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방일권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6

        종전 후 일본인 송환은 1946년 12월 〈소련점령지구 송환에 관한 미소간 협정(미소간협정)〉 체결 이후 소련각료회의에서 실무지침이 마련되었으나 1949년 7월에야 비로소 완료되었다. 그 이유는 적국민 송환을 통한 체제유지와 안보 확립을 위해 조속한 민간인 송환을 주장한 사할린 점령군과 생산시설 유지 및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송환을 저지하고자 한 사할린 민정국의 갈등, 그리고 양자의 대립 속에서 모호한 입장을 취한 소련 중앙정부의 태도 때문이었다. 한편 한인 귀환에 대한 검토는 탈출에 성공한 한인에 관한 해외 언론보도, 일본 규슈에 전환배치된 한인들의 진정 결과 연합국총사령부(GHQ/SCAP)가 사할린한인 규모와 귀환희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시작되었다. 1947년부터 이 문제가 공론화되자 골리코프를 중심으로 한 점령군은 1948년 외무장관 몰로토프를 설득해 한인들을 북한으로 모두 보내고자 구체적인 실무계획안을 확정했다. 반면에 1948년 크류코프를 중심으로 한 사할린 민정국에서는 외무차관 말맄을 통해 생산활동의 파국 방지를 명분으로 한인의 송환을 일본인 송환 뒤로 미룰 것을 주장하였다. 점령군의 ‘북한송환론’과 민정국의 ‘송환연기론’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1950년 한국전쟁 발발하자 이 문제는 그대로 모호하게 방치되어 한인의 귀환은 기나긴 정체기를 맞이했다. This paper treats politic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in Moscow, the Soviet occupation army, and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from 1945 to 1952. The government meetings in Moscow began to discuss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Sakhalin after the Repatriation Agreement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GHQ was reached in December 1946. Followiing the agreement, Japanese repatriation was conducted at a very slow pace until July 1949. This was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occupation army and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The former wanted instant repatriation of Japanese civilians for political security, but the latter wanted to detain the Japanese for maintaining production on the island. After the repatriation of the Japanese, detained Koreans became the ongoing issue. Some Koreans tried to escape from Sakhalin, and some among those who did escape revealed the inhuman situation of the detained Koreans. In addition, some coal miners dispatched from Sakhalin to Kyushu, in Japan, appealed to GHQ to be able to meet their families again in Sakhalin. GHQ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detained Koreans and the repatriation policies of the Soviet Union. In early 1947, Golikov, the head of repatriation in the occupation army, commented regarding detained Koreans. He insisted on obligatory repatriation to North Korea. But Krewkov, the head of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insisted that the repatriation of Koreans should be put off until all the Japanese had been sent to Japan in order to maintain production facilities. In April 1950, the government in Moscow listened to the two contrary opinions about the Koreans, and reached a final conclusion. However, the Korean War began a short time later, and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detained Koreans disappeared with no interest.

      • KCI등재

        Russian Population in Kazakhstan:An Ethno-Historical Approach

        방일권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2013 중동연구 Vol.32 No.2

        카자흐스탄은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를 가진 지역이다. 유럽과아시아의 교차로이자 대초원로의 주요 부분이 관통하는 지역인까닭에 고대로부터 다양한 이민의 물결들을 늘 목도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카자흐스탄은 고대와 중세 시기 여러 민족들의 고향이되었다. 카자흐스탄 지역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이동은 이 지역을둘러싼 세계 제국들의 갈등이 구체화되는 근대 시기까지 이후에도계속되었다. 18 세기 이래로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제국의 팽창 대상 지역이되었으며, 그 과정은 1860 년대 말에 카자흐스탄이 러시아의식민지가 되는 것으로 완료되었다. 20 세기 초의 사회적 격변들로인해 러시아 제국은 붕괴되었지만 그 영토는 보존되었다. 새로운정부는 민족 국가들의 연합으로 제국을 개편하였으니 그것이 곧실질적으로는 단일한 성격을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연방이었다. 카자흐스탄 역시 이 민족 공화국들 중의 하나였으나1991 년 소련의 붕괴로 카자흐스탄 독립 공화국이 출현하게 되었다. 러시아 국가의 주요 민족 그룹으로서 러시아인은 카자흐스탄영토의 식민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군인, 공무원,탐험가, 농민 정착자로 카자흐스탄에 뿌리를 내렸다. 새로운 생활조건들에 러시아인이 적응하면서 그들은 우선적으로 토착주민들과의 사회관계 시스템들을 구축해야만 했다. 각각의 역사시기들마다 있었던 러시아의 사회-정치 상황 변화는 식민지 내러시아어 구사자 사회의 지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변화에대한 재적응을 강요했다. 본 글은 18 세기 이래 독립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출현 시기까지를8 단계의 역사적 시기로 구분하여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인의 삶의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던 변화의 상황들과 그로 인해 초래된러시아인 사회의 특징들을 추적함으로써 카자흐스탄 내 러시아인사회의 역사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러시아의 사할린 한인 연구 - 연구사의 검토 -

        방일권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8

        This paper reviews and introduces research on the Sakhalin Korean diaspora issues in Korea and Russia.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about important issues in history regarding Sakhalin Koreans, this paper examines and compares 250 relevant theses,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Russia from the 1960s to 2011. Important findings are summarized. In South Korea, the research about Sakhalin Koreans may be divided into three divisions: forced mobilization, the issue of repatriation, and resettlement in their historical homeland. These classifications have as background the fact that researcher on Sakhalin Koreans was not an immigrant the immigration history, which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recently appeared from imperialism and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In other words, it is the direct result of the chronicle survey on problems of Sakhalin Koreans. In comparison, the issues of the Sakhalin Koreans in Russia remained just as the problems of minority groups. Then in the 1990s,individual researchers started to show interest in this theme. Recently,the interes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diaspora and the lives of Koreans in Sakhalin tends to increase with the diverse trends of research on loc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