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변 신문 사설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 연변일보의 사설을 중심으로

        서향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결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결합하여 접속문을 만들고 연결한 절과 절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연변 신문 사설에서 사용되었던 연결어미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연결어미를 비교하여 반세기의 간격을 두고 연결어미의 형태와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50년대와 2000년대에 사용된 연결어미를 분석한다. 1950년대 신문 사설 텍스트에서 사용된 연결어미의 사용빈도와 비율을 조사하여 이 시대에 사용된 연결어미의 목록을 만든다. 같은 방법으로 2000년대 신문 사설 텍스트에서 사용된 연결어미를 조사하여 목록을 만들어 두 시대의 연결어미의 사용 빈도와 비율을 비교해 보면서 그 차이를 밝히려고 시도한다. 다음은 두 시대의 연결어미의 의미변화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1950년대 신문 텍스트에 사용된 연결어미의 의미를 높은 빈도로 사용된 연결어미부터 차례로 살펴본다. 같은 방법으로 2000년대 신문 텍스트에 사용된 연결어미의 의미를 살펴보면서 두 시대의 연결어미의 의미 변화를 검토한다. 앞으로 대규모 말뭉치를 분석하여 연변 지역어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더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本研究一共有4章组成。 第一章为绪论部分.阐述了本研究的目的跟研究方法。 第二章首先,50年代和现在连接语尾的使用进行形态分析。根据新闻社说的内容进行了比较分析,从语尾的形态和使用频度方面进行比较研究。比较的结果以目录的形式展现出来,通过目录的形式可以清楚地看出50年代和现在的连接语尾的使用上的共同点和不同点。 第三章以同样的方法对50年代和现在连接语尾的意义变化进行了分析比较。根据新闻社说的统计内容,从语尾的形态和使用频度方面进行比较研究。比较的结果以目录的形式展现出现,通过目录的形式可以清楚地看出50年代和现在的连接语尾意义变化的使用的共同点和不同点。 第四章是结论部分。整理了本文的研究结果,并对需要解决的问题做出了总结。

      • 용정 지역 조선어의 세대별 상대높임법과 그 변화

        서향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지역어의 상대높임법을 세대별로 나누어 그 체계를 밝히고 그 체계를 구성하는 문장 종결어미들의 기능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세대별 체계를 대조하여 차이를 보이고 용정 지역어의 상대높임법의 변화와 그 요인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용정 지역어 상대높임법을 ‘합쇼체, 하오체, 해라체’의 세 등급으로 나누고 등외로 ‘반말’을 두었다. ‘하오체’는 표준어의 ‘하오체’와 ‘하게체’를 아우르는 등급이다. 3장에서는 각 세대별(노년층, 중년층, 청년층)로 상대높임법의 종결어미들을 ‘합쇼체, 하오체, 해라체, 반말’로 나누어 제시하고 각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 교체 이형태, 선어말어미와의 통합관계, 주어와의 공기 관계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가 쓰이는 사회적 요인이나 사회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보였다. 노년층과 청년층이 말하는 종결어미는 큰 차이를 보인다. 4장에서는 세대별 상대높임법 종결어미를 대조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 변화와 그 요인을 논의하였다. 예컨대, 노년층이 쓰는 ‘합쇼체’ 서술형 종결어미는 함경도의 여러 지역 방언의 변종(예: ‘-습꾸마, -습꿔이(<-습꿔니), -습지비, -습메다, -수다’) 가운데 주로 육진 방언권과 그 외곽에서 쓰이는 ‘-습꾸마’이다. 이는 용정 지역어 노년층의 종결어미가 함북 북부 방언을 근간으로 하여 형성된 것임을 뜻한다. 노년층이 말하는 종결어미는 청년층의 그것과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중년층은 그 과도기적 성격을 보인다. 이는 표준어를 비롯하여 언어 내외적 요인이 용정 지역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표준어형이 들어와 음변화를 겪거나 또는 앞 시기에 쓰이던 종결어미와 표준어적인 요소가 융합하여 새로운 종결어미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예컨대, ‘-슴다(<-습니다)’, ‘-슴까(<-습니까)’가 전자의 예이고 청유형 어미 ‘-기오’에 전통적으로 함북 방언에서 잘 쓰이지 않는 선어말어미 ‘-으시-’가 삽입되어 ‘-기쇼’가 출현하게 된 것이 후자의 예이다. 그리고 교체 계열의 수평화(leveling)에 의하여 노년층의 ‘-읍소/-습소’가 중년층에서는 ‘-읍소’로 단일화하는 경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This thesis is subjected to describe sentence final endings and the addressee-honorifics of Korean spoken in Longjing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hina and discuss the direction and factors of their generational change. Chapter 2 dealt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 addressee-honorifics in Longjing Korean. I classified them into the three levels: hapsho-, hao- and haera-style. The hao-style in the dialect includes hage- and hao-style of Standard Korean. The addressee-honorifics in the dialect also include panmal as an additional style, which does not belong to the levels. In Chapter 3, I described sentence final endings of the addressee-honorifics spoken by each generation (the elderly, the middle-aged and the young)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classifi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n I figured out the meaning of each ending and discussed its allomorphy, syntactic relationship with prefinal endings and co-occurrence relationship with subjects. In addition, I showed under what social context each ending was used and what kinds of social factor were relevant to its usage. From this examin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of sentence final endings between the elder and the young generation. Chapter 4 drew a comparison between the usage of the endings from each generation in order to clarify not only the differences, but the direction of the change and its factors. For example, it is -seupkkuma, a Yukjin dialect form, that is spoken as the hapsho-style declarative final ending in Longjing among other candidates, such as -seupkkwoi (<-seupkkwoni), -seupjibi, -seupmeda, -suda, which are all used in various areas in Hamgyeong-do, North Korea. This means that the sentence final endings of the elder generation in Longjing Korean have been formed on the basis of Northern Hamgyeongbuk-do dialect. There is a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endings of the elderly and those of the young; a transitional phenomenon appears between the middle-aged and the young generation’s usage. This is because both intra- and extralinguistic factors have affected the dialect. In some cases standard forms have flowed in and implemented sound changes; in other cases traditional forms and standard forms have been fused together, and then new forms have been created. For instance, -seumda (<-seupnida) and -seumkka (<-seupnikka) belong to the former case. An example as the latter case is the appearance of -kisho by the insertion of -eusi-, a prefinal ending traditionally not frequently used in Hamgyeongbuk-do dialect, into -kio-, a propositive ending. Also, paradigmatic leveling has participated in the change. There is a tendency that -eupso/-seupso used by the elderly have been simplified as -eupso in the middle-aged group.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수술환자 가족의 상태불안과 간호요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향란 예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 이하 MIM)를 사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상태불안 및 간호요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소재 종합병원 산부인과 병동에 입원한 자궁적출술이 예정되어 있는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33명씩 총 66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3월까지였으며, 먼저 실험군의 자료를 조사한 후 실험처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실험군 대상자가 퇴원한 16일간의 시차간격을 두고 대조군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실험군에게 MIM을 활용하여 수술진행정보를 제공하고 대조군은 기존 방식대로 수술 대기실 현황판을 이용하여 수술진행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두군 모두에게 상태불안 정도를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고, 간호요구만족도는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서 상태불안은 Spielberger(1972)의 도구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술환자 가족 간호요구만족도는 Carmody 등(1991)의 수술환자 가족요구도 문항을 박정은(2002)이 번안한 도구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가설을 위한 검증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수술실 간호사의 MIM을 활용한 수술진행정보를 제공받은 실 험군은 수술 대기실 현황판을 이용한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 에 비해 상태불안정도가 더 낮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6.76, p<.001). 수술 후 상태불안정도는 실험군은 36.03±8.68점, 대조군은 43.24±7.1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설 2: ‘수술실 간호사의 MIM을 활용한 수술진행정보를 제공받은 실 험군은 수술 대기실 현황판을 이용한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요구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t=39.99, p<.001). 수술 후 간호요구만족도는 실험군은 55.70±4.67점, 대조군은 18.76±2.5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MIM을 활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간호요구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술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MIM을 활용한 양방향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앞으로 수술 간호중재에 적합한 프로토콜 개발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