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남 무형문화재를 활용한 지역춤 개발

        백유영(U-Young Baek),한아로(A-Ro Han),김대기(Dae-Gi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5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서천의 지역문화를 활용한 창작무용과 전통무용을 꾸준히 보존하기 위하여 춤과 교육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통문화 예술단 혼이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발표한 무용작품을 중심으로 문화자원의 중요성, 문화콘텐츠로써의 지역춤, 지역춤의 브랜드화를 중심으로 전통예술단 혼의 활동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한산세모시짜기와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이자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인 한산모시짜기에서 소재와 모티브를 찾은 창작무용극 『모시꽃피다.』를 연구 주제로 선정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인 서천 공작부채를 분석하여 공작선의 자루와 바람판을 활용한 부채 움직임을 개발하고, 음악적 요소로 중고재 판소리 명창 이동백 선생의 새타령 원 음원을 사용하여 전통춤『서천공작부채춤: 바람의 멋』을 연구 주제로 선정하였다. 충남 서천지역의 무형문화재 특성을 분석한 두 춤의 개발의 배경, 춤의 의미와 내용, 공연의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지역 무형문화재를 활용한 지역춤 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의미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무형문화재를 활용한 춤의 개발이 지역민에게 평화로운 삶을 제공하고 문화향유를 위한 기회로 확대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dance works presented by the soul of the traditional cultural arts group, which is active in dance and education, to preserve creative and traditional dances utilizing local culture in Seocheon, Chungcheongnam-do, with a focus on local culture. This study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on the creative dance play 『Ramie Flower Bloom』, which found the materials and motifs in Hansan Semosijagi, the 1st dance cultural property in Chungcheongnam-do and Hansan Mosijagi, a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ocheon Fanjang, the 12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Chungcheongnam-do, the fan movement using the sack and wind fan of the ship, and the traditional dance play that put Pansori Myeongchang"s new fan into the fan of the peacock"s bird, 『SeoSheon Peacock Korean fan dance: Wind of the Wind Fashion』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opic.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two dances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Seocheon, Chungnam, the meaning and content of the d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the meaning of the regional dance development using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how it would play a role The task was presented. Through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us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ll serve as a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providing a peaceful life for local people and expanding it as an opportunity for cultural enjoyment.

      • 처음 성경이 전래된 충남 서천의 역사자료를 모티브로 한 창작무용극 〈신비의 책〉 작품 분석

        백유영(U-Young Baek),추현학(Hyun-Hak Choo),한아로(A-Ro Ha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자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충청남도 서천지역에 성경책이 전래된 역사적 사실을 문헌 연구 방법과 학술논문 및 단행본, 학술 세미나 자료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은 순조 16년(1816) 7월 14일 비인현 마량진 갈곶(葛串)에 영국의 배가 표류했다는 사실과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성경책을 전달받았다는 점을 기록한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작품의 흥미 유발을 위해 역사·문화 소재들을 잘 엮어 스토리텔링 후 누구든 쉽게 공연작품을 접할 수 있는 모티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역사의 사실이 뚜렷하게 남아있는 특별한 사건이 지역 여건상(與件上) 관심을 받지 못한 상황이었다. 서천의 전문예술단체 전통예술단 ‘혼’과 안무자는 창작무용극 〈신비의 책〉 작품을 통해 성경이 처음으로 전래된 전 과정과 시대적 배경·의미를 대중성을 가미하여 재조명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 측 『순조실록』 문헌을 토대로 재현한 창작무용극 〈신비의 책〉은 서해안 마량진에 표류한 여러 가지 시대적 어려움과 극복, 역사적 사건들을 문화예술로 승화시켰다. 창작무용극 〈신비의 책〉 작품은 한국무용을 수단으로 지역 예술가들의 자발적 작품연구와 공연 실연을 오랜 시간을 통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누구나 쉽게 공연을 보고 공연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서천 지역만의 차별화된 지역 대표 콘텐츠이다. 더 나아가 창작무용극 〈신비의 책〉 작품이 문화 브랜드를 선도하고 다양한 파생상품 제작과 정보화 시대에 맞게 콘텐츠의 다양화 시도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er was able to find out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Bible was transmitted to Seocheon, Chungcheongnam-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cademic papers, books, and academic seminar data. The content is a record of the fact that a British boat drifted on Galgot in Maryangjin, Biin-hyeon on July 14, 1816, and that the Bible was delive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se materials can be used as a motive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the performance work after storytelling by woven historical and cultural materials to induce interest in the work. However, unfortunately, a special event in which the facts of history were clearly retained did not receive attention due to local conditions. Seocheon’s traditional art group ’Hon’ and the choreographer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examination by adding popularity to the entire process of the Bible’s first transmission an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time through the work of the creative dance drama 〈bible road〉. The creative dance drama 〈bible road〉, which was reproduced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Annals of Soonjo』, sublimated various periodic difficulties, overcomings, and historical events drifting in Maryangjin on the west coast into culture and art.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of the creative dance drama 〈bible road〉 was completed through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voluntary research and performance demonstrations by local artists using Korean dance as a means. It is a differentiated regional representative content unique to the Seocheon area where anyone can easily see the performance and understand the performance.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creative dance drama 〈bible road〉 will lead the cultural brand an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derivatives and attempts to diversify the contents to fit the information age.

      • KCI등재

        무용공연 관람요인에 따른 관람가치와 관람만족 관계

        백유영(U-Young Baek),조동민(Dong-Min Jo),이상호(Sang-Ho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이 관람객의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통하여 무용공연 관람객이 관람하는 원인이 무엇이고, 재관람을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무용공연 관람객이 기대하는 수준 높은 공연, 공간적 변화 및 브랜딩, 차별화 전략 등의 저변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전통 한국창작무용 공연을 관람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추출하였고, 선정된 모집단이 응답한 30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하여 SPSS Ver. 21.0과 AMOS Ver. 21.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2단계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3단계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이용하여 완전매개효과와 부분매개 효과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은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에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의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와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가치와도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공연의 관람가치는 재관람의도에도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과 관람가치의 관계에서 관람만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가치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은 재관람의도에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용공연의 관람요인과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무용공연은 시공간의 제약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무용공연의 대중화 실현을 위한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audience,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value. For data processing, SPSS Ver. 21.0 and AMOS Ver. The program of 21.0 was used.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analyzed using a two-step approach,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was verified using bootstrapping. In addition, a full mediating effec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ere presented using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iewing factors influenced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the viewing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viewing satisfaction had an intention to revisit and influenced the viewing value. It was also found that the viewing value had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factors of the dance performance and the viewing value, it was found that the viewing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attendance factor of the dance performance was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to revisi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viewing and the value of viewin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view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these studies, the dance performance should overcome the inherent limitations of space-time limitations and presen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id- to long-term marketing strategy that can respond quickly.

      • 지역발전을 위한 문화마케팅 활용과 지역공동체의 역할

        조동민(Dong-Min Jo),백유영(U-Young Baek),이상호(Sang-Ho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마케팅 방향과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공동체가 지역발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개개인이 문화적으로 활동하는 지역공동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공연을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233부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발전은 문화활성화에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발전은 소속감이 제일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마케팅 하위 요인 중에서 지역발전에 영향이 미치는 요인은 문화활성화가 제일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공동체 하위요인 중에서 지역발전에 영향이 미치는 요인은 소속감이 제일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마케팅 하위요인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가 인지하는 충족감, 소속감, 친밀감, 연대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각 지역의 문화자본을 활용한 문화마케팅으로 강력한 국제적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고, 지역의 경제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regional cultural marketing and how the regional community composed of cultures has an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examines the role of the regional community in which individuals are culturally active. The survey conducted 233 copies of audiences who watched the performance from March 1st to March 30th, 2021.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21.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gional development had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in cultural activ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had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sense of belonging.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marketing, cultural revitaliz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affects regional developmen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a sense of belonging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affects regional developme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cultural 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sense of satisfaction, belonging, intimacy, and solidarity perceived by the local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rough such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marketing that utilizes the cultural capital of each region will secure the power to grow into a strong international brand an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 브랜디드 콘텐츠 접근을 위한 창작 무용극 〈모시꽃피다〉가 도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김대기(Dae-Gi Kim),백유영(U-Young Baek),이형기(Hyeong-Ki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창작 무용극 〈모시꽃피다〉에서 제시되는 충남 서천지역의 한산모시와 공작부채의 브랜디드 콘텐츠가 세계적 브랜드화와 도시이미지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공감과 브랜드태도가 도시이미지 제고와 세계적브랜드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창작무용극 〈모시꽃피다〉를 관람한 333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도시이미지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크레이브티브 인게이지먼트, 미디어 인게이지먼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세계적브랜드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디드 인게이지먼트 속성과 도시이미지의 관계에서 소비자공감은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디드 인게이지먼트 속성과 세계적브랜드화의 관계에서 소비자공감은 크레이브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디드 인게이지먼트 속성과 도시이미지의 관계에서 브랜드태도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디드 인게이지먼트 속성과 세계적 브랜드화의 관계에서 브랜드태도는 크레이브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branded contents of Hansan Ramie and Seocheon Peacock’s fan in Seocheon, Chungcheongnam-do, presented in the creative dance drama 〈Mosi Flower Blossom〉, have an impact on global branding and urban imag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examine how consumer empathy and brand attitude play a role in enhancing urban image and making global brand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33 people who watched the creative dance drama 〈Mosi Flower Blossom〉 from March 1st to March 30th, 2021. For data proces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rand engagement has an influence on the image of the city. Second. Creative engagement, media engagement, and brand engagement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global brand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ed engagement attributes and city image, consumer empath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brand engageme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ed engagement attributes and global branding, consumer empath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reative engagement and brand engagemen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ed engagement attributes and city image, bra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brand engagement.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ed engagement attributes and global branding, bra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reative engagement and brand engage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brand engagement. appear.

      • 문화자원과 문화마케팅을 연계한 지역발전 방안

        조동민(Dong-Min Jo),백유영(U-Young Baek),박우영(Woo-Young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본 연구 목적은 문화자원를 기반으로 한 지역의 문화마케팅을 지역발전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 모색하고, 지역의 문화공동체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1년 3월 1일부터 5월 30일 까지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지역 내 문화공연을 관람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33명이 참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마케팅 하위요인에서 지역발전에 영향이 제일 높은 것은 문화활성화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문화시설확충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마케팅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충족감은 문화시설확충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문화마케팅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연대감은 문화활성화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문화마케팅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소속감은 문화활성화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문화활성화에서도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마케팅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친밀감은 문화활성화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문화시설확충에서도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마케팅을 통한 지역발전 방안과 지역공동체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link local cultural marketing based on cultural resources with regional development, and to study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local cultural community.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1 to May 30, 2021,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cultural performances in the reg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33 participants participating.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revitalizatio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sub-factors of cultural marketing, followed by the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a sense of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a sense of solidar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ultural revitaliz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a sense of belong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cultural revitalization. Al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cultural activation.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intim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ultural revitalization. Also,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ultural marketing using cultural resources and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were suggested.

      • 무용공연 관람자 특성에 따른 관람가치와 관람만족의 차이 연구

        조동민(Dong-Min Jo),백유영(U-Young Bae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5

        본 연구는 무용공연을 관람한 관람객의 선택 특성을 중심으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무용공연에서 관람객 특성을 고려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무용공연이 대중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심화된 예술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충청남도에서 진행한 무용공연을 관람한 관객을 대상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30부를 조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카이제곱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무용공연 선택 특성으로 분류된 3가지 유형에 따라 작품만족, 관람료 만족, 공연장 만족, 홍보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선택 특성으로 분류된 3가지유형에 따라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관람객 특성에 반영하여 후속 연구가 수행된다면 무용공연이 대중화될 수 있고, 심화된 예술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viewing and the value of viewing, focusing on th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viewers who watched the dance performance. Through these studie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on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in dance performances, and to create a basis for popularizing dance performance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an grow into deepened art. This study surveyed audiences who watched a dance performance held in Chungcheongnam-do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9, and used 230 copies for the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classified as dance performance selection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orks, satisfaction with admission fees,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venues,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rela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cognitive value according to three types classified as dance performance selection characteristics. If thes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and subsequent studies are performed, it is expected that the dance performance can be popularized and grown into a deepened art.

      • KCI등재

        충남 무형문화재 공작부채를 활용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김대기(Dae-Gi Kim),손지영(Ji-Yeong Son),백유영(U-Young Bae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문화 원형을 보존한 콘텐츠제작으로 가장 한국적인 이미지를 재고하고자 지역문화가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류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찾음으로써 지역을 대표하는 춤과 음악, 미술, 대중문화, 축제, 역사기록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원천으로 하였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창의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그 지역의 대표브랜드이자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세계화 시대에 지역 문화자원의 원초적 근원을 찾고, 그에 대한 흔적을 보전하고자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춤 움직임을 통해 서천공작부채춤 모형을 콘텐츠 개발하였다. 현시대 보존가치가 있는 충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이광구 장인의 작품 서천공작부채는 둥근 모양 부채로 손으로 쥘 자루와 공작새 머리의 모양을 하고 있는 공예작품이다. 무형문화재인 공작부채 공예작품을 소재로 활용 제작된 다양한 예술 장르 개발이 문화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재들이 잘 엮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토리텔링 또한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 속에서 내려져 오면서 원형을 보존해온 충남 서천지역의 무형문화재 공작부채가 급속한 도시화와 현대화의 변화에도 지역의 관심을 받고 재조명되기 위해 개발된 지역춤 콘텐츠로 총 4개 연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4개 연작의 형식은 독무, 2人무, 군무, 창작으로 이루어지며 각 작품의 제목은 기본 형태의 춤 <서천공작부채춤>, 남 · 녀사랑의 춤 <월 · 하 · 정 · 인>, 군무 형태의 춤 <바람의 멋>, 마지막으로 한국 창작 춤 <휘영>이다. 4개 연작의 공통점은 공작부채를 활용한 전통춤으로 각각의 춤은 형식이 다른 주제와 음악, 의상 및 무대등을 통해 고유한 정서와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다른 지역적과 차별화된 지역춤 콘텐츠 개발을 통해 콘텐츠로서 국제교류와 미니어처, 캐릭터 제작을 통해 문화상품으로서의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역경제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현장뿐 아닌 국제교류를 통한 세계화 작업을 통해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하여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재창조된 지역춤 콘텐츠 개발이 앞으로도 현대화 작업으로 꾸준히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지역적 차별화라는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화 작업을 위해 현존하는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이를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한다면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gional dance contents in order to receive attention from the region and re-illuminate the peacock fa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Seocheon, Chungnam, which has been preserved in history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face of rapid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representative four series are composed of one-person dance, two-person dance, military dance, and creative dance. The titles of each piece are basic dance 〈Seocheon Peacock Fan Dance〉, male and female love dance 〈Wol, Ha, Jung, and In〉, military dance 〈Wind Fashion〉, and finally Korean creative dance 〈Wheeyoung〉. The commonality of the four series is the traditional dance using peacock fan, and each dance showed unique emotion and atmosphere through different themes and music, costumes, and stage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regional dance contents re-crea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steadily revitalized through moderniz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our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have unlimited potential to contribute to enhancing region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long with the growth potential of regional differentiation. Through such research, i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are preserved for globalization and produced as content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lic, various contents besides regional dance using regional unique culture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