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 지지치료 전문병원을 위한 개념 정립과 공간계획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023

        In the process of treating cancer, interest in side effects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cancer supportive care has also steadily increased in order to continue scheduled treatment by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cancer treatment and alleviating side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environmental psychologi-cal behavior of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as well as psychological changes, and studied to find a direction to apply this to the space planning of cancer supportive care hospit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ancer supportive care hospital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space planning of a healing environmental supportive care hospitals specialized for cancer pati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arrange and design spaces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Patients who are undergoing aggressive treatment are very vulnerable to long ranges due to physical problems, and the side effects that occur are diverse, so the placement and design of space to help to overcome them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problem of anorexia for cancer patients is one of the great concerns, so the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n help to overcome this is an important part for cancer pati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pace and design plan to respond to changes in emotions caused by aggressive treatment of canc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not only physical changes but also psychological and mental changes may occu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and number of treatments. Therefore, if the patient selects and moves according to his or her changing emotions to proceed with treatment or prepare a space to rest, it helps to relax the anxious or nervous mind and body, which is also helpful for treat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coordination of all the elements entering the space, such as the shape of the finish, lighting, smell, and sound, is small, it can be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have a great healing effect for patients. Therefore various considerations are needed when planning the space of a hospital specializing in cancer support treatmen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cancer patients may be distinguished from general patien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reatment process. Moreover, the appropriate response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n such changes also have a great impact on the synergistic effects of treatment and whether the treatment continued.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plan a hospital with a patient-center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암 치료 과정에 있어 부작용 관리와 이로 인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암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완화하여 예정된 치료를 지속시키기 위한 암 지지치료(cancer supportive care)의 필요성 또한 꾸준히 상승되어 왔다. 본 연구는 암 지지치료 전문병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암환자의 신체적 변화와 특징 뿐만 아니라 심리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암환자의 환경심리 행태를 분석, 이를 공간 기획에 반영하여 암환자에 특화된 치유환경적 암 지지치료 전문병원의 공간계획을 위한 방향성 확립에 목적이 있다. 첫째, 암환자의 행태적 특징에 따른 공간의 배치와 디자인이 필요하다. 공격적 치료를 진행중인 환자들은 체력적 문제로 기력이 쇄하여 긴 동선에 매우 취약하며, 발생되는 부작용은 다양하므로 이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공간의 배치와 디자인적 배려가 매우 중요하다. 진료실의 동선적 배려, 임상병리실의 외래 수액실 배치 및 잦은 화장실 이용을 고려한 문턱의 제거, 무겁지 않은 슬라이딩 또는 양방향 개패형 문의 설치와 변기와 세면대의 한 곳 설치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암환자에게 있어 식욕부진의 문제는 매우 큰 고민 중 하나이므로 이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적 여건의 마련은 암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식당의 위치는 쾌적한 상층부로 하는 것이 좋으며, 입맛을 올릴 수 있는 디자인적 고려가 필요하다. 조리실의 위치 또한 환자들이 거주하는 병동부보다 윗쪽으로 배치하여 조리 시 발생하는 냄새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인 병실의 화장실은 문의 바깥쪽에 배치하도록 하여 불쾌한 냄새와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구토 및 불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둘째, 암의 공격적 치료에 따른 감정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과 디자인적 계획이 필요하다. 암환자의 특성상 치료의 종류나 횟수에 따라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정신적 변화도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가 변화하는 자신의 감정에 맞게 선택·이동하여 치료를 진행하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면 불안하거나 긴장된 마음과 신체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이것은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개인의 독립성 보호와 교류가 모두 가능하도록 로비 공간이나 대기실의 의자 배치를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래 수액실의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누워서, 앉아서, 혼자 또는 여럿이 수액을 투여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마감의 형태, 조명, 냄새, 소리 등 공간에 들어가는 모든 요소에 대한 조율은 작지만 환자에게 큰 치유의 효과를 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들이 될 수 있으므로 암 지지치료 전문병원의 공간계획 시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암환자의 신체적 변화와 심리적 변화는 일반 환자와는 구별되어 상황과 치료 과정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며 그러한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환경적 영향은 치료의 지속여부 및 상승효과에도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암환자를 위한 암 지지치료 전문병원은 암환자의 환경심리행태적 특징을 기반으로한 환자 중심적 공간기획과 함께 치료의 전문성을 갖춘 병원으로 계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