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케트 후기 작품 < Play >의 메타연극적 특성 연구 -발신자의 수행적 발화와 수신자의 역치적 개입을 중심으로-

        서종현 ( Seo Joung-hyun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이름 그대로 자기반영적인 연극인 베케트의 후기 작품 < 연극(Play) >(1962)은 작품의 언어적 기능과 무대적 효과를 통해 관객의 지각적 판단을 활성화하는 작업 과정에서 매번 새롭게 의미가 생성된다는 특성이 있다. 연극성 자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연극에서의 메타방식은 실제/가상, 무대/관객의 경계적인 대립 관계를 초월하며 연극을 바라보는 관객들의 자의식을 드러내 보이는 현재 지점에서 지속해서 관객들의 현상학적 경험과 상호작용한다. 본 연구는 < Play >가 지닌 메타적 특성이 텍스트/독자, 무대/관객 간의 탈경계적 상호작용을 유발하며 작품 의미 생산의 역학적 반응으로서 수행적 효과를 창출하는 점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작가의 전기를 회고하며 베케트의 작품이 우연한 과정 속에서 타자의 언어를 빌려 그 의미가 구체화되는 메타적인 구조를 취하도록 집필되었음을 밝혀 낼 것이다. 이후 본 연구는 < Play >의 메타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데 주요한 첫 번째 단서인 언어학적 담론에서 ‘수행적 발화’를 정의한 존 오스틴(John Austin)의 이론을 통해 발신자의 발화행위에 담긴 수행적 영향력을 분석한다. 둘째, 공연학적 담론에서 ‘무대의 물질성이 창출하는 수행력’을 개념화한 에리카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이론을 통해 수신자와의 역치적 개입을 유도하는 극적 형식을 파악한다. 이렇듯 본 연구 방향성은 베케트 작품의 신화적 암시와 시학적 문체에 천착한 기존 문학적 사상에서 더 나아가 공연학적 체험 관점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베케트의 후기 작품을 연구하는 간학제적인 접근방식이 재평가되고, 베케트의 작품이 다양한 독자/관객들에게 더 풍요롭게 읽히기를 기대한다. As its name suggests, Beckett’s later work Play(1962), a self-reflective play, has a characteristic that new meaning is created every time by activating the audience’s perceptual judgment through the linguistic function and the stage effects. The meta-critics in the Play, raising the question of theatricality itself, transcend the boundary confrontation between real/virtual, stage/audience, and continues to interact with the phenomenal sensation/perception of audiences at present, revealing their self-consciousness. According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meta-characteristics of Play induce de-centred interactions between text(stage) and readers(audience) to create performative effects as a response to producing the meaning of work. By reflecting on the author’s biography, the study will reveal the facts that Beckett’s work has a meta-structure in which its meaning is embodied by borrowing the language of others under the accidental process. As a first clue to identifying the meta-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tive effects of the teller’s speech act through John Austin’s theory, which defines ‘performance utterance’. Second, it grasps the theatrical form of inducing liminal intervention with receivers through Erika Fischer-Lichte’s theory of conceptualizing the ‘transformative power generated by materiality on the stage’. As such, the direction of this study stems from the performance-based experience away from the existing literary ideas attached to the mythical allusions and poetic style of Beckett’s work.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tudying Beckett’s later works can be reevaluated, so that they can be read more abundantly by various readers/audiences.

      • KCI등재

        부조리극 서사의 수행적 가능성 -외젠 이오네스코의 < The Chairs >를 중심으로-

        서종현 ( Seo¸ Joung-hyun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본고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서사적 특징과 수행성 개념을 바탕으로 드라마 연극의 관습을 거부한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 The Chairs >(1952)의 서사가 지닌 수행성을 탐색한다. 포스트드라마 흐름 속에서 연극텍스트에 관한 논의는 주로 연출가의 글쓰기나 공동창작의 글쓰기 작업에 집중된 반면에 극문학은 과거의 논의 대상으로 치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는 포스트드라마 현상이 극문학을 연구 대상에서 등한시 하는 흐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제안한다. 특히 ‘반-연극’이라는 용어 그대로 연극적 관습에 대한 자기해체와 자기반성을 의도하는 부조리극의 서사에는 내용(이야기)보다 표출 방식/행위(이야기하기)가 중요하고, 서사의 의미는 능동적으로 작품 구성에 참여하는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보된다는 점에서 본고의 논지를 전개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있다. 본고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부조리극의 연극사적 의의, 작가의 의도, 철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나아가 부조리극 텍스트의 짜임을 서사의 내용과 서사의 표출 방식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고는 부조리극 서사의 양면적 기능을 확장하고 부조리극 서사가 지닌 수행적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발견은 재현과 현존의 대립에서 비켜 서있는 극문학의 서사가 지닌 가치를 재고하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고의 성과를 바탕으로 포스트드라마의 지각방식이 더욱 다양한 유형의 극문학에 적용되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formativity in the narrative of the absurd play, Eugene Ionesco’s < The Chairs >(1952) that rejected the convention of dramatic plays, based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postdramatic theatre and the performative concepts. While discussions on theatrical text in the flow of post-drama focused on either director’s or co-creative writing, plays tend to be dismissed as a subject of the past. This study reflects the postdramatic phenomena neglecting plays as research topics.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hat in the narrative of absurd plays that intend to self-destruct on the theatrical convention, the way of expression/ action(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tent(story), and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s secured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producing work. Moving forwar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dentifying the theatrical significance, author’s intentions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absurd plays,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re of absurd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narrative and the way of it is expressed. In this sense,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two-sided function of the narrative of absurd plays and discovers its performative potential. This discover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nsiders the value of plays that escape the confrontation between presence and mimesis. From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perceptual strategy of post-drama can be applied to more diverse types of plays.

      • KCI등재

        탈(脫)중심화된 등장인물 연구 -사무엘 베케트의 Happy Days(1961)를 중심으로-

        서종현 ( Seo Joung-hyun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7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작품의 효시로 간주되는 사무엘 베케트의 후기작품에 등장하는 탈(脫)중심화된 인물의 언어적/비언어적 메시지에서 특정한 의미 발견의 가능성에 관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하여, 등장인물의 분열된 정체성이 담아 내는 작품의 주제적인 의미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베케트의 후기작품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작품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친 포스트모던 연극의 미학을 핵심적으로 살펴보고, 그 중심요소로 탈중심화된 등장인물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해 엘리노어 푹스(Elinor Fuchs)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베케트의 Happy Days(1961)에 등장하는 주인공 위니(Winnie)의 분열적 징후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인간 심연의 무의식 세계를 상징적/기호적 체계로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적 개념들이 활용될 것이다. 정신분석학적 비평은 인간 심리의 작동원리와 인간의 행동양식을 그 의도나 목적과 관계없이 하나의 언어적 체계로 재현해내는 데 그 효용성이 있다. 의미체계의 불확정성을 갖는 포스트모던 작품 속에서 새로운 대안의 의미론적 가능성을 찾는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포스트모던 현상 속에서 탈중심화된 등장인물이 전달하는 이해할 수도, 표현할 수도 없는 언어적/비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의미체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시도가 연극실천가들에게 좋은 영감이 되기를 바라며 향후 전통극의 등장인물 연구와 마찬가지로 간학제적인 방향에서 더욱 활성화되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a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particular meaning in the decentralised character’s inexplicable verbal/non-verbal messages in Beckett’s later work,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a postmodern plays.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 of Beckett’s later work,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s of postmodern theatre before it reviews the concepts of decentralised characters by Elinor Fuchs’s dispersal idea of self and her allegorical criticism. For interpreting the divisive signs of Winnie in Happy Days, this study utilises psychoanalytic concepts that analyse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human abyss as a semiotic and symbolic system. Psychoanalysis mainly helps represent the working principles of human psychology and behaviour into a specified linguistic system regardless of its intention and purpose. This study is original because it seeks the new alternative semantic possibilities in the postmodern works showing the undecidability of the semantic system. Thus, the attempt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good example for theatre practitioners. Hopefully, this research could be further activated in the interdisciplinary discussion, like studying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dra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