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제내용의 유표성이 발화의미 결정에 끼치는 영향

        서유진 ( Seo Yuji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1 텍스트언어학 Vol.51 No.-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en Einfluss des propositionalen Gehalts auf die Äußerungsbedeutung, der als Sprechhandlung realisiert im Satzmodus oder in explizit performativen Formeln impliziert ist. Nachdem zuerst ein kurzer Überblick über die Markiertheit unter dem semantischen Aspekt gegeben wird, folgt die Erweiterung der von den Kriterien von Greenberg, Hume und Givón ausgehenden Markiertheit-Deskriptoren (Markedness Descriptors) auf die pragmatische Ebene: [±Konventionalität], [±Präferenz], [±Frequenz], [±Vorteilhaftigkeit] und [±Kontextualität]. Anschließend wird anhand Beispielen untersucht, ob (verglichen mit unmarkierten Fällen) die Markiertheit des propositionalen Gehalts die Äußerungsbedeutung beeinflusst und welche Korrelation besteht. Als Ergebnis konnte zusammenfassend gefolgert werden, dass die Markiertheit des propositionalen Gehalts die direkte Illokution explizit performativer Formeln und von Satzmodi in eine andere transferieren, und die Intention des Sprechers stärken oder abschwächen kann. Die Bedeutung der Studie liegt darin, dass die Markiertheit der Phonologie auf die pragmatische Ebene übertragen wurde und dass gezeigt werden konnte, wie der propositionale Gehalt auch die Äußerungsbedeutung beeinflussen kann.

      • 병원 환경의 소셜로봇 개입 소셜로봇· 아동심리치료사의 협력 모델 제안

        서유진(Yujin Seo),정하나(Hana Jung),손명희(Meonghi So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병원에서 장기 치료를 받는 소아암 환자들의 일상을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및 아동심리학의 관점에서 탐구한 연구이다. 주된 연구 목적은 소셜로봇과 아동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아동심리치료사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탐색하고 소셜로봇과의 협력을 위한 효율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자가 직접 소아암 환자들의 일상에 참여하며 소셜로봇과의 상호작용을 관찰, 기록하고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심리치료사가 직접 관여하는 소셜로봇을 활용한 상담 세션을 기반으로, 연령, 진단 시기, 정서·행동 장애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소셜로봇을 병원 환경에 통합하는 데 있어 아동심리치료사와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장기적으로는 소아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셜로봇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소아암 환자의 사회적 행동

        황채린(Chaelin Hwang),서유진(Yujin Seo),손명희(Meong Hi So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논문은 소아암 환자가 소셜로봇과의 상호작용에서 보인 사회적 행동의 양상을 비교하고 상호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사회적 행동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삼성서울병원에서 소아암 환자 7인이 로봇 2대와 상호작용한 영상이 수집되었고 연구자가 그 영상을 관찰하며 참여자의 사회적 행동을 그 의도별로 추출 및 개념화하였다. 로봇과의 단기간 상호작용에서 참여자들은 각기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 양상을 보였으나 그 행동의 다양성은 적었다. 그러나 장기간의 상호작용에 참여한 한 참여자의 경우, 회기가 거듭될수록 사회적 행동 유형과 그 하위의 행동들이 확장되고 다양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로봇과의 상호작용이 소아암 환자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보완책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추후 대상을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명령문과 소망문의 구분 가능성 논의 - 화행의미 ‘소망’의 관점에서

        서유진 ( Seo¸ Yu-ji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2 No.-

        이 논문은 명령문과 소망문에서 화행의미 ‘소망’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두 문장유형을 어느 정도까지 구분할 수 있는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명령문과 소망문을 구분하기 위해 ‘소망’의 개념을 기존 화행론적인 입장인 ‘화자의 의도’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청자의 수용적 입장’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그 개념과 기능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돈하우저 Donhauser가 제안한 ‘소망 유형’을 토대로, ‘화자가 청자가 무언가를 해 주기를 바란다’는 요구적 소망과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기를 바란다’는 ‘비요구적 소망’ 혹은 ‘감정 표현의 소망’, 실제 세계에서 ‘실현 가능한 소망’과 ‘실현 불가능한 소망’으로 구분하였다. 그런 다음 명령문과 소망문의 경계 구분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그 기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첫째 각 발화가 지니고 있는 명제내용의 의미와 이에 대한 수신자의 통제성 여부, 둘째 화자가 청자에게 원하는 행위를 하게 하는 ‘사역성’과 실제 그 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 즉 실현 가능성 여부, 셋째 화자의 사역성과 관련해 그 행위 실현의 필수성 여부에 따라 각각 예를 들어가며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명령문과 소망문에 나타난 ‘소망’이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과 두 문장의 경계가 강도의 측면에서도 구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Unterscheidbarkeit zwischen den Satztypen Imperativ- und Wunschsatz unter dem Aspekt der Äußerungsbedeutung ‘Wunsch’. Dafür wurde der Begriff ‘Wunsch’ nicht nur hinsichtlich der traditionellen sprechakttheoretischen Sprecherintention, sondern auch bezüglich des Adressatenbezugs betrachtet. Auf Grundlage des Typs ‘Wunsch’ von Donhauser wurde in der vorliegenden Arbeit der Typ in vier Subkategorien eingeteilt bzw. ausgeweitet: ‘auffordernde Wünsche’, wobei der Sprecher sich von jemandem etwas wünscht; ‘nichtauffordernde Wünsche’ oder auch ‘expressive Wünsche’, wobei der Sprecher sich für jemanden etwas wünscht; ‘realisierbare Wünsche’ und ‘nicht realisierbare Wünsche’. Dabei wurden die Kriterien für die Unterscheidung zwischen den oben genannten Satztypen wie folgt definiert: erstens, die Bedeutung des propositionalen Gehaltes und die Kontrollierbarkeit des Agens; zweitens, der Wille des Sprechers und die Realisierbarkeit in der Realwelt und drittens, die Akzeptierbarkeit der Sprecherintention und die Notwendigkeit der Sprechaktrealisier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