’을 통해 이성중심의 과학주의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근본적으로 한계 지을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다음과 같이 마련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 과학 기술 문명에 내재된 여러 위험적 징후들을 철학과 과학계의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과학 기술 토대위에 오랜 시간 혜택만 누려온 인간이 과연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 몸의 철학을 중심으로 찾아보고자 한다. 셋째, 그의 ‘살 존재론’을 근거로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방법이 곧 미래의 우리 삶과 자연과의 공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human life in the future be able to coexist with nature by seeking for a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including human crisis in modern society from Mea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 Existentialist philosophy is placed somewhere in the benefits of the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hich is enjoyed by the combination of Bacon’s utopian viewpoint of science and Descartes’ rational tradition. Based on ‘the flesh ontology’ of Mearleau-Ponty who opened a new prospect with Sartre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body in the 20th century, under the post-modernism struc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1990s of which core keyword for the discourse of human and social science was ‘the body’,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a clue of thinking that could clarify the side effect of rationality-oriented scientism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dangerous signs of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ritical view of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circles. Seco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who have merely enjoyed the benefit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a long time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was looked into focusing on Mearleau-Ponty’ phenomenology and body philosophy. Third, based on Mearleau-Ponty’ ‘flesh ontology’, the author argued that cultivating sensitivity for all the living things seems to be the clue for the symbiosis between human life and natur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 연구

        서향숙(Seo, hyang-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김요섭은 시인이자 동화작가이다. 그는 처음부터 동화를 문학예술로 인식하고 동화의 문학적 특성에 부합하면서도 예술성을 잃지 않는 작품을 창작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모색해왔다. 그는 특히 단편동화에서 예술적 경지를 뛰어넘는 독특한 문학 세계를 확립한 작가이다. 본 논문은 예술성이 뛰어난 그의 단편 동화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특질을 규명해 보았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은 시대 상황과 문학적 면모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한국전쟁 이전에 창작 된 작품으로, 주로 그리움의 세계를 담은 이야기들이고, 둘째는 한국전쟁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절망과 암울함을 담은 현실적 이야기들이다. 셋째는 1968년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그 절망을 극복하고자 한 환상적 이야기들이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특질은 크게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는 원형적 이미지와 아동문학에 적합한 주제를 결합시킨 점, 둘째는 현실인식과 역사인식에 뿌리를 두고 시적 환상을 추구하며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 점, 셋째는 전쟁의 참혹함 과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끊임없이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한 점, 넷째는 시적인 문장과 다양한 이미지, 반복과 나열 기법, 독특한 플롯 등을 도입하여 동화의 문학성을 확립하고자 한 점이다. 이와 같은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은 한 국동화문학사에서 작가로서 그의 위상을 재확인시켜주는 일이기도 하다. Kim Yo-seop is a poet and writer of childrens stories. He, who recognized childrens stories as a literary art, attempted various experiments to create stories which have artistic nature while meeting their literary qualities. He developed his own literary style in childrens stories beyond the realm of ar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targeting his stories with excellence as an art. The aspect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s and literary trends: First, the stories which were written before the Korean War, describe the world of longings. Secon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the Korean War, describe depression and despair of the society. Thir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1968 are fantastic stories to overcome despair. The qualities of Kim Yo-seops short fairy tal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he combined archetypal images with subjects for childrens literature; Second, he dealt with human nature while seeking for poetic fantasy along with awareness on reality and history. Third, he continuously tried to realize his intention to overcome depressed reality due to the war ; and fourth, he introduced poetic sentences, various images, repetition, and distinctive plots to establish literary qualities of childrens stories. As above, such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childrens stories reconfirmed his status as a writer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stories.

      • KCI등재후보

        이영희 동화문학에 나타난 판타지 탐구와 문체 구현 방식

        서향숙(Seo, Hyang-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0

        이 논문은 이영희 동화의 의미론적 특질과 구조적 특질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논자는 이영희의 동화 중에서 개성적이고 문학성이 풍부한 작품들을 선택하여 살펴보았다. 이영희는 현실에 대한 풍자로 전래동화 속 인물들을 통해 설화와 현실이 혼합된 판타지의 세계를 시적 상상력의 확장으로 변용하고 있다. 또한 원형적 사랑의 의미 구현을 위해 상징적 언어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는 동화에서 사랑의 상징성을 명징하게 그려내며 은유적 의미의 깨달음을 관조한다. 이영희는 구어체를 바탕으로 의성어, 의태어를 활용하여 인물들이 생생하게 살아나게 하고, 역동적인 감각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시적 상상력에 바탕을 둔 문체를 사용함으로써, 판타지 세계에 몰입하게 만든다. 이영희 동화는 알레고리가 형성하는 의미화로 판타지 세계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다. 이영희는 설화적 요소에 재미성을 가미하여 이야기를 전개해나감으로써 동심 세계를 구현하였다. 특히 여성적이고 세심한 판타지 기법으로 문학성이 높은 판타지 세계를 구축하였다. 이영희 판타지동화에서 보여주는 진솔한 인간 사랑과 이상 세계의 모색은 그의 원형적 작품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설화적 소재를 끌어들여 소재의 폭을 넓히고, 밀도 있는 문체로 서정성을 확보한 점은 평가받아 마땅하다. This study speculated on semantic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fairy tales written by Lee, Young-hee, notably focusing on some of her stories with distinctiveness and literary power. Lee, Young-hee incorporated the world of fantasy, where narratives are mixed with reality, incorporating characters in folk stories through her poetic imagination. For semantic realization of archetypal love, she used a symbolic linguistic technique. She definitely described symbols of love in her stories and contemplated realization of their metaphorical meaning. She made her characters vivid and dynamic with the use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ased on colloquial style. Also she used a distinctive writing style based on her poetic imagination to lead readers to immersion in her stories. Her stories increased the quality of her fantasy world through allegory. She realized the juvenile mind in her stories by adding fun to narrative elements. In particular, she built a fantasy world with literary power with a delicate and feminine fantasy technique. She pursued true love in humans and an ideal world in her stories as her archetypal writing ideals. Also it was highly admired that she used narrative materials to expand the range of materials and secured lyricism through an in-depth writing style.

      • 피곤한 정보사회,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인문학의 방향

        서향숙(Seo, Hyang Suk)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7

        미래학자 앨빈토플러가 인류역사 발전의 과정을 3단계 혁명의 과정으로 지적했듯이 우리는 제3의 물결, 정보화 사회의 환경에서 후기 산업자본주의와 맞물려 넘쳐나는 정보산업에 포획되어 훈육되고 있다. 이젠 과잉정보의 스펙터클한 사회에서 피곤한 축적물들을 어떤식으로 배출할 것인지에 대해 지혜를 모아야할 시기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대안을 필자는 대학에서 교양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그 역할에서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의 논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의 환경문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은 교육에 있다. 그리고 환경교육은 미래의 인간생존과 연관이 있다. 둘째, 기존의 환경교육은 근대 과학의 패러다임(방법론적 개체론)을 따르고 있으며 그것이 지금의 환경문제의 근원적인 원인이다. 셋째, 지금은 현대 물리학에 기초하는 패러다임, 즉 방법론적인 전체론에 의거한 환경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넷째, 방법론적 전체론에 의거한 적절한 환경교육이 바로 존 밀러가 제안한 홀리스틱 교육이다. 다섯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철학적으로는 영원의 철학을, 심리학적으로는 초개인 심리학을, 사회적으로는 산업사회의 분절과 분열의 시각을 넘어서는 공동체의 상호작용에 근간을 두고 있다. 여섯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유기적 전일론이 아닌 유기적 전체론의 입장이기에 인간과 환경 간의 호혜적 연관성과 관계성을 중시하는 내용을 가지며,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인문학의 연계적 해법을 통해 자연 친화적인 문명 조성을 교육의 목적으로 한다. 일곱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생태-정의의 이념에 기반하여 생태적 감성을 중심으로 생태적 이성, 생태적 영성의 균형을 교육의 원리로 한다. 따라서 여덟째, 대학에서의 환경교육은 스펙터클한 사회에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주어야 하고 환경 문제가 심각한 지금의 정보화 사회에서 홀리스틱 환경교육이 그 대안이다. 대학에서 교양 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산업자본주의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 소비중심의 시각적 과잉유혹과 노출로부터 벗어나 몸을 쓰는 촉각적 감수성 교육을 통해 창조적 관심을 함양시킬 수있는 생태적정보사회의 주인이될 수 있도록 비판의식과 철학을 제공해야한다. 왜냐하면 지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의식전환은 교육을 통해 성숙되어질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몸의 현상학과 환경교육-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을 바탕으로 -

        서향숙(Seo, Hyang-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human life in the future be able to coexist with nature by seeking for a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including human crisis in modern society from Mea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 Existentialist philosophy is placed somewhere in the benefits of the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hich is enjoyed by the combination of Bacon’s utopian viewpoint of science and Descartes’ rational tradition. Based on ‘the flesh ontology’ of Mearleau-Ponty who opened a new prospect with Sartre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body in the 20th century, under the post-modernism struc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1990s of which core keyword for the discourse of human and social science was ‘the body’,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a clue of thinking that could clarify the side effect of rationality-oriented scientism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dangerous signs of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ritical view of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circles. Seco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who have merely enjoyed the benefit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a long time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was looked into focusing on Mearleau-Ponty’ phenomenology and body philosophy. Third, based on Mearleau-Ponty’ ‘flesh ontology’, the author argued that cultivating sensitivity for all the living things seems to be the clue for the symbiosis between human life and nature in the future. 이 글은 현대사회에서 인간위기를 포함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철학적 대안을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에서 찾아 우리 미래의 삶이 자연과의 공생으로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베이컨의 유토피아적 과학관과 데카르트의 합리적 전통의 결합으로 누려온 현대 과학기술문명의 혜택사이에 실존주의 철학이 있다. 1990년대 후반 ‘몸’이 인문, 사회과학적 담론의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던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도에서 샤르트르와 함께 20세기 몸의 철학으로 새로운 지평을 연 메를로 퐁티의 ‘살 존재론’을 통해 이성중심의 과학주의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근본적으로 한계 지을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다음과 같이 마련하고자한다. 첫째, 현대 과학기술 문명에 내재된 여러 위험적 징후들을 철학과 과학계의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과학기술 토대위에 오랜 시간 혜택만 누려온 인간이 과연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 몸의 철학을 중심으로 찾아보고자 한다. 셋째, 그의 ‘살 존재론’을 근거로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방법이 곧 미래의 우리 삶과 자연과의 공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자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