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의 이미지 차이 및 이미지 요인과 문양 선호도의 상관관계

        서송이 ( Song-yi Suh ),구원 ( Koo-won Suh ),김경선 ( Kyung-s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문양 디자인은 도자기, 패션, 생활용품 뿐 아니라 광고, 캐릭터, 공간 디자인 등 매우 폭 넓은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아직은 실증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하지만, 선행연구 결과들은 문양 디자인이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방법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 간의 소비자 인식과 이미지 평가어가 문양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1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도자 찻잔 꽃문양을 보고 자신의 의견을 설문지에 기입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17개의 이미지 평가어 중 10개의 평가어가 선호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개성적인 이미지와 감성적 이미지와 관련된 평가어 들이 포함되었다.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의 이미지 비교결과, 사실적 문양은 현대적 이미지와 관련된 평가어가 높게 나타났다. 양식화 문양은 감성적 이미지와 관련한 평가어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문양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이미지 평가어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꽃문양의 유형은 소비자의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 문양의 유형을 활용한 시장세분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정교화해주며, 산업적 측면에서 문화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문양 디자인과 이미지 평가어의 유용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문양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Pattern design has been widely adopted in .various industries not only porcelain, fashion, and daily commodities, but also advertising, character, and space design.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attern design has an impact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Metho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perception between realistic and stylized patterns, and the influence of image words on design preference, the study performed a survey with 130 adults living in Seoul.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fter exposure to floral patterns of a porcelain tea cup set. Result Results reveal that 10 image words among 17 words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oduct preference.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image words are included. Results of a comparison of image words between realistic and stylized pattern designs show that the realistic pattern is higher in modern image, while the stylized pattern is higher in emotional image. Conclusion The study empirically explains that there are various image words which influence on consumers` pattern preference. In addition, floral pattern design has an impact on consumers` perception on design image.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result suggests the usability of pattern design and image words for enhancing competence of cultural produc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consumers` perception on pattern design through an empirical evidences.

      • KCI등재

        디지털 캐릭터 유형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와 캐릭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식화 디자인과 사실적 디자인의 비교 -

        서송이 ( Song-yi Suh ),허정윤 ( Jungyoon H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4

        연구배경 디지털 캐릭터는 원 소스 멀티 유스(OSMU)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디지털 캐릭터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국내의 대표적 디지털 캐릭터인 카카오프렌즈와 라인프렌즈의 캐릭터 디자인을 선정하여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1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두 개의 디지털 캐릭터에 노출된 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동물의 형태를 단순, 과장하여 표현한 양식화 디자인이, 인물과 동물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디자인보다 익숙한, 부드러운, 따뜻한, 친근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익숙한, 부드러운, 클래식한 이미지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 디자인이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 디자인은 동물을 중심으로 양식화하는 것이 사실적 디자인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캐릭터 디자인의 이론적 모델과 실무적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는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Digital characters are perceived as new driving forces for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utilizing OSMU.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limited empirical studies in this related a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oretical and systematic studies regarding digital characters. Methods To investigate the image and preference for two types of digital characters, Kakao Friends and Line Frien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52 adult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Respondents were exposed to two types of digital characters, followed by a completion of the questionnaire. Resul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ylized design, featuring simplified and exaggerated characters of animals, had a higher level of image such as familiar, soft, warm, and friendly as compared to the realistic design, which are characterized by human beings and realistic animals. Moreover, familiar, soft, and classic images had an effect on character preferenc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designs of digital characters have an effect on the image and preference of characters. The research implies that a stylistic design of animals is more effective than a realistic design. Overall, the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theoretical models and practical strategies.

      • KCI등재

        공공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오리지널 캐릭터와 패러디 캐릭터가 캐릭터에 대한 애착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양시 ‘고양고양이’와 ‘괭수’의 비교 -

        서송이 ( Song Yi S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도시는 서비스의 실체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페르소나인 도시 캐릭터를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최근 EBS의 캐릭터 펭수가 대중에게 인기가 높아지면서 캐릭터 패러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에 활용되는 오리지널 캐릭터와 패러디 캐릭터의 효과와 캐릭터에 대한 애착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양시의 캐릭터 고양고양이와 패러디 캐릭터 괭수를 선정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162명의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t-검정과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오리지널 캐릭터가 패러디 캐릭터보다 매력성과 참신성이 높게 나타났다. 패러디 캐릭터는 오리지널 캐릭터보다 친숙성이 높게 나타났다. 흥미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캐릭터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력성과 흥미성으로 나타났다. 캐릭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력성, 참신성, 흥미성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매력성이 애착과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는 오리지널 캐릭터가 패러디 캐릭터보다 매력성과 참신성이 높아 애착과 태도가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시 캐릭터는 패러디 전략보다는 오리지널 캐릭터를 개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캐릭터의 패러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Background Emotional bonds can be formed through the persona of city characters as a way of experiencing the service of a city. Recently, the surging popularity of Pengsoo, a character created by EBS, has prompted character parod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original and parody characters as tools of public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s. Methods This study has chosen to analyze the effects of two specific characters of Goyang city: an original city character called Goyang-Goyang-Eeee, and a parody character, Gwangsoo.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62 adul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based on 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 Attractiveness and novelty was higher for the original character, while familiarity was higher for the parody charact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estingness between the two characters. Furthermore, factors influencing attachment were revealed to be attractiveness and interestingness, whereas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s appeared to be attractiveness, followed by novelty and interestingness. Among the four factors, attractiveness was found to be a common factor affecting both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s. Conclusion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attractiveness and novelty are greater for the original character, hence the greater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 Thus, the effect of original characters is greater than that of parody characters, in the case of city character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arodies of characters important for public communication.

      • KCI등재

        시니어 모델의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송이 ( Song Yi S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4

        Background Due to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ocial media today, senior models are emerging as brand endorsers. Advertisements featuring senior models increase consumer attention and are often used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by marketer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senior model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43 respondent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senior models. 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on two types of advertisements (senior models and younger models) to examine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Result Advertisements featuring senior models a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attention, novelty, and attractiveness, whereas perceived fit is found to be higher in advertisements with younger model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both types of advertisments. Conclusion To use senior models in advertisements, perceived f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This is because advertising mode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brand selection, especially among low-involvement products.

      • KCI등재

        브랜드 협업이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송이 ( Song Yi S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4

        연구배경 유통업체의 자체 브랜드가 브랜드 차별화 전략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레트로 브랜드가 편의점의 자체 브랜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협업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남녀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레트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품 선호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브랜드 유형과 제품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혁신성, 인지적 가치, 쾌락적 가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제품 선호도와 구매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제품범주 적합성이 높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제품 선호도와 긍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품범주 적합성이 낮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제품 선호도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레트로 브랜드 전략에 제품범주 적합성을 고려해야 하며, 브랜드가 혁신적이라는 점을 인식시켜 주어야 한다. 소비자는 레트로 브랜드를 쾌락적 목적이 아닌 기능적 목적으로 소비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 협업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과정과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해 준다. Background Private brands owned by retailers are a critical part of brand differentiation strategy. In particular, retro brands have recently been playing an essential role as private brands of convenience stor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brand collaboration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national sample of 154 adult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f retro brands on product preference. A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used to measure th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brand type and product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nnovation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product preference, followed by cognitive value and hedonistic value.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to exist betwee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with high product-category fit. However,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with low product-category fit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product pre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retro brand strategies should be designed to focus on product-category fit and to create awareness of retro brands as innovative brands. This study further indicates that consumers should become aware that retro brands are consumed for functional purposes rather than hedonic purposes. Conclusively,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s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consumers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regard to brand collaborations.

      • KCI등재

        지역특성을 활용한 농식품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메시지 관여도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서송이 ( Song Yi S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스토리텔링은 농촌 경제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는 농식품 브랜드 디자인의 중요한 전략적 수단이다. 농식품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은 원산지와의 연상을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농식품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에 따른 지각된 품질과 메시지 관여도의 차이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총 2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t-검정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지각된 품질과 메시지 관여도 모두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방법에 따라 메시지 관여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의 메시지 관여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저관여 제품 브랜드에서도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따라서 메시지 관여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성별에 따라 스토리텔링 기법의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브랜드 디자인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Background Storytelling is an important strategic tool for agricultural brand design, a key factor of rural economy. Storytelling of agricultural brands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duct differentiation through an association with the region of origi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message involvement according to agricultural brand storytelling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s among 252 respondents was analyzed by carrying out a t-test and a regression analysis. Result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show that perceived quality and message involvement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message involvement according to brand storytelling techniques and gender.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brand storytelling techniques of a low involvement product have an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enhancing message involvement. In addition, gender has 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storytelling technique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psychological responses to storytelling of brand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시니어 모델의 가치소구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임규리 ( Lim Gyu Lee ),서송이 ( Suh Song Yi ),강기웅 ( Kang Ke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최근 소비자 개인 중심의 가치소비 성향과 시니어 모델을 활용한 광고가 새로운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시니어 모델과 가치소비가 광고의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니어 모델의 가치소구가 소비자의 광고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자극물을 시니어 모델과 젊은 모델과 가치소구와 기능유형으로 분류하여 172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니어 모델의 가치소구 광고가 젊은 모델의 광고보다 참신성, 흥미성, 메시지 선호도, 공감도, 광고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젊은 모델의 메시지 소구 유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메시지 선호도, 모델 매력도, 광고 흥미성, 공감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니어 모델이 가치소구 광고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시니어 모델과 가치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개발에 기여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일반인 시니어 모델과도 비교해 보면 유용할 것이다. Recently, value consumption of individualistic consumers and senior models in advertising appear to be emerging trends. Despite the importance of senior models and value consumption in advertising, there is littl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particular research topi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value appeals of senior models on the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of advertising. This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among 172 participants with experimental stimuli of senior and younger models with value and functional appeals.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advertisements of senior models with value appeals were greater in terms of novelty, interestingness, message preference, empathy, and advertising preference compared to those of younger mode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message appeals of younger models. Factors affecting advertising preference was identified to be message preference, followed by model attractiveness, interestingness of advertisement, and empathy. Such results imply that advertising value appeals of senior models are eff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theory that explains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consumers regarding senior models and value consumption. Future research could take the proposed limitations into consideration and compare the results to those of senior models that are ordinary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포장 디자인의 시각적·언어적 요소가 소비가치와 메시지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 고관여 제품의 실증적 연구

        김경선 ( Kyung-sun Kim ),구원 ( Koo-won Suh ),서송이 ( Song-yi Su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최근 기업의 경쟁이 심화되고 제품 간의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다. 포장 디자인은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기능뿐 아니라 언어적 요소를 통해 소비자의 관여도를 높여 구매를 유도하는 설득적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품의 관여도에 따른 포장디자인의 시각적·언어적 요소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관여 제품 포장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가 소비가치와 메시지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과 일반인 188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과 t-검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고관여 제품의 포장 디자인은 기능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를 통해 디자인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메시지 관여도는 디자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제품 태도에는 기능적 가치, 진귀적 가치, 메시지 관여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태도와 제품 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제품 태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관여 제품의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언어적 요인은 기능적 가치와 메시지 관여도를 높여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시각적 요소는 진귀적 가치를 통해 디자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장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Background Recently, competition among industries have increased and product differentiation have become a greater challenge. Package design is not only based on visual factors, appealing to consumers`emotions, but also based on verbal elements to increase consumer involvement and eventually induce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Thus, empirical research regarding visual and verb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according to product involvement which affect consumer purchase decision is highly required. Methods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visual and verb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of high-involvement products on consumption value and message involvement.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188 individuals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and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ult Results show that package design of high-involvement produc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sign attitude through functional and epistemic values. On the other h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no influence on the message involvement. Instead, functional value, epistemic value, message involvement all had an effect on product attitude. Furthermore, while design attitude and product attitude both have 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product attitude was identified to have a greater effect between the two. Conclusion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and explains verbal elements which increase functional value and message involvement, eventually influencing product attitude. Meanwhile visual factors have an effect on design attitude through epistemic value.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consumer purchase process of package design, ultimately providing useful implications in term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