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세변화에 따른 피드백 호흡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교철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termine whether feedback breathing exercise in position changes might increase the pulmonar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Thirty-on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n=10), 45˚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n=10),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n=11)〕. During four weeks, each group participated thirty minutes for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pre-value and post-value measurement chest length(chest length for resting, chest expansion) and pulmonary function(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vital capacity, tidal volume,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chest length for resting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chest length for resting was significant in the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for resting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2. In comparison of chest expansion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chest expansion was significant in the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chest expansion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3. In comparison of F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VC was significant in th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4. In comparison of FEV1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EV1 was significant in the 45˚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EV1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5. In comparison of FEV1/F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EV1/FVC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EV1/F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6. In comparison of PEF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PEF was significant in th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PEF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7. In comparison of 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VC was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8. In comparison of T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TV was not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9. In comparison of ER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ERV was significant in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ER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10. In comparison of IR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IRV was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IR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chest expansion,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 In comparison of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 was more improved. In conclud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 helped improving function of pulmonary volume and respiratory muscle, and thus it indicates that the functions will be more improved through the continued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고, 0도 누운 자세와 45도 앉은 자세와 90도 앉은 자세에서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feedback breathing device exercise: FB)를 이용한 호흡기계 물리치료가 폐 기능과 흉곽의 크기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뇌졸중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0도 누운 자세 실험군,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으로 무작위 그룹 배정을 하였다. 각 실험군은 기본적인 운동치료 30분과 각각 세가지 자세각도에 따른 피드백 호흡운동 30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은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후에 흉곽 크기(휴식시 흉곽길이, 흉곽 확장)와 폐 기능(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최대 호기 속도, 폐활량, 평상시 1회 호흡량, 호기 예비 용적, 흡기 예비 용적)을 측정하여 중도에 탈락한 11명을 제외한 3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휴식시 흉곽 길이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2.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흉곽 확장이 실험 후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노력성 폐활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4.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자세 실험군에서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6.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최대 호기 속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7.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폐활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8.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평상시 1회 호흡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9.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호기 예비 용적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10.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흡기 예비 용적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0도 누운 자세 실험군,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피드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흉곽 크기와 폐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특히,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더욱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앞으로 계속해서 90도 앉은 자세에서 꾸준한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의 적용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증진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복합호흡훈련이 뇌졸증 환자의 폐기능 및 호흡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서교철 대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termine whether complex breathing exercise might increase the pulmonary function, muscle activity of the patients with stroke. Fourty-Fiv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complex breathing exercise group(n=15), feedback breathing exercise group(n=14), control group(n=16)]. During eight weeks, each group participated thirty minutes for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pre-value and post-4 weeks value and post-8 weeks measurement by pulmonary function(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vital capatity, tidal volume,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trapezius, latissimus dorsi,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 The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FEV1/FVC, TV changes during maximal inspiration in relation to their position. In particular, sitting in the complex breathing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And, for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hemiparetic upper trapezius, rectus abdominis muscle in the respiratory training group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other groups. Breathing and respiration,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omplex respiratory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higher than feedback training group. In summary, it seems that a breathing exercise of a certain intensity and duration to strengthen respiratory muscles, using a breathing assistant tool, helps to enhance a pulmonary function and activation of the respiratory muscles, along with a therapist’s direct inspiratory resistance training and a patient’s active expiratory resistance training, by increasing pulmonary ventilation and improving movement of the chest wall and muscular activation of the abdominal muscle. It is expected that a combination of various breathing exercises would enhance respirato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뇌졸중은 다양한 장애를 일으키는데, 특히 호흡기능 장애로 인해 신체적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호흡훈련을 통해 질병으로부터 초래된 장애를 최소화시키고 기능적 향상을 시키는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호흡훈련이 폐 기능과 호흡근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뇌졸중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복합호흡 훈련군 15명, 피드백 호흡훈련군 14명과 대조군 16명으로 무작위 그룹 배정을 하였다. 복합호흡 훈련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과 피드백호흡운동 15분, 횡격막 호흡운동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운동을 결합한 운동을 15분 구성하였고 피드백 호흡훈련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과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을 30분을 구성하였으며, 대조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은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실험 4주후, 8주후에 폐 기능(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최대 호기 속도, 폐활량, 평상시 1회 호흡량, 흡기용량, 호기 예비 용적, 흡기 예비 용적)과 호흡근 활성(승모근, 광배근,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폐기능 검사측정에서는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평상시 1회 호흡량에서 복합호흡훈련군이 두 군보다 더 유의하게 증진을 나타났다. 또한 체간 호흡근의 근활성도에서는 마비측 상승모근, 마비측 복직근에서 호흡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나타났다. 특히 호흡훈련군에서 복합호흡훈련군이 피드백 호흡훈련군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흡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과 강도로 호흡근의 강화시키는 노력성 호흡훈련과 치료사의 직접적인 저항성 흡기훈련과 환자의 능동적 호기성 저항운동을 통해 폐의 환기를 증가시키고 흉벽 움직임의 향상과 복부근의 근활성을 통해 폐 기능과 호흡근 활성의 증진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계속해서 복합호흡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향상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유아교육 기관별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교철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아교육 기관별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