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일보(Seo, Il Bo)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비대면 교양수업을 경험한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실태 및 수업만족도 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비대면 교양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수 81명과 수강한 경험이 있는 재학생 560명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학습경험, 몰입도, 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수강의도, 그리고 향후 비대면 교육의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첫째, 학습경험의 수업내용과 평가, 몰입도, 성취도, 수업만족도에서 교수와 학생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인 중 평가를 제외하고 학생이 교수에 비해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 다. 그 결과 교수자의 경우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취도, 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고 학생은 몰입도,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수와 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의 보완사항으로 교수는 상호작용이 결여된 수업 지행, 학생은 영상콘텐츠의 질 개선을 요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비대면 교양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erived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status and class satisfac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81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 running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nd 560 current students who have taken such classes were the research subject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learning experience, immersion,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continuing course intent, and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regarding class content, evaluation, immersion,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who appeared to have this percep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professor and student to derive factors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As a result, in the case of instructor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were derived from achievement and interaction, and for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mmersion, and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as a complement to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e professors demanded that the classes be conducted without interaction, whereas the students demande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video content. In this study,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future.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중간시험이 학습잡념과 노트필기 및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 ( Ilbo Seo ),강이철 ( Echeol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분절 당 7-8분 정도의 온라인 학습콘텐츠 4개를 학습하는 동안 학습 과정 중 학습내용과 관련된 시험치기 학습활동이 학습 과정(학습잡념, 노트필기)과 학습 성취(즉시시험, 지연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14명(실험 1: 45명, 실험 2: 69명)을 대상으로 무선할당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과정에 충실히 참여한 109명(실험 1: 42명, 실험 2: 6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 중간 활동의 조건에 따라 분절 1-3 동안 강의 콘텐츠를 학습 후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n = 21)과 4번째 분절의 즉시시험만 치는 통제집단(n = 21)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실험 2에서는 분절 1-3 동안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n = 23)를 추가하여,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n = 22)과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n = 22)과 같이 세 집단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피험자들은 중간 활동 조건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습 단계가 끝날 때마다 학습잡념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응답했고, 학습 종료 후 제공한 학습자료에 핵심내용을 작성하였는지 확인하였다. 학습 성취는 분절 1-3까지 학습을 하는 동안 집단 간 상이한 중간 학습활동이 분절4의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절 4의 즉시시험과 2주 후 지연시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이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보다 낮은 학습잡념과 우수한 즉시시험, 지연시험 결과를 얻었다. 실험 2에서는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의 학습잡념이 가장 높았고, 즉시시험에서는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와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높았고, 2주 후 지연시험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 내 중간시험 삽입이 학습잡념을 낮추고 학업 성취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olated testing on the learning process(mind wandering, note-taking) and academic achievement(immediate test, delayed test) while taking a video-recorded lecture that was divided into four segments(7-8 min each). A total number of 114(exp. 1 = 45, exp. 2 =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of 109(exp. 1 = 42, exp. 2 = 67) students who fully participated were used for analysis. In experiment 1, half of the students were tested after each lecture segment(experiment group = 21), and the other half were tested after the fourth lecture segment(control group = 21). The experiment 2 was conducted in three groups, as experiment group 2(n = 23) which re-studied during segments 1-3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n = 22) that solves the arithmetic problems, and the experiment group 1(n = 22) that took the intermediate test. While learning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activity conditions, subjects responded to whether mind wandering occurred at each end of the learning phase and checked whether they wrote notes on the learning materials provided after the learning was completed. Learning achievement was compared with the immediate test of segment 4 and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mediate learning activities on the test of segment 4 when learning up to segments 1-3. As a result, in experiment 1, the experimental group(tested) obtained lower mind wandering and higher immediate test and delayed test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non-tested). In experiment 2, the mind wandering of the control group(non-tested) was the highest, and in the immediate test, the experimental group 2(restudy) and the experimental group 1(tested) were higher. In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experimental group 1(tested) obtained excellent results. These two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simple act of interpolating online lectures with memory tests can help students sustain attention to lecture content in a manner that discourages task-irrelevant mind wandering, and improves learning results.

      • KCI등재

        학점인정 MOOC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 구성요인,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간의 관계

        김희은 ( Hee-eun Kim ),서일보 ( Il-bo S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학점인정 MOOC 환경에서 콘텐츠 구성요인(콘텐츠 요인, 기술요인, 운영요인),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콘텐츠 구성요인(콘텐츠 요인, 기술요인, 운영요인),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K 대학교의 2019년 2학기 학점인정 MOOC 수강생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50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2.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ias-corrected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sup>2</sup> =129.19, df = 57, RMSEA = .08, TLI = .93, GFI = .96, CFI = .97로 양호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의 구성요인인 콘텐츠 요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은 콘텐츠의 구성요인인 콘텐츠 요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성과를 증진하기 위한 학점인정 MOOC의 운영 전략 수립에 있어 콘텐츠 구성요인,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의 중요성과 콘텐츠 교수설계 전략뿐만 아니라 MOOC 학습환경을 고려한 학습법 교육이 함께 수반되어 학습몰입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 행동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ontent components(content factor, technical factor, operating factor), interac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content components(content factor, technical factor, operating factor), interac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in MOOC for credit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the students who were taking an MOOC credit based course offered by K University in Seoul, Korea, 2019 and 250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SPSS 22.0 & AMOS 24.0 was utilized for analyzing data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fit of model has a good level( χ<sup>2</sup> =129.19, df = 57, RMSEA = .08, TLI = .93, GFI = .96, CFI = .97), meaning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content components of content facto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flow. Third, learning flow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 on learning performance. Fourth, learning flow mediate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content components of content factor and learning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operation strategy of MOOC for credits and next research necessary to keep verifying learner behavior based objective variables to get reliability of model.

      • KCI등재

        대학 인문교양교육의 수업만족도와 수업효과 성장에 대한 PRIME-인문학 진흥사업의 학과 개편 효과 : 2시점 유사종단 연구

        김무영(Kim, Mu Young),서일보(Seo, Il Bo)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PRIME-인문학진흥 사업에 따른 학과 개편이 인문교양교육의 수업만족도와 수업효과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B대학에 재학 중인 2,090명(2017년 1,075명, 2018년 1,015명)을연구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동일 설문을 실시하여 2시점 유사종단자료를 구축하였다. 학과유형에 따른 종속변인의 성장궤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3수준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인문교양교육수업만족도의 경우, 초기 수준은 확대·신설학과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성장모형분석 결과, 비교집단은 역성장을 보이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장을 보이지 못했지만, 확대·신설학과집단은 유의한 성장을 보여 학과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인문교양교육 수업효과의경우도 초기 수준은 확대·신설학과 집단이 낮았지만 1년 사이 두드러진 성장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forming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PRIME-CORE project on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learning outcome. The samples were taken from 2,090 university students and this research compared the growth of dependent variables for 2 years (2017~2018) among three different student groups. 3-Level Multi-level Modeling was adapted to find the effects of reforming departments on outcome variables. In the case of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s first level was low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growth model, comparison groups showed negative growth or did not show significant growth. However, the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growth in 2018, and a difference was found in the growth of satisfaction maturity during the 2017-2018 period among the three groups. Also, the same results were found on the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