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브젝트 관점으로 본 예술 승화와 트라우마 치유에 관한 회화연구 : -본인 연구 작품을 중심으로-

        서아진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폭력으로 불거진 트라우마(trauma)를 심리에서 완전하게 배제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관련된 사건을 재현하여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긍정화하는 작동 원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아브젝트(abject) 관점으로 본 예술 승화와 존 G. 알렌(Jon G. Allen)과 주디스 허먼(Judith Lewis Herman)의 트라우마 이론을 빌려와 작품 과정의 핵심 요소로서 탐구하고 있으며 예술 승화에서 말하는 카타르시스(catharsis)에 관하여 의문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한 문제 제기와 더불어 유년기 트라우마로 인하여 왜곡된 정서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자 하며 예술 승화와 트라우마 치유가 상호작용하는 이상적인 형태를 그리고자 한다. 예술 승화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발현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감정의 발현을 넘어서 감정을 통제하는 것이 치유로 향하는 길이며 작품의 역량을 안정적으로 펼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연구자는 주장하고자 한다. 여기서 통제란 감정을 억압하고 제지하는 게 아니라 올바른 감정의 역할로서 인도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연구자 작품 분석에 앞서 작품 기저에 폭력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헨리 다거(Henry Joseph Darger)와 자기 고백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과 같은 작가를 통해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겪은 트라우마가 정서에 미치는 작용과 그에 따른 작품 형식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며 그들 선행작가와 연구자의 작품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은 연구자 본인의 자전적인 경험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데 유년기 트라우마를 심상적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또 작품 이미지에 등장하는 소재와 형식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는 색면과 그 색면을 가로지르는 윤곽선에서 나타난 아브젝시옹의 경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 퍼즐의 규칙 체계를 상징계의 관점으로 분석했으며 결국은 연구자의 주체성 확립에 대한 욕구와 예술 승화로서의 갈망이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인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작품의 핵심 소재인 사일로 구조물을 기호계 코라(chora)의 개념을 통하여 사일로 구조물의 의미 해석을 개진하고자 하며 정서가 작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도 사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예술가의 정서에 따라서 작품 형식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주체의 확립은 정서적 통제에 있다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예술 승화의 중요한 요소로 감정적 발현이 작용하는데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한 한 사례로서 본 논문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감정의 발현은 자유를 표출하는 수단은 될 수 있으나 진정한 치유는 정서적 통제에 있다. 그것을 인지하고 작품활동을 한다면 혼란이 아닌 안정된 기반 속에서 작품 역량을 펼칠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다.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working principle that affirms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reproducing and specifically shaping related events rather than completely excluding or separating trauma caused by violence from psychology. The researchers are art sublimation and John G. from Julia Kristeva's point of view of the subject. It borrows the trauma theory of Jon G. Allen and Judith Lewis Herman and explores it as a key element in the work process, and raises questions about catharsis in art sublimation. In addition to raising such problems, we want to resolve the misunderstanding of emotions distorted by childhood trauma, and draw an ideal form in which art sublimation and trauma healing interact. The expression of emotions arising from art sublimation is raised, and the researcher argues that controlling emotions beyo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is the way to healing and the basis for stably unfolding the capabilities of the work. Here, control is not to suppress and restrain emotions, but to guide them as the right role of emotions.Prior to analyzing the researcher's work, writers such as Henry Joseph Darger and Tracey Emin, who have a violent aspect at the base of the work,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uma experienced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emotions and how the work format is developing. The researcher's work is based on the researcher's own autobiographical experience, which expresses childhood trauma with an image. In addition, the materials and forms appearing in the image of the work are analyzed by combining Kristeva's theory, and the content is to consider the boundaries of abjection that appeared in the color plane and the outline across the color plane. In addition, the rule system of the puzzl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mbolic world, and in the end, it was recogniz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researcher's desire to establish subjectivity and desire as an art sublimation interact. Finally, we would like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silo structure, which is a key material of the researcher's work, through the concept of a symbolic chora, and also think about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the work.Through these studies,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form of the work varies depending on the artist's emotions, and we were able to get a clue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was in emotional control. Emotional expression acts as an important element of art sublimation, and this paper is meaningful as an example of raising problems. The expression of emotion can be a means of expressing freedom, but the true healing lies in emotional control. If you recognize it and engage in work activities, you expect to be able to unfold your work capabilities in a stable foundation, not confusion.

      • 드뷔시와 라벨의 관현악 기법 비교 연구 : 바다(La Mer)와 라 발스(La Valse)를 중심으로

        서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현악 기법은 작곡가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 2의 창작’이라고 일컬어질 만큼 관현악 작품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는 일반적으로 ‘인상주의 음악’이라고 통칭하는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와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 음악, 그 중 관현악 기법에 대해 고찰해보고 두 작곡가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본고는 드뷔시의 <바다(La Mer)>와 라벨의 <라 발스(La Valse)>를 중심으로 그들의 관현악 기법적 특성에 대해 비교하였다. 드뷔시는 ‘음색적 주제’를 사용하여 악기의 음색에 대해 재조명하였으며 비교적 중·저음역대의 목관악기를 전면에 내세워 각각의 음색이 작품에 영향을 미치도록 작곡하였다. 그는 주제를 지지하는 배경으로 현악기군을 세부적으로 분할시키고 음향적인 측면이 강조되도록 처리하여 전경과 배경 간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라벨 역시 여러 가지 악기를 균형 있게 활용하여 색채감을 높인 주제를 제시하였다. 이때 ‘음색’은 가장 핵심적인 고려 대상이었다. 또한 복합적이고도 화려한 음향이 특징인 라벨의 배경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고 더불어 그의 음악미학에 적절히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드뷔시와 라벨의 음악에 있어 ‘음색’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두 음악 간의 유사성이 발견된다. 그러나 그들이 택했던 음색의 활용방법이나 배경의 구성방식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고는 드뷔시와 라벨의 관현악 기법에 대해 비교·분석해봄으로써 그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그들의 관현악 작품을 해석하고 연주함에 있어 하나의 실마리가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