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과 관절경적 전 · 후방 구획 변연 절제술의 임상적 결과의 비교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서한얼(Han Eol Seo),강준호(Jun Ho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중등도 이하의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 또는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 받은 46명 중 2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을 받은 16명의 환자를 1군,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11명을 2군으로 구분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의 주관절 굴곡 및 신전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메이요 팔꿈치 성능 점수(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1개월(15-32개월)이었으며, 임상적 지표인 ROM, VAS, MEPS는 1, 2군 모두 수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두 군의 비교에서는 굴곡(p-value=0.001) 및 전체 ROM (p-value=0.011)가 1군에서 좀 더 유의한 증가폭을 보였으며 신전, VAS, MEPS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은 수술 후 임상적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굴곡 및 전체 ROM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in patients with mild or moderate primary elbow osteoarthritis (OA).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were compared with that of arthroscopic both compartments debrid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46 patients diagnosed with elbow OA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or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arthroscopic surgery. Of these, 27 patient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procedure: group 1 (n=16)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surgery, and group 2 (n=11)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surgery. The elbow flexion-extension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 scale (VAS),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were analyzed for the clinical outcome before surgery and the last follow-up visit after surger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15-32 months). All clinical outcomes (ROM, VAS, and ME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compared to those before surgery (p<0.05) in both groups. Group 1 showed further improvement in flexion (p=0.001) and total ROM (p=0.011) than group 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 VAS, and MEP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primary elbow OA,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compartment mini-open technique produced an excellent clinical outcome after surgery and was particularly helpful in increasing flexion and the total ROM.

      • KCI등재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에서 관절경적 제 위치 봉합술 시행 후 임상 결과와 구조적 연속성에 대한 비교 : 퇴축형과 비퇴축형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강준호(Jun Ho Kang),서한얼(Han Eol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목적: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을 퇴축형과 비퇴축형으로 분류하여 관절경적 제 위치 봉합술 후 임상 및 구조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부터 2020년 5월까지 Ellman grade III 이상의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 받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열된 힘줄의 종단의 위치에 따라 33예의 퇴축형군(retracted group)과 18예의 비퇴축형군(non-retracted group)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 The shoulder rating scal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Murley score, 시각적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임상적 기능과 통증을 평가하였다. 수술 6개월 이후 촬영한 자기공명영상에서 Sugaya 분류법을 이용하여 봉합한 회전근개건의 구조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전 마취 하에 측정된 견관절 운동범위는 퇴축형군에서 전방 거상 145.2° (110°–150°; ±11.22°), 외전 143.1° (80°–150°; ±17.34°)였으며, 비퇴축형군에서는 전방 거상 136.5° (80°–150°; ±19.67°), 외전 125.7° (80°–150°; ±37.84°)로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orward elevation, p=0.015; abduction, p=0.019). 수술 후 UCLA와 constant score는 퇴축형군에서 각각 13.04점, 20.70점, 비퇴축형군에서는 13.39점, 26.51점으로 모두 향상되었다(UCLA retracted, p=0.012; nonretracted, p=0.007; constant score retracted, p=0.018; non-retracted, p=0.018). 수술 후 임상적 기능 점수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UCLA, p=0.774; constant score, p=0.331). 수술 6개월 이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평가상 양 군에서 각각 2예의 재파열 소견이 관찰되었다. 퇴축형군과 비퇴축형군의 Sugaya 분류법을 이용한 술 후 회전근개 건의 연속성 평가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18). 결론: Ellman grade III 이상의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에서 건의 퇴축된 정도에 관계없이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제 위치 봉합술을 시행했을 때 최종 추시에서 만족스러운 기능적 개선과 구조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Patients with bursal side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PTRCTs) were divided into a retracted group and a non-retracted group. The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in situ repair we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8 to May 2020, 51 patients diagnosed with an Ellman grade III bursal side PTRCT and underwent arthroscopic in situ repair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rty-three cases were classified as the retracted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traction of the torn edge of the tendon, and eighteen cases as the non-retracted group. The shoulder rating scal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Murley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were used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before surgery and at the final follow-up. The structural outcomes of the repaired tend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Sugaya’s classification in a postoperative 6-mon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measured under anesthesia immediately before surgery was 145.2° (110°–150°; ±11.22°) in forward elevation and 143.1° (80°–150°; ±17.34°) in abduction in the retraction group and 136.5° (80°–150°; ±19.67°) in the forward elevation and 125.7° (80°–150°; ±37.84°) in abduction in the non-retraction group,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forward elevation, p=0.015; abduction, p=0.019). After surgery, the UCLA and constant scores were improved to 13.04 and 20.70 points in the retracted group and 13.39 and 26.51 points in the non-retracted group, respectively (UCLA retracted, p=0.012; nonretracted,p=0.007; constant score retracted, p=0.018; non-retracted, p=0.018).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2 groups in the postoperative clinical scores (UCLA score, p=0.774; constant, p=0.331). Postoperative 6-month MRI showed 2 re-tears in each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ing th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uff tendon using Sugaya’s classification between the retracted and non-retracted group (p=0.118). Conclusion: Arthroscopic in situ repair using suture anchors can lead to satisfactory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retraction of the Ellman grade III bursal side PTR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