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방정보기술표준 일반 표준적합성시험 프레임워크 및 방법론 연구

        서민우,Seo, Minw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6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9 No.6

        Interoperability tests ar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network-based defense systems successfully share and exchange certain services, information, and data. We must examine various aspects of interoperability. The DITA (Defense Information Technical stAndard) is the basis for interoperability. However, DITA is being applied to the defense system in a state that the standard test methods and procedures are not established. And there is no test method and procedure of the DITA well applicable to military weapons systems or information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that includes procedures, methodologies, so as to test whether a standard is applied to the DITA in terms of Standard Conformance Test.

      • KCI등재

        Diffused Aeration System을 이용한 지하수 내 VOC 제거 효율성 평가

        서민우(Seo Minwoo),석희준(Suk Heejun),최두형(Choi Doohyoung),김진훈(Kim Jinhoo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9 No.2

        Diffused Aeration System (DAS) 기법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지하수를 양수하여 반응조 내에서 폭기시킨 후, 액체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기체로 전이시켜 오염물질을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정화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내 TCE 농도가 높은 2개 지역을 선정하여 3회에 걸쳐 DAS 기법의 적용성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반응조에는 각각 17.1, 44.8, 76.5 l/min의 속도로 공기를 주입하였으며, 시험 중 지하수 수질의 변화와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TC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처리후 배출되는 기체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TCE 농도는 6~8 min 만에 최고 농도로 배출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천천히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TCE의 농도 변화는 공기 유입 속도에 따라 매우 큰 변화를 보였다. 또한, 액체에서 기체로의 총괄물질전달계수 (KLa)를 산정한 결과, test 1, 2, 3에서 각각 0.444, 1.158, 1.836 1/hr였으며, 이로부터 공기 주입률이 빨라지면 DAS의 효율성이 높아짐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Diffused Aeration System (DAS) is one of the remediation methods use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groundwater and this method brings air bubbles in contact with contaminated water, afterwards transferring contaminants in liquid phase into air phase. In this study, three applicability tests using DAS were conducted in two highly contaminated sites. For these tests, diffused air bubbles are generated with a in-flow rate of 17.1, 44.8 and 76.5 (l/min),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CE in grounwater and air phase were measured during the tests. Th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CE concentration hit the highest value after 6~8 min and afterwards decreased gradually.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TCE concentration in air phase changed depending on the rate of diffused aeration. In addition, KLa values from liquid to air phase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test results and those of three tests (test 1, 2 3) were 0.444, 1.158 and 1.836(1/hr), respectively. From the comparison of KLa values, the faster air in-flow rate is,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the DAS is.

      • KCI등재

        대형 직접전단시험과 대형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조립재료의 전단강도 비교

        서민우(Seo Minwoo),김범주(Kim Bumjoo),하익수(Ha Ikso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1

        댐이나 항만 건설시 재료로 사용되는 조립재는 입자크기가 일반 토사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에 대해서 전단시험을 수행할 때에는 가급적 대형 전단시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대형 전단시험장치로는 일반적으로 대형 직접전단시험장치와 대형 삼축압축시험장치가 있으나 일반 토질시험장치와 비교해 제작과 보급, 운영 등의 어려움 때문에 현재까지 국내에서 두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한 실적은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축조재로 사용되는 입경이 큰 조립재료를 대상으로 시료의 평균 입자크기와 공시체 크기, 연직응력(구속압) 조건 등에 차이가 있는 총 6개 case에 대해서 대형 직접전단시험과 대형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고 두 시험간 전단강도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Mohr-Coulomb 강도규준에 의한 전단강도를 기준으로, 대형 직접전단시험을 통해 산정된 전단강도가 대형 삼축압축시험을 통해 산정된 전단강도보다 전체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또한, 1,000㎪ 수직응력에 대해 두 시험간 산정된 전단강도를 비교한 결과 대형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전단강도가 대형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전단강도보다 약 10∼70% 크게 나타나 입경이 작은 일반 토사와 비교해 그 차이가 크고, 대형 직접전단시험결과의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particle sizes of the coarse materials used in dam or harbor constructions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typical soils, it is desirable that large shear testing apparatuses are used when performing shear tests on the coarse materials to obtain as accurate results as possible. Two large-scale shear testing apparatuses, large direct shear testing apparatus and large triaxial shear testing apparatus, are commonly used. Currently in Korea,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cases in which shear tests were done using the large apparatus due to mainly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diffusing, and operating them. In present study, both large direct shear tests and large triaxial shear tests were performed on the coarse materials, which are used as dam fill materials, for 6 test cases in which particle sizes, specimen sizes, vertical pressure (confining pressure) conditions were little different, and then, the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compared with the two different shear test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by the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overall the shear strength obtained by the large direct shear tests was larger than that by the large triaxial shear tests. Moreover, the shear strength under the normal stress of 1,000 ㎪ was about 10 to 70% larger for the large direct shear tests than for the large triaxial shear tests, revealing the larger differences in the coarse materials, compared to typical soils.

      • KCI등재후보

        캄보디아 공교육의 현황과 한계

        서민우(Seo, Minwoo)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18 국제문화연구 Vol.11 No.1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education and culture in Cambodia. For these purposes, I focus on the history, current state, and limits of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was begun much earlier before the French protectorate by Buddhist Monastery. However, the modern public education was installed by the Frenc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Passing the independence and Khmer Rouge regime, it has faced many twists and turns. Since the 1980s, Cambodia state has tried to modernize the country through public education and has achieved in its quantity, but it has a long way to go in its quality. I try to read it with the ‘Mandala scheme’, the political scheme in ancient Southeast Asia. In the dynamics between ‘Manda’-powerful countries and ‘la’-Cambodia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Manda’, individual leaders and ‘la’- people who have always placed periphery in the state political level- decide the quality of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의 교사 겸 연구자와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 전국과학전람회(1949-1970년대)를 중심으로

        서민우(Minwoo SEO)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해방 이후 약 한 세대에 걸쳐 독자적 지식 생산 체계를 건립하기 위해 부심한 초중등학교의 ʻ교사 겸 연구자ʼ들의 활동을 스케치함으로써 포스트식민 사회의 교육과 지식 생산의 관계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교사 겸 연구자들은 초중등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공인된 지식을 전수해야 할 임무가 있었으나 식민지의 지배적 지식 생산 체계가 붕괴한 뒤 독자적인 지식 생산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은 지식 생산과 재생산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었다. 해방 이후 한 세대 가까이 이어진 이러한 상황을 지금껏 과학학자들은 주로 현대적 과학적 제도와 인력의 출현, 과학과 기술의 착종, 통치 권력과 경제적 자본의 헤게모니 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들과 결을 달리하여 이 논문은 지식 생산과 재생산의 경계가 흐려진 가운데 과연 어떤 지식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또 어떻게 유통되었는지 탐구하려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인도의 지식 통치를 연구한 크리스토퍼 베일리나 그의 접근 방식을 과학사로 확장한 사이먼 셰퍼와 같은 학자들이 개척한 ʻ정보질서(information order)ʼ 개념을 활용할 것이다. 과학사에서 정보질서는 전문가들과 엘리트들이 공식적이고 형식화된 지식 생산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존할 수밖에 없는, 그럼에도 그러한 지식 생산 체계의 수면 아래에 있어 잘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자생적 정보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 주목한 교사 겸 연구자들의 활동은 공식적이고 형식화된 지식 생산 체계와 지역의 자생적 정보 네트워크가 교차하는 영역에 놓여 있어 어느 하나의 개념으로 포착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정보질서 개념을 ʻ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ʼ라는 개념으로 변형할 것이다. 초중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겸 연구자들이 창출한 지식은 전문적 지식 생산자들의 눈에는 여전히 비공식적 정보질서의 산물에 가까워 보일 수 있었으나 지역의 주민들이나 학생들이 보기에는 분명 공식적 지식 생산체계의 언어로 씌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ʻ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ʼ라는 개념은 이처럼 상이한 인식적 네트워크들의 교차점에서 생성된 지식의 이중성을 드러내기 위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교사 겸 연구자의 본분이 지식 생산자가 아닌 만큼 이들의 활동이 대부분 활자화되지 못하고 사라지기 일쑤라는 점이다. 이 글은 그들의 활동을 어렴풋이 더듬어볼 수 있는 사료로서 해방 이후 거의 매해 시행되어온 전국과학전람회에 주목한다. 전국과학전람회는 오랫동안 학생들과 교사들의 아마추어 전시에 불과하다는 오명을 써왔다. 그러나 이 연구의 관점에서 보자면 바로 그런 이유로 교사 겸 연구자들의 활동과 그 활동의 바탕인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드문 공간이었다. 이 정보질서의 부상과 쇠퇴를 좇는 것은 해방 이후 한국의 포스트식민 지식 생산 체계의 이행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제안으로 이 글의 말미에서는 교사 겸 연구자들과 과학고등학교의 관계, 그리고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와 시민과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 Historians and sociologists have analyzed the (re)building of the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of the liberated Korea, largely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cientific institutions and personnel, the amalga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tatist and capitalist hegemony in so-called ʻscience-technology(과학기술).ʼ However, they have rarely paid attention to how and which specific knowledge was produced and circulated, and that much worse in the context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ystems. Yet, those who could be called as the teacher-cum-researcher in the colonized and postcolonial Korea, were at the center in (re)building the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often became blurred and porous. The deficiency in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usually led teachers at school not just to draw upon any information available from books and experts for their pedagogic purposes, but to garner and produce various forms of useful knowledge in their local contexts, alone and together, often with the help of their students and neighboring residen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ed new light on that knowledge systems and their reproduction by following the practices of a couple of groups of those teacher-cum-researchers, roughly between 1949-1970s. Here, the focus is put on the National Science Fair, wher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were annually invited to present their observations,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in order to promote the scientific spirit in postcolonial Korea. The Science Fair is a very rare case for historians and sociologists of science in Korea, it is argued, to be able to look into how and which scientific knowledge was produced and circulate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eaching situated between the official knowledge-making systems and the local information orders, that is the information order of the teaching-led research of the postcolonial education syst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