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층 다이아 그리드 구조의 실험적 내진성능계수 평가

        배재훈,주영규,김영주,김상대,Bae, Jae-Hoon,Ju, Young-Kyu,Kim, Young-Ju,Kim, Sang-Dae 한국강구조학회 2010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2 No.1

        최근 초고층 건물에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한 Freeform Structure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 형태는 Diagrid, Cantilevered, Tilted로 대변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이아 그리드 시스템은 횡저항에 하중의 흐름을 가새 프레임을 따라 분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그만큼 부재를 경량화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Diagrid 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반응수정계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없기 때문에 우수한 내진성능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기타구조 등으로 설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대형 실험을 통해 Diagrid 구조의 반응수정계수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A new freeform structure representing "Diagrid, Cantilevered, Tilted." which has been considered not only its distinctive appearance but also the structural advantages becomes one of the trends in tall building design. Especially in the Diagrid system, loads can be distributed through bracing frame so that it can be save the materials since it has more effective in the structure behavior. But the seismic performance index such a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is not clearly defined yet. Even though the diagrid is supposed to show higher seismic performance, it is underestimated due to the lack of reliable data. In this paper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for the diagrid system is experimentally explored.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하대 철불의 수용과 후원 세력

        배재훈(Bae, Jae-ho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신라 하대의 철조 불상은 9세기 중엽 경에 새로이 등장한 문화 요소이다. 이는 이전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당시의 불교문화를 표상하는 조형예술로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철불이 6세기경 등장하여 8세기 전반에 크게 유행한 반면, 신라는 이를 9세기 이후에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국의 철불 도입은 전황에 따른 금동령이 그 직접적 원인이었다고 하나, 신라 하대의 경우는 그러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철불에 사용된 주조 기술의 상당 부분은 이미 청동불에도 사용된 것이다. 신라는 철불 조성 초창기인 9세기 전반부터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대형 철불을 제작하는 데에 큰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철불의 수용에는 기술적 문제보다는 조성 재료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나 태도 변화가 더 중요한 문제였을 가능성이 높다. 철불이 본격적으로 제작된 9세기는 중국 남종선에 귀의한 승려들이 귀국하여 신라에 선종을 전파하기 시작하는 시점이었다. 그러나 초전 승려들은 철불 제작에 나서지 않았다. 철불의 제작은 이들보다 늦은 830년대 후반에 귀국하는 현욱, 혜철 이후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전승인 도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당시는 선종이 도입되고 10여 년이 지난 시점이다. 이들이 활동하기 시작하였을 때, 신라 사회에서 선종은 제도권 내로 어느 정도 편입될 수 있었다. 선종 승려가 국사의 지위에 오를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보다 20여 년 쯤 뒤에 활동하는 도헌에 이르러서는 대형 철불의 조성에 선승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신라 하대 철불 제작의 초기 중심지는 지리산의 실상사였고, 실상사 철조여래좌상은 그 시원에 해당한다. 9세기의 철불은 선종 사찰 뿐 아니라 화엄 사찰에서도 크게 유행하였다. 양자는 9세기부터 시작하여 고려 초기에 이르기까지, 서로 경쟁을 하듯 철불을 제작하여 봉안하였다. 그 중 명문이 남겨진 동해 삼화사의 예는 화엄종 계통의 사찰에서 이루어진 철불 조성 사례이다. 여기에는 형식적일 수는 있지만, 국왕의 발원과 함께 그가 파견한 중요 인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철불 조성 불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당시 삼화사의 불사에 참여한 대대덕 결언의 행적을 통해 볼 때, 화엄종의 철불 조성도 선종과 마찬가지로 일련의 혁신 세력에 의해 시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왕실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 신라 화엄의 계보를 정리하고, 초조를 정립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선종의 그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한편으로 철불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불상 조성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단월 세력의 지지 속에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은 매우 적극적인 불사의 후원자로서 선종 및 화엄종 계통 사찰의 중창과 철불 조성에 경제적,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초기 단계에는 유력 고승과 대형 사찰의 영향력을 해당 지방의 통치에 이용하고자 하는 왕실의 의도가 크게 개입되어, 철불 조성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9세기 말에 이르게 되면, 도헌의 봉암사 개창과 철불 조성의 예에서처럼 심충과 같은 지역의 유력 세력, 즉 호족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철불 조성 후원 세력의 변화임과 동시에 지방의 문화와 정치를 담지하는 세력의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무진주 시기 견훤 정권의 동향

        배재훈(Bae, Jae-Hoo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3

        견훤은 889년 신라의 서남 주군에서 봉기하여 무진주를 점령하였고, 892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였다. 무진주의 확보는 그에게 일정한 영역에 대한 독점적 지배, 그에 속한 지방 통치 및 군사 조직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견훤은 비교적 빨리 정권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 무진주 시기 동안 견훤은 완산주와 웅천주 등으로의 진출에 성공하고, 대외적으로는 당의 오월 지역에 입절사를 파견하는 등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신라의 서면도통이라는 지방관을 자처하여, 반란군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정연한 군사·행정조직의 도움 속에 이루어진 것으로, 봉기 초반 무혈에 가까운 형태로 진행된 무진주 점령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견훤은 상주 출신의 신라 무관으로 무진주에는 재지적 기반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민들이 그가 세운 정권의 성격과 정통성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했다. 따라서 정권 차원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물 중의 하나가 전라도 지역에 남아 있는 견훤의 재지 출생 전승일 것이다. 이를 통해 그는 마한에서 백제를 거쳐 전승되던 미지의 왕에 대한 탄생담에 현실의 지배자인 자신을 결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무진주 치소를 견훤 정권의 도읍으로 변모시킨 도성 체계의 도입 실험은 후백제를 표방한 이후 새롭게 건설한 전주 도성에 적극 활용된 유용한 경험이 되었을 것이다. 48년 동안 지속된 견훤 정권에서 무진주 시기는 비교적 짧은 기간이었다. 하지만, 그 동안의 안정은 이후의 30여 년 동안 견훤 정권이 굳건한 바탕 위에서 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주었다. 무진주라는 첫 도읍의 중요성은 이후에도 결코 간과되지 않았다. 천도 이후 이 지역의 통치는 그의 사위나 아들이 성주나 도독으로 담당하게 되는데, 이는 정권의 초기 기반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고려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Gyeonhwon(甄萱) occupied Mujinju(武珍州) with an armed uprising in the southwestern province of Silla(新羅) in 889,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government in 892. The occupation of the Mujinju area and its government offices gave him the opportunity to take advantage of his exclusive rule over the certain area and to activate local government and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later period of the Silla Dynasty. Through this, Gyeonhwon was able to stabilize the government relatively quickly. During this period, Gyeonhwon succeeded in advancing to Wansanju(完山州) and Ungcheonju(熊川州) based in Mujinju,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externally by sending an independent diplomat to the Wu-yue(吳越) region of the Tang Dynasty. He also succeeded in removing the perception that his troop was a rebel force by volunteering as a provincial official named Dū-tǒng(都統) in the western part of Silla. These efforts paid off with the help of the military and administrative help, well-organized. Gyeonhwon who was a Silla military official from Sangju, had a weak foundation for his support in Mujinju. Therefore, to overcome such weakness, the speculative story about his birth place may have been spread in Jeolla-do. Through this, he, the ruler in the reality, was able to associate himself with the subject of the birth story of an unknown king who was handed down from Mahan to Baekje. Meanwhile, the experiment of introducing Mujinju to the capital city of the Gyeonhwon government, which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city, is estimated to have been a helpful in constructing the newly-built Jeonju after calling his government ‘Hubaekje(後百濟, Later Baekje)’. The period of Mujinju in the Gyeonhwon regime, which lasted for 48 years, was relatively short. However, the stability during that time provided the foundation for making Gyeonhwon’s Hubaekje regime stand on a solid foundation for more than 30 years afterward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ujinju as the first capital city was never overlooked. His son-in-law and son continued to rule over this area. This reveals that not only the military importance that is containment against the powerful hostile forces located in Naju(羅州), but also the symbolic meaning of the initial base of the regime must have been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제의 태학

        배재훈(Bae, Jae ho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19 No.-

        본 논문은 <陳法子墓誌>에 나타난 太學正이라는 명칭을 중심으로, 백제의 官學기구인 太學과 그 學官인 博士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백제 관학의 설치 시점과 그 전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 연구이다. ?陳法子墓誌銘?에서 확인된 ‘태학’과 ‘태학정’은 각각 백제의 중앙 교육기구와 그 수장의 명칭이다. 이 중 태학은 內法佐平휘하의 屬司로서 적어도 ‘박사’라는 명칭이 삼국사기 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근초고왕대부터는 운영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태학에 속한 박사는 관료 예비군 및 太子에 대한 교육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한편, 문한적 기반을 중심으로 사서의 편찬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태학의 설치는 백제 사회 내에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일군의 관료 집단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의 모습이 阿直岐나 莫古解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시기 박사로 등장하는 高興이나 王仁등은 박사, 혹은 박사를 역임했던 인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시기의 박사는 주로 한인계나 한군현계 인물들이 주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백제의 태학 및 박사제도는 발전을 거듭하게 되어, 무령왕대에는 개별 경전에 대한 높은 지식과 교육적 기능을 갖는 五經博士가 등장하게 된다. 아울러 陸?와 같이 새로운 禮學경향에 능한 박사를 梁으로부터 직접 초빙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한편, 이 시기에는 경전이나 예학 등의 학문영역 이외의 기술직 관료군에도 박사제도가 운영되었으며, 이들도 오경박사 등과 함께 일본에 정례적으로 파견되었다. 태학과 박사 제도의 또 다른 변화는 사비천도 이후 성왕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 중앙 관부의 개편에 맞물려 태학은 司徒部의 속사로 편성되었으며, 이의 총괄, 행정 업무를 전담하는 태학정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진법자묘지>에 등장하는 위덕왕대의 太學正은 사비기 초반 성왕대 정치개혁의 산물로서 설치된 것이며, 이는 관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정비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태학정은 중국제도의 博士祭酒?國子祭酒와는 다른 백제만의 독자적인 제도로 시행된 것이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오랜 제도의 운영을 통해 종래의 漢人系뿐 아니라 백제의 귀족층에서도 문한적 능력이 뛰어난 인물들이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사비기 백제의 발전된 문화상을 보여주는 중국 정사의 기록, 백제 귀족 사회의 뛰어난 한문학적 수준을 전하는 <砂宅智積碑> 등의 유물에서도 확인된다.

      • KCI등재

        헌강왕의 유학 진흥책과 사상적 혼돈

        배재훈(Bae, Jae-hoo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8

        신라 제49대 왕인 헌강왕은 아버지인 경문왕의 재위 중에 태어났다. 그는 부왕의 배려속에서 이른 나이에 태자로 책봉되고, 王才로서 준비를 차근차근 밟아오다 왕위에 오르게 된다. 성장기 그가 받은 태자로서의 교육은 당의 제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학적 지식과 통치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흐름은 독특할 것이 없는 것이지만, 그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왕위를 계승한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러한 기반 속에 경문왕이 즉위 이후 야심차게 시도한 유학 중심의 통치 질서 확립과 정국 운영은 아들인 헌강왕대에 꽃을 피우게 된다. 즉위 초반부터 본격화된 그의 유학진흥 정책은 자신이 태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교육받은 내용들을 실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국학에 거둥하고, 중국 제왕들의 행동 규범을 따라 행동하였으며, 문한적 능력도 상당하여 신하들과 詩作을 하거나 선사의 비명을 직접 찬술하였다. 이는 전대의 국왕들과는 구별되는 모습으로, 헌강왕이 유학적 질서를 정치 영역에 제한적으로 도입하여 왕권 강화 수단으로만 삼고자 했던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헌강왕 재위 후반부에 이러한 정책은 더욱 강화된다. 이 시기에는 일단의 문한 기구가 정비되는데, 그 주축은 翰林臺와 瑞書院그리고 崇文院이었다. 국왕의 깊은 관심 속에 유학적 소양을 갖춘 관료들이 국학을 통해 성장하였고, 당으로 건너가 유학하거나, 賓貢科에 합격하여 당에서의 관료 경험을 가진 문한관들이 요직에 진출했다. 이 시기 헌강왕의 유학 진흥 정책은 사회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유학적 질서에 기반한 신라 사회의 질적인 변화는 이 시기의 짧은 실험으로 완성되기는 어려운 목표였다. 헌강왕의 짧은 치세를 이어 경문왕가를 이끌어 가야 했던 인물은 정강왕과 진성왕이었다. 이들은 헌강왕과는 달리 왕재로서의 교육은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시기에 경문왕가의 유학 진흥 정책은 한계에 봉착한다. 정강왕대에는 국왕이 직접 참여하는 백고좌와 강경 행사가 다시 시행되었고, 이는 진성왕대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연이은 불사에 대한 기록에 대비될만한 유학 진흥과 관련된 정책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와 더불어 헌강왕과 함께 당시의 정국을 주도한 시중 金敏恭등이 물러나면서 정국을 주도한 세력도 교체된다. 더욱 심각했던 것은 정강왕의 짧은 치세와 진성왕의 즉위였다. 여성 왕의 존재는 신라의 내적 전통에 힘입은 경문왕가 내부의 왕위 계승이라는 명분에는 기여했을 수 있지만, 유학적 정통론의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힘든 일이었다. 그 결과 유학적 질서에 기반했던 경문왕가 중심의 중앙 정치 재편 시도는 무위로 돌아가고, 진골 귀족의 정치적 합의에 따른 통치와 정치적 혼란이 이어져 결국 후삼국의 분열을 불러오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