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김신영(Kim Shinyoung),백혜정(Baek Hye-Jeong)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6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청소년행복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첫째는 지수 개발에 앞서 ‘행복감’에 대한 국내외의 문헌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문헌검토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은 1) 행복감이란 무엇인가? 2) 행복감을 측정하는 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 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등이다. 둘째는 문헌검토를 토대로 한국청소년행복지수 산출을 위한 세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전국의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주성분분석을 통해 최종 행복지수를 구하였다. 개념 자체의 추상성으로 인해 포괄적(exhaustive)이고 상호배타적인(mutually exclusive) 영역의 구분은 불가능하지만, 국내 및 해외 문헌검토와 연구과정의 일부로 진행되었던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결과 한국청소년의 행복감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에 만족감 또는 평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경제적 안녕(economic well-being), ② 자신에 대한 만족(satisfaction with self), ③ 안전(safety), ④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 ⑤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s), ⑥ 정서적 안녕(emotional well-being). 6개 영역에서 총 40개의 개별 문항이 생산되었으며 최종 결과로는 영역별 점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점수의 증감, 각 영역이 최종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최종 행복지수 값의 집단별 비교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indicators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status of Korean youth. Also, this study intends to build so-called Korean Youth Happiness Index(KYHI, hereafter) using those previously developed indicators. Broadly speaking,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Firs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conceptual scheme of happiness itself" was asked and the extensive review o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literature has been done. The authors addressed such issues as "what is happiness in general?", "what kinds of indicators have been us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what are the components of people's happiness?". The second step was to develop concrete indicators for KYHI and finally the construction of KYHI was followed using national survey data. While acknowledging the inexistence of perfectly exhaustive and mutually-exclusive classification of sub-areas of any abstract concept, the authors argue that measuring the happiness of Korean youth can be achieved by indirectly measur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llowing six sub-areas: economic well-being, satisfaction with self, safety, academic achieve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Forty indicators from six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scores by areas, the changes in area scores by ages, the individual weights of each sub-area upon KYHI, and the KYHI scores by groups.

      • KCI등재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정(Kim Eun-Jung),백혜정(Baek Hye-Jeong)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3

          이 연구는 이혼 가정의 가족상실과 경제소득, 그리고 부모의 양육행동의 변화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 중 제 3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 3,44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이혼은 가정의 경제적 소득과 청소년기 자녀들에게 제공되는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혼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적 소득의 감소는 부모 양육행동의 양과 질을 저하시킴으로써 청소년기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이혼이라고 하는 가족 구조적 변화와 가족 소득의 저하 그 자체보다는 가족구조/소득 변화로 인한 양육행동의 변화가 이혼가정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제적, 구조적 측면에서 열악한 가정환경을 갖고 있는 청소년이라 하더라도 그들에게 질 좋은 양육행동이 충분히 제공된다면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rents" divorce on the family structure, income, education of youth, and self-esteem of youth. Specificall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during a survey of 3,449 high school freshmen as phase Ⅲ of the panel studies on Korean juvenil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divorce of parents on the family income and education of their teenage children. Moreover, the decreased income after the divorce was found to lowe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of the youth and adversely affect the self-esteem of youth in particular. Consequently, the changed education after the divorce, not the changed family structure and income, could be said to affect self-respect of youth. Therefore, the sufficient provision of quality education by parents who are divorced may help their youth build self-esteem even if their family income and family structure leave a lot to be desired.

      • KCI등재

        가정 밖 청소년들의 자립 모색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복지시설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은정(Kim, Eunjung),백혜정(Baek, Hye-Jeong),김희진(Kim, Heui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전국의 청소년복지시설을 이용하거나 이곳에서 생활하는 만 15세 이상 24세 미만의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가정 밖 청소년들의 자립 모색 과정을 분석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분석결과, 이들은 ‘1차 사회화 환경의 붕괴(인과적 조건)’로 인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있었고 그 결과 집을 나와 길거리 생활, 아르바이트, 빚/범죄에의 연루 등 ‘한국사회의 통상적인 청소년 사회화 과정 밖에서의 삶(맥락적 조건)’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생활을 하다가 ‘시설 생활을 시작(중심현상)’하여 신체적, 심리적 휴식 및 안정을 갖게 되면서 전환의 계기를 갖게 된다. 또한 시설을 통해 학업지도, 심리상담, 취업 관련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지원 및 지지(중재적 조건)’를 받게 되면서 청소년 자신도 ‘자립을 위한 노력과 시도(작용/상호작용)’를 하게 되어 자립(결과)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된다. 그러나 모든 가정 밖 청소년들이 이러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밟아 가면서 자립을 위한 기틀 마련이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갖게 되는 것은 아니었다. 각 단계마다 가정 밖 청소년들이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없는 다양한 난관이 있으며 이에 부딪혀 좌절하고 방황하면서 자립 의지가 꺾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가정 밖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제안은 이들의 자립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 단계에 존재하는 난관과 장애물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밖 청소년들이 처한 다양한 상황을 바탕으로 이들의 자립을 지원 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30 runaway and homeless youths residing in the youth welfare service centers had achieved self-reliance using grounded theory. Most interviewees ran away because they had been ‘badly cared and/or abused in their families and schools(Condition)’. They had moved out of home for safety, but instead ended up getting involved in violence, debt and crime and became homeless and were ‘off the normalized socialization track(Contexts)’. They were ‘admitted to the youth welfare service centers(Phenomena)’ and took it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lives. ‘Resources and support(Intervening Conditions)’ provided by the centers helped them to ‘search for a strategy(Strategies)’ to achieve ‘self-reliance and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Consequ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helping homeless teenagers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which they might have experienced in pursuing their goals of self-re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