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백승준 ( Seung Jun Back ),강현경 ( Hyun Kyung Kang ),김선화 ( Sun Hwa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월 악산국립공원 용하계곡을 대상으로 용하구곡시문에 내재되어 있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 국립공원 내 구곡경관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시문을 통하여 자연경관요소를 도출한 결과, 너럭바위, 자연첩석, 맑은 물, 밝은 돌, 시냇물, 골짜기, 폭포, 소나무, 당 단풍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식생경관 요소로서 소나무와 당 단풍으로 도출되었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자연식 생은 67.5%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졸 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인공식생(18.7%)은 졸 참나무-일본잎갈나무군집, 신갈나무-밤 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밤나무군집, 관목림,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군집이 분류되었으며, 초지지 역(2.0%)은 참 억새군집, 갈대군집, 기타지역(11.9%)은 조경수식재지, 밭, 과수원,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용하구곡의 대표식생은 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이었으며 Shannon의 종 다양도 는 전체적으로 0.6274∼0.9908이었다. 용하구곡은 도통 계승과 자 연애의 표상이며, 조선말과 일제강점기의 위정척사 사 상이 담겨있는 청정지역으로 자연성이 높은 계곡경관의 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역사·문화적 구곡의 식생경 관 관리방안을 위하여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일본잎갈나무군집은 자연천이 유도를 위한 밀도관리가 필요하며, 자연 재해 및 인위적 훼손 시, 계곡 부 식생복원을 위하여 역사·문화적 식생경관인 소나무 중심의 식생복원계획이 적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Gugok landscap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y deducing the vegetation landscape factors inherent in Yongha Gugok and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e of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Yongha valley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re were broad and flat rocks, natural layered stones, clear water, light stones, stream, valleys, waterfalls,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s a result of deducing natural factors on poetry. There were P. densiflora and A. pseudosieboldianum appeared as one of main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The actual vegetat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natural vegetation occupied 67.5% and it was classified as P.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The artificial vegetation (18.7%) was classified as Q. serrata community-Larix kaempferi community, Q. mongolica- Castanea cren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L. kaempferi-C. crenata community, fruticeta, L. kaempferi-Q. mongolica community. The grassland area (2.0%) was classified a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other areas were classified as landscape tree planting area, farm, orchard, residential area.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were 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in Yongha Gugok.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was 0.6274 0.9908 on the whole. Yongha Gugok, as a symbol of succession on confucianism and reverence for nature, should be preserved natural valley landscape being clean and wijungchuksa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historical and cultural Gugok,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landscape maintenance with P. densiflora community, density control with L. kaempferi community. And it is considered when natural disasters and artificial damages happened, P. densiflora-oriented vegetation restoration plan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restore.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 녹지 ; 동강유역 미복원 매수토지의 식생 현황 및 관리방안 연구

        백승준 ( Seung Jun Back ),김주환 ( Ju Hwan Kim ),이수지 ( Su Ji Lee ),강현경 ( Hyun Kyung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수변구역은 상수원 수질관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수원 인접지역 하천변에 오염원을 제거하고,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지정되며, 수변완충지대로서의 기능을높이고, 녹지대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하는 시설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토지매수 제도를 도입하여 단계적으로 수변구역을 매수하고 있다(오바오로, 2014). 토지매수 제도는 1994년 농지법에서 처분의무기간 내에처분대상 농지를 처분하지 않은 농지의 소유자에 대하여6개월 이내에 당해 농지를 처분하여 농어촌진흥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에 의해 농지를 청구할 수 있는 매수청구제도를 신설하면서 시작되었다(박은경, 2014). 이후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에서 매수청구제도가 신설되어 토지매수제도가 시행되었다. 이에 수변구역으로 지정된 수변생태벨트에서는 토지매수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토지매수종합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토지매수 후 조성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군을 대상으로 동강유역 미복원 매수토지의 식생현황을 조사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식생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동강유역 중 강원도 정선군으로, 시간적 범위는 2014년 7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원주지방환경청에서 2003년부터 매수한 토지771필지 중 2010년 기준 지적도를 활용하여 토지지목 중과수원, 전, 답을 선정하고 현장을 확인하여 미경작지 143필지를 선정하였다. 식생조사에 있어 관목은 5m×5m, 초본은 2m×2m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18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Braun-Blanquet(1932) 척도계급으로 피도를 조사하였으며, pc-ord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WINSPAN(Hill,1979) 분석을 하였다.연구대상지인 동강은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정선, 평창, 영월 일대 약 51km를 흘러내려 남한강 상류로 흘러드는 강으로 1본류 6개 지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강의 자연환경으로 연평균 기온이 10.3℃, 연평균강수량은 1,029mm이며, 지형은 태백산맥의 서사면에 해당하는 곳으로 험준한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다. 감입곡류 하천으로 하안단구와 곡류 절단에 의한 구유로,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한 보호사면 특이한 지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강의 수질은 1등급이며 정선군 신동읍 덕천리에서 운치리 약2.95km 구간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동강은 여름철 피서객이 많이 찾는 레프팅 장소로 레크리에이션이 활발이 일어나는 관광명소이다. 조사된 필지는 정선군의 정선읍과 신동읍을 중심으로 정선읍 광하리 2필지, 귤암리 22필지, 가수리 39필지, 신동읍덕천리 9필지, 신동읍 고성리 28필지, 신동읍 운치리 43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출현식물 종으로는 개망초, 달맞이꽃, 쑥, 환삼덩굴이 넓은 면적으로 출현하였으며, 돌콩, 칡,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박주가리, 새팥 등이 조사되었다. 특히 관목형으로 비술나무, 시무나무, 산뽕나무 등이 출현하여 초본군집에서 관목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다. 피도를 통한 TWINSPAN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목유형(음나무군집, 비술나무군집, 산뽕나무군집), 초본유형(환삼덩굴 군집, 미국쑥부쟁이-쑥 군집, 큰김의털 군집)으로 6가지 유형이 분류되었다. 관목유형은 도로에서 하천으로 이어지는 둔치에서 조사되었으며, 특히 비술나무군집은 동강주변 강가나 계곡부에 자생하는 수종으로 자연성이 양호한천이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산뽕나무군집은 둔치에서 자연적 천이가 일어나고 있는 현황이었으며, 점차적으로 비술나무, 시무나무 등이 유입되어 비술나무 군집으로 천이될것으로 판단되었다. 초본유형은 대부분 사람의 이용이 빈번한 펜션 등 시설 주변에서 조사되었으며, 이는 인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환삼덩굴 등 덩굴성 식물과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달맞이꽃 등의 귀화식물들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낮은 피도로 신갈나무 등 참나무과 식물과 비술나무, 찔레꽃, 산뽕나무, 국수나무 등이 발견되어 덩굴 및 귀화식물을 관리하여 천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유형별 관리방안을 살펴보면 관목유형인 비술나무군집과 산뽕나무군집은 비교적 천이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므로, 순응형 자연천이 유도지역으로 초본층의 환삼덩굴, 돼지풀 등 위해식물을 개화결실 이전에 제거해주는 소극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초본유형인 환삼덩굴 군집, 미국쑥부쟁이-쑥군집, 큰김의털군집은 인간에 의한 간섭이 심하므로, 대상지 및 토지이용별 특성에 따라 생태학습장 또는 휴게시설로 조성하여 이용객에게 생태학습 및 휴식을 제공하며, 귀화종 및 위해식물은 적극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굴삭기용 무인조종로봇 신뢰성 보증 시험에 대한 연구

        백승준(Seung Jun Back),손영갑(Young Kap Son),김준희(Jun Hee Kim),이종철(Jong Cheol Lee) 대한기계학회 2015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9 No.4

        본 논문은 개발 중에 있는 굴삭기 무인조종 로봇을 대상으로 시스템 신뢰도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한 신뢰도 보증시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로봇 시스템은 위험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각 구성품의 신뢰도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세 가지 주요 구성품 각각에 대한 전용 시험 장비를 제작하여 가속수명시험에 사용하였다. 가속수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신뢰수준에 따른 보증할 수 있는 평균수명을 추정하고, 적은 시료 수를 사용하는 시스템 신뢰도 보증 시험법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the system reliability of an unmanned control robot system for an excavator. It then shows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qualification test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e robot system function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who control excavators in dangerous working environments, and the system reliability wa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reliabilities of the system components. Thus, test equipment for the three key units of the robot system were constructed and used in accelerated life testing. From the life testing results, guaranteed mean time between failures for the chosen confidence level was estimated, and the reliability qualification testing method of the robot system using small sample sizes was proposed.

      • KCI등재

        AHP분석을 활용한 수변구역 매수토지의 회복탄력성 중요인자 도출

        백승준 ( Seung-jun Back ),이찬 ( Chan Lee ),장재훈 ( Jae-hoon Jang ),강현경 ( Hyun-kyung Kang ),이수동 ( Soo-dong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수변구역 매수토지의 복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매수토지의 실질적 회복력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관련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34개의 회복탄력성 예비항목을 추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생태적 대응력 7개, 물리적 대응력 6개, 관리적 대응력 4개 인자를 도출하였다. 둘째, 확정된 주요인자에 대한 신뢰도 분석,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수토지에 복원된 식생의 구조적 안정성, 야생동물종다양도, 야생동물 구조적 안정성, 토지매수 후 복원시 습지의 규모, 출현 식물 종수, 매수토지와 인접한 주변 토지피복 현황이 중요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변구역의 토지매수, 복원, 관리단계별 회복탄력성 강화인자를 고려한 생태적 복원과 관리계획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ference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to analyze the actual resilience of purchased land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toration of the purchased land in the riparian zone and quantitatively calculating its importa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34 potential resilience facto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ncompassing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and derived seven ecological responsiveness factors, six physical responsiveness factors, and four managerial responsiveness factors through the Delphi survey. Secondly, reliability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important factors: structural stability of the vegetation restored in the purchased land, species diversity of wildlife, structural stability of wildlife, the size of restored wetland after purchase, number of plant species, and the land cover status adjacent to the purchased land.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form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management plans reflecting reinforcing factors for resilience at each stage of land purchase, restoration,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