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45년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에 관한 연구

        서종태 ( Seo Jong Tae ),변주승 ( Byeon Ju Seou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본 논문은 한국천주교회사나 지역사의 입장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1845년 페레올((Ferreol) 주교·다블뤼(Daveluy) 신부·김대건(안드레아)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우선 함께 입국했던 선교사들은 그들의 상륙 장소를 `강경 항구` 또는 `강경 포구에서 좀 떨어진 외딴 곳`으로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1874년 달레는 상륙 장소를 강경 포구로 이해하는 강경포설을 제기했다. 그러나 기해·병오 순교자 시복 재판 때 최선정(베드로)이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강경 황산동네`로 증언한 기록을 토대로 1934년 피숑(Pichon) 신부는 상륙 장소를 강경포가 아니라 황산포로 이해하는 황산포설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황산포설은 상륙 장소를 `화산`으로 밝힌 나바위 본당의 기록을 자료로 활용하지 않은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한편 1882년 처음 형성된 나바위 공소 신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1953년 김후상 신부는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화산`으로 밝혀 화산설을 제기했다. 그러나 나바위 본당의 기록에는 상륙 장소를 `강경포`나 `황산포`로 밝힌 부분도 있다. 하지만 그는 상륙 장소를 `강경 황산포 화산`으로 분명히 밝혔다. 그러므로 나바위 신앙 공동체의 기록에서 상륙 장소를 강경포로도 황산포로도 화산으로도 언급한 것은 상륙 장소인 `강경 황산포 화산`을 지명도에 따라 각기 다른 단위로 표현한 것으로서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따라서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는 화산으로 보는 것이 옳다. 그리고 상륙 장소의 조건을 고려할 때 화산 중에서도 나암포 쪽이나 황산포 쪽에서도 보이지 않는 금강 쪽으로 쑥 내민 서쪽 자락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systemically investigated the disembarkation location of Bishop Ferreol, Fr. Daveluy and Fr. Andrew Kim Tae-gon(金大建) in 1845, which has a great historic significance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nd the local history. First of all, the missionaries who accompanied Fr. Andrew to Korea revealed that they disembarked at Ganggyeong(江景) Port or a remote place away from an entrance to Gyanggyeong Port. Based on the statement, Dallet suggested the theory of Gyanggyeong Port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Ganggyeong Port. However, St. Peter Choi Seon-Jeong(최선정) testified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Hwangsan(黃山) village in Ganggyeong in the beatification trial on the martyrs under persecution in the years of Gihae(己亥, 1839) and Byeongoh(丙午, 1846). Based on the testimony, Fr. Pichon proposed the theory of Hwangsan(華山)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Hwangsan Port rather than Ganggyeong Port.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the theory of Hwangsan since it did not consider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which mentioned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Hwasan. Meanwhile, Fr. Kim Hoo-sang suggested the theory of Hwasan in 1953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Hwasan,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that was founded in 1882. However, some of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mentioned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Ganggyeong Port or Hwangsan Port. However, he clearly revealed Hwasan of Hwangsan Port in Ganggyeong as the disembarkation location. Therefore, the terms `Ganggyeong Port`, `Hwangsan Port` or `Hwasan` in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we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since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expressed in different units depending on the well-knownness of the area. Therefore, it is right to consider Hwasan as the location at which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Given the conditions for disembark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act location was on the western edge of Hwasan towards Geumgang River that was hardly seen from the side of Naam Port(羅巖浦) or Hwangsan Port(黃山浦). (Jeonju Universty Dept.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s, seojong21@hanmail.net) (Jeonju Universty Dept.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s, solyong2@hanmail.net)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충청도 중심 강학 활동에 대한 연구

        서종태(Seo Jong Yae),변주승(Byeon Ju Seoung)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본 논문은 艮齋 田愚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펼친 실상과 그 특징, 그리고 그 배경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전우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23년 동안 거주하며 강학한 곳은 10개 고을 14곳이며, 순회하며 강학한 곳은 16개 고을 24곳이다. 이를 합쳐 살펴보면 모두 17개 고을 37곳이다. 이를 도별로 보면 충청도가 13개 고을 30곳, 경상도가 문경과 상주 2개 고을 5곳, 경기도 죽산과 전라도 고창이 각각 1곳으로,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우는 충청도 중에서도 湖論의 영향력이 적게 미치는 내포지역 이외의 고을에서 동문․처가․문인 등의 도움과 스승의 후광을 활용하여 강학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충청도의 26개 고을에서 가장 많은 113명이, 전라도의 10개 고을에서 30명이, 경상도 5개 고을에서 5명이, 서울․개성․경기의 3개 고을에서 3명이, 함경도․북간도의 8개 지역에서 29명이, 평안도의 6개 고을에서 9명이, 강원도의 1개 고을에서 1명이 각각 입문하였다. 전우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활발히 전개한 것은 그가 任憲晦의 학통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동문들 중 이탈자가 생기고 華西學派와의 갈등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어 그가 주도하는 임헌회 학통의 문인집단이 중대한 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파의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우는 임헌회의 문집 편찬을 주도하여 동문의 결속을 굳게 다지는 한편, 강학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강력한 문인집단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충청도에서 화서학파에 대항할 수 있는 문인집단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지역적 기반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uth,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Ganjae Jeonwoo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He did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15 places in 10 towns while living in those towns and 22 places in 14 towns while making the rounds for 23 years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total of 37 places in 18 towns. By provinc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31 places in 14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4 places in 2 towns of Mungyeong and Sangju in Gyeongsang Province, 1 town in Juksan in Gyeonggi Province and 1 town in Gochang in Jeolla province. This showed that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Jeongwoo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help from the same school, in-laws and scholars and in the glory of his master in towns other than Naepo area that was less influenced by the Horon (湖論)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his school was 113, the highest number, in 26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30 in 10 towns in Jeolla Province, 5 in 5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3 in 3 towns in Seoul, Gaeseong and Gyeonggi Province, 29 in 8 towns in Hamgyeong Province and North Gando(北間島), 9 in 6 towns in Pyeongan Province and 1 in 1 town in Gangwon Province. Jeonwoo proactively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because the scholar group of the Lim Heon-hoe(任憲晦) scholastic mantle that was led by him faced a crisis as some scholars of his school left during his succession to the scholastic mantle of Lim Heon-hoe and the conflicts with the Hwaseo School (華西學派) increased. To overcome such crisis faced by his school, Jeonwoo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by taking the lead in the compilation of literary works of Lim Heon-hoe, and form a strong group of scholars by actively develop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he established a scholar group that can confront the Hwaseo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expanding the regional base to the whol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