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버스운전자 성별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빈미영(BHIN, Miyoung),손슬기(SON, Seulki) 대한교통학회 2018 大韓交通學會誌 Vol.- No.-

        본 연구는 버스운전자 성별(전체, 남성, 여성)에 따라 사고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첨단운전자 지원시스템 우선도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통사고자료는 도로교통공단「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이용해 3년 동안(2014-2016년) 경기도 31개 시 ‧ 군에서 발생한 가해 시내 ‧ 시외버스 사고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모형으로 성별 채택 변수를 1단계로 검토한 후, 순서형 로짓(Ordered Logit)모형을 이용해 성별 사고심각도 모형을 분석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분석결과, 전체 및 남성운전자 분석에서 동일하게 신호위반변수와 차대차변수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채택되었으며, 운전자가 신호위반을 할수록, 차대사람 사고일수록 중상 및 사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운전자는 변수가 채택되지 않았다. 심각도 모형 분석결과, 신호위반 변수가 세 유형에서 모두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전체운전자 모형과 남성 운전자 모형 모두 설명변수로 차대사람, 과속 및 중앙선 침범이 동일하게 선정되었으며, 남성운전자 모형에서는 도로형태항목 중 교차로변수가 추가적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여성운전자 모형에서는 버스유형항목의 시외버스와 법규위반 항목의 안전거리미확보변수가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버스운전자 성별 사고심각도에 따른 첨단운전자 지원시스템 도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raffic accident severity according to gender (All, Male, Female) of bus drivers, and to propose a method for future introduction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Traffic accident data was gathered from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of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of accidents caused by local/inter city buses in 31cities of Gyeonggi-do Province within 3years (2014-2016) of tim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first reviewing the gender variable with the decision tree model, then analyzing the accident severity according to gender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show that light violation and vehicle to vehicle variable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both All and Male drivers, and that the chances of severe injuries and casualties increase the more the driver violates the traffic lights, and the less the accident is a vehicle to vehicle typ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elected variable for female drivers. Results of the severity model analysis show that light violation variable holds significance in all three categories. In both All and Male category, Vehicle to Pedestrian, Speed violation, and Median Encroachment we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 In the Male category, Intersection variable was additionally selected. Also, Intercity bus and Safety distance violation were selected as unusual variable for Female drivers. Thus, with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offers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accident severity of each gender.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연구 : 판교제2테크노밸리 통근자 중심으로

        빈미영(BHIN, Miyoung),조창현(JOH, Chang-Hyeon),손슬기(SON, Seulki)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6

        자율주행 차량 기술을 이용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성공적인 사례들이 세계 여러 도시들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AVTS)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은 아직도 기술적 이슈나 안전에 대한 고려 등에 한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AVTS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은 AVTS 공급 이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AVTS 이용에 따른 긍정적인 변수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을 선별해 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AVTS에 대한 선호는 결국 AVTS와 다른 교통수단 간의 이익을 전체적으로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본 연구는 Plackett-Burman(PB) 실험설계에 의해 구성한 선호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자들이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선호에 각 교통수단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어떠한 것들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2019년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근무하는 통근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통근자들은 저렴한 AVTS 요금, 전체 통근시간 30분 미만 혹은 90분 이상의 경우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 더해, 통근자들의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는 현재 이용 교통수단과 개인 특성들에 의해 추가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successful experiences of transit services using th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become a trend in mega cities worldwide. Most discussions on such Autonomous Vehicle Transit Service (AVTS) are yet limited to technological issues and safety concerns. Potential providers of the AVTS are to assess the users’ response to the AVTS in advance of the service launching. Existing studies typically attempt to find salient factors of the AVTS choice among pro-AVTS variables. However, the preference for the AVTS is, after all,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benefit between the AVTS and other transport modes. The paper aimed to develop a preference model by analyzing the data of preference fo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journey to work, given characteristics of a car and a transit with the AVTS. The data is collected in 2019 from the commuters working in Pangyo 2nd Techno Valley of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ommuters prefe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lower AVTS fare and the commuting duration shorter than 30 minutes or longer than 90 minutes. The preference is also affected by the current mode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도심부도로 자율주행차 운행 대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IoT 교통안전시설 효과평가 연구

        빈미영(BHIN, Miyoung),손슬기(SON, Seulk)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6

        자율주행차가 앞으로 몇 년 안에는 일반차와 혼재되어 교차로가 있는 도심부에서 운행할 것인데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서는 도로상의 주행규제정보를 제공하는 IoT교통안전시설 설치와 보급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IoT교통안전시설이 실제 도로상에 설치되었을 때의 효과평가를 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도로를 구현하여 도로안전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IoT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였을 경우와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VISSIM을 활용해 자율주행차 도입비율(0%, 10%, 30%, 50%, 70%, 100%)에 따라 구간별 링크의 밀도, 지체, 속도, 교통량, 상충이 개선되는지, 교차로 연료소모량, 차량지연, 대기열길이를 평가하였고 SSAM을 활용해 시나리오별 상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oT 교통안전시설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모두 자율주행차 도입비율이 높아질수록 도로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IoT 교통안전시설이 없을 때, 자율주행차 100% 도입시 자율주행차 0% 대비 링크의 지체는 31.2%, 노드의 대기열길이는 31.7%, 상충은 14.5%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IoT 교통안전시설이 있을 때, 자율주행차 100% 도입시 링크의 지체는 26.9%, 노드의 대기열길이는 29.1%, 상충은 16.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oT 교통안전시설 중 속도제한표지를 설치했기 때문에, IoT 교통안전시설 설치 전에 비해 설치 후 링크와 노드의 효율성이 개선되지는 않았으나, 총상충건수와 차량1대가 경험하는 상충건수는 설치 후에 더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속도제한 정보로 인해 구간의 속도가 규칙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상충건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urgently needed for a saf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 to install and supply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at provide the information of driving regulation on the roads, given the expectation of the mixed traffic of autonomous vehicles and ordinary vehicles on the crossroads in the city center in a couple of yea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a method to evaluate the road safety and efficiency of IoT traffic safety facilities using a simulation where the facilities are virtually installed on the real roads. The current study employs VISSIM to evaluate the density, delay, speed, traffic volume, conflict mitigation, fuel consumption on the crossroads, congestion, and que length according to the autonomous vehicle installation ratios of 0%, 10%, 30%, 50%, 70% and 100%, given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the installation of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e study also employs SSAM to analyze the conflicts by scenario. The analysis found that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roads are improved when the autonomous vehicle installation ratio increases with and without IoT traffic control devices respectively. When no IoT traffic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the link delay, node que length, and conflict are improved by 31.2%, 31.7%, and 14.5%, respectively, from 0% to 100% of autonomous vehicle introduction. Also, when IoT traffic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the link delay, node que length, and conflict are improved by 26.9%, 29.1%, and 16.5%, respectively, given 100% of the autonomous vehicle introduc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speed limit, an IoT traffic control devices, no improvement of link and node efficiency is achieved after the installation of IoT traffic control devices.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and the number of conflicts per vehicle are improved after the installation. This may imply that the speed limit information systematically reduce the link vehicle speed and after all, affect the number of conflicts.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연구 : 판교제2테크노밸리 통근자 중심으로

        빈미영(BHIN, Miyoung),조창현(JOH, Chang-Hyeon),손슬기(SON, Seulki)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6

        자율주행 차량 기술을 이용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성공적인 사례들이 세계 여러 도시들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AVTS)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은 아직도 기술적 이슈나 안전에 대한 고려 등에 한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AVTS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은 AVTS 공급 이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AVTS 이용에 따른 긍정적인 변수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을 선별해 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AVTS에 대한 선호는 결국 AVTS와 다른 교통수단 간의 이익을 전체적으로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본 연구는 Plackett-Burman(PB) 실험설계에 의해 구성한 선호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자들이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선호에 각 교통수단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어떠한 것들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2019년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근무하는 통근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통근자들은 저렴한 AVTS 요금, 전체 통근시간 30분 미만 혹은 90분 이상의 경우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 더해, 통근자들의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는 현재 이용 교통수단과 개인 특성들에 의해 추가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successful experiences of transit services using th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become a trend in mega cities worldwide. Most discussions on such Autonomous Vehicle Transit Service (AVTS) are yet limited to technological issues and safety concerns. Potential providers of the AVTS are to assess the users’ response to the AVTS in advance of the service launching. Existing studies typically attempt to find salient factors of the AVTS choice among pro-AVTS variables. However, the preference for the AVTS is, after all,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benefit between the AVTS and other transport modes. The paper aimed to develop a preference model by analyzing the data of preference fo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journey to work, given characteristics of a car and a transit with the AVTS. The data is collected in 2019 from the commuters working in Pangyo 2nd Techno Valley of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ommuters prefe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lower AVTS fare and the commuting duration shorter than 30 minutes or longer than 90 minutes. The preference is also affected by the current mode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정류소기반 버스승하차 통행량변화의 지역적 특성분석

        빈미영(BHIN, Miyoung),손슬기(SON, Seulki),조창현(JOH, Chang-Hyeon)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4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의학적으로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으로 정의된다. 2019년 말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는 경제 및 사회활동을 위한 이동이 멈추었고 미래학자들은 몇 년 주기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발생될 때 사람들에게 교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감염병확산으로 인해 사람들의 이동패턴을 파악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코로나19로 인한 대중교통이용 변화패턴을 파악하고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여 대중교통이용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이동패턴 변화의 가장 민감한 시기였던 2020년 상반기를 중심으로 경기도 버스이용패턴 변화를 분석하고 지역특성과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인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인한 통행변화 영향은 환승이 이루어지는 대규모의 정류소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확진자수가 증가하면 중심지역보다 경제적으로 비활동적인 주변지역에 위치한 정류소의 통행량이 증가하며, 반대로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감소하면 주변지역 보다 산업 혹은 경제활동이 활발한 중심지역의 통행량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기존의 이용자를 대량으로 집적화하고 운송하는 효율성측면의 교통체계에서 전염병 감염 등과 같은 상황을 대비하여 안전성을 고려하는 교통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COVID-19 virus is a type of virus that can infect human and many kinds of animals. It is defined as a Respiratory Syndrome by SARS-CoV-2. COVID-19 halts human movements for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over the world. The futurologists predict such pandemic would occur periodically in every few years. The research on human movement patterns in reactions to such disease spread is therefore required.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it use under COVID-19 and provide the base for an appropriate transit policy. The paper analyzed change of the bus use pattern in Gyeonggi Province and its relationships with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eriod of early 2020 when the movement pattern was vulnerabl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findings are following. Firstly,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reduction of bus use frequency tended to heavily focus on the large-sized bus stops. Secondly, the increment of newly confirmed cases of COVID-19 induced the increment of the number of passengers using the bus stops in the peripheral area of less frequent economic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decrement of the number of newly confirmed cases increased bus use volume of bus stops at the central part with industrial and economic activities more active than peripheral. These in turn suggest a shift of the focus of transportation policies from the efficiency of mass passenger collecting and transportation to the safety to avoid the infe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